도판 등에 12지와 별자리 등을 작업한 유현미씨

 

저는 12라는 숫자의 의미를 남다르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다가 보면 12라는 숫자를 참 많이 만나게 됩니다. 우선은 집안에서 만날 수 있는 것들 중에서도 시계와 달려 등이 모두 12라는 숫자로 되어있죠. 거기다가 사람의 띠도 12지라고 하여서 12가지의 짐승으로 표현을 합니다.”

 

그런 12가 주는 의미를 재해석 하고 있는 작가가 있다. 굳이 자신이 예술가가 아닌 그저 평범하게 자신이 좋아하는 것, 어릴 적부터 만들고 싶었던 도자기를 만들 수 있어서 즐겁다고 하는 유현미(, 38.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도자기로 만든 작품은 모두 12개씩이었다. 12라는 숫자에 대한 의미를 재해석한 것이다.

 

 

저는 어릴 적부터 도자기를 만들고 싶었어요. 대학에서는 경영학을 전공 해 호텔에서도 일을 해보았고, 그 외에 직업도 가져 보았죠. 대학에 들어갈 때 어릴 적 꿈은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서 갑자기 전공을 바꾼다는 것이 쉽지가 않잖아요. 그래서 경영학을 전공했지만 어릴 적 꿈을 버릴 수가 없었죠,”

 

갤러리 아라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

 

유현미씨의 작품은 수원시 팔달구 화성 팔달문 앞 시장인 영동시장 1층 아트포가 갤러리 아라에서 만날 수가 있다. 914일까지 전시를 하고 있는 이 유현미씨의 작품은 시작을 주제로 설정한 것이다. 시작은 곧 탄생이라는 의미를 해석을 한 작가는 도자기를 넓적하게 만든 도판에 갖가지 형태의 작품을 조성한 것이다.

 

저는 시작이라는 의미를 탄생이라고 봐요. 그래서 12지의 뜻에서 만날 수 있는 12가지의 동물을 표현했어요. 도판에 웃고 있는 12지간이란 제목으로 12띠의 동물을 그린 것이죠. 거기다가 별자리를 도찬에 여러 가지 흙과 유약을 사용해 색을 다르게 해서 보석을 사용해 별자리를 표현했어요.”

 

 

밤하늘에서 반짝이고 있는 별들의 지를 나타내기 위해 보석을 사용한 작가는, 탄생이라는 의미를 보석이 갖는 의미와 부합시키기 위해 노력을 했다. 어릴 적부터 다육식물을 키우는 것을 좋아했던 유현미씨는 앞으로 아주 작은 다육식물을 담을 수 있는 화분을 직접 만들어 보겠다고 포부를 밝힌다.

 

다육식물을 좋아해 화분에 담았으면 좋겠는데 그렇게 작은 것을 담을 수 있는 화분이 없어요. 그래서 직접 화분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것이죠. 그런 생각을 하다가 우연히 도자기를 판매하시는 선생님을 만나게 돼서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어요. 거기다가 작품 전시까지 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된 것이죠.”

 

앞으로는 생활자기를 만들고 싶다는 작가

 

아직은 모든 것이 서툴기만 하단다. 하지만 이렇게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이루고 싶다고 하는 유현미씨. 남들이 도전을 하는 것을 보면서 부러워만 하면 발전이 없다는 생각이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행복한 일이라고 한다. 그렇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시작했다는 것 또한 이들이 추구하는 시작의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

 

 

작품들을 하나씩 설명을 하는 것을 보니 저희들도 무엇인가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드네요. 전공자가 아닌 분들이 이렇게 작품을 만들어 전시까지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말이죠. 오늘 여기서 정말 자신이 무엇인지를 배워가는 것 같습니다.”

 

전시된 작품들을 돌아보다가 작가의 설명을 들었다는 한 관람객은 자신도 이제부터 무엇인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한다. 시작의 의미를 탄생이라는 뜻으로 재해석한 유현미씨의 작품들. 그 작품 속에서 반짝이는 보석처럼 언제까지나 그렇게 빛이 나기를 기대해 본다.

속초시 동명동에 소재한 보광사는 도심 속에 있으면서도 산사의 느낌을 받는 곳이다. 앞으로 20m 정도를 나가면 영랑호와 닿고, 주변으로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다. 시내 중심가까지도 걸어서 15분 정도면 나갈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면서도, 산사의 분위기를 맞볼 수 있기도 하다.

이 절은 예전 원효스님이 도를 닦던 자리라고도 전해지며, 골짜기 이름을 불당골이라도 한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 오르면 커다란 바위에 '관음'이라고 각자를 해 놓았으며, 이 관음바위 위에서 '영랑스님'이 동해와 금강산을 바라보고 공부에 전념을 했다고도 한다.



소나무 숲길, 정말 명품이야

보광사 경내를 벗어나면 소나무 숲길이다. 천천히 뒷짐을 지고 숲길로 접어들면 온갖 산의 내음이 코를 간질인다. 길 밖으로 삐죽 얼굴을 내밀고 있는 소나무 뿌리들을 보아서도 이 숲이 어제오늘 조성된 숲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길도 그리 가파르지 않아 천천히 걸어오르면, 어린 아이들도 따라 걸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다. 하루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길을 따라 산책을 즐기고는 한다.

산이라고 해도 그저 작은 소나무 동산 정도이다. 그 위로 오르면 바위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그 바위 옆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는 어르신들과 눈 인사를 나눈다. 그리고 한편으로 가면 커다란 바위가 자리한다. 이 바위가 바로 영랑스님이 날마다 공부에 정진하던 '관음바위'라는 것이다. 밑으로 내려가면 바위에 커다랗게 '관음'이라는 글자를 각자해 놓았다.




이렇게 좋은 바위에 마애불 하나 있었다면 정말 제격이었을 것이다. 동해에 뜨는 해를 바라다보는 마애불의 자비스런 모습. 상상만으로도 즐겁지 아니한가? 이 바위를 볼 때마다 나는 저 각자가 마애관음이란 생각을 한다. 아마도 마애불을 그리고 싶은 어느 사람이 그럴 수 없어 대신 글자를 새긴 것이나 아닌지.



콧소리가 절로 나오는 소나무 길

바위 한편에는 누군가 일부러 파 놓은 듯한 자국이 보인다. 저 밑에 혹 삼존불이라도 모셔 두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관음바위 위에 오르면 펼쳐지는 동해와 설악산, 그리고 금강산까지 한 눈에 들어온다. 밑으로는 영랑호의 푸른 물이 소나무 사이로 삐죽 얼굴을 내밀고 있다.

다시 관음바위를 떠나 봉우리 위의 바위 밑을 통과한다. 흡사 석문과 같은 바위돌이 서로 의지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세상사 저리 의지를 하고 믿고 살면 참 좋으련만. 한 20년 전에는 이 바위 아래서 기도를 하는 사람들이 꽤나 시끄럽게 징을 두드려대고는 했다.




영랑호가 보이는 길로 접어든다. 몇 사람이 바삐 걸어 지나친다. 무엇이 그리 급한 것일까? 이 명품길이라는 소나무 숲길. 그리고 앞으로 펼쳐지는 자연경관. 이런 것을 어찌 그리 즐길 줄을 모르는 것인지. 그저 마음 바쁜 버릇은 어딜가나 볼 수가 있다. 괜히 나 혼자만 할일 없는 사람인 듯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세월을 붙잡을 수 없으면, 세월을 타고가면 될 것을, 무엇을 그리 앞서려고 하는지.



그 길 끝에는 소나무 줄기에 흰 표식을 해놓았다. 숫자를 보니 1부터 10까지가 있다. 짧은 거리를 도는 곳이니, 이렇게 표시를 해놓고 한 바퀴를 돌 때마다 하나씩 옮기는 것인가 보다. 괜히 몇 개를 한 편으로 밀어본다. 바쁠 것도 없고, 굳이 다시 돌아야 할 이유도 없다. 그곳 나무 틈사이로 보이는 동해와 영랑호를 바라보다가 걸음을 옮긴다. 까지 한 마리 소나무 가지에 앉아 시끄럽게 짖어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