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왕은 도시계획자이면서 동시에 개혁자이기도 했습니다. 수원 팔달산에 걸쳐 화성을 축성한 정조대왕은 팔도의 상단을 수원으로 불러 모아 강한 국가를 만들기 위한 상권을 강화했습니다. 더불어 둔전과 많은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지 등을 만들어 농사를 짓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30일 오후 3시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에 자리하고 있는 수원화성박물관 기획전시실 앞에서 열린 정조시대 농업개혁의 산실기획전에 참석한 이재준 수원시 제2부시장은 정조는 바로 도시계획자라고 했다. 이어서 당시에는 농업은 첨단산업이었다고.

 

 

우리나라는 60~70년대만 해도 농업이 첨단산업이었습니다. 이러한 정조대왕의 업적이 있어 그동안 수원에는 지금은 이주해 간 농청진흥청이 들어왔고, 서울대 농과대학이 자리한 전국 최고의 농업도시가 되었습니다. 이제 농촌진흥청이 이주해 간 자리에는 2,200억을 들여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수원화성박물관에서 30일부터 201521일까지 전시가 되는 농업개혁의 산실특별기획전은 농업도시 수원의 전통을 재조명하고 수원시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함께 준비 중인 농어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건립에 내실을 기하고자, ‘수원화성 착공 220주년 기념으로 <정조시대 농업개혁의 산실, 수원화성> 특별기획전시를 마련한 것이다.

 

 

정조대왕의 애민정신이 돋보이는 윤음

 

이날 특별기획전의 기념식은 먼저 가야금 독주와 판소리 등 식전행사로 시작했다. 이어서 자리에는 이재준 제2부시장과 수원시의회 김진우 의장, 이낙천 사단법인 화성연구회 이사장, 김충영 수원시 청소년 육성재단 이사장 등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했다. 기념촬영과 테이프 커팅을 마친 일행은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각종 자료들을 둘러보았다.

 

이 자리에는 화성유수 서유구의 자손들이 기증한 자료들도 함께 전시가 되어있으며, 정조의 농업정책에 대한 것을 알 수 있는 화성 성역을 중지시키는 윤음 등도 국문으로 번역해 전시를 하였다. 정조 18년인 1794년 화성 축조가 한창일 때 극심한 가뭄이 들었다.

 

 

정조는 그 해 1019일 신하들과 화성성역의 진행여부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성역을 중단할 것을 명하였다. 대신 화성 북쪽의 평평하고 비어있는 땅을 개간하고, 관개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농사를 짓게 하면 옥토가 되어 생산량이 높아질 것이므로 이 비용을 이용하면 화성 축성 공사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을 예견하였다. 이 윤음을 따라 내하전 12,666냥으로 둔전을 개발하고, 5,690냥으로 만석거라는 수리시설을 축조한 것이다. 윤음의 내용을 보면

 

<화성성역이 중요한 일이지만 그것을 정지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원침을 봉안하면서부터 유수부로 승격시켜 체모를 높이고 행궁을 설치하여 우러러보며 의지하는 마음을 붙였다. 성지(城池)를 설치함은 기호의 요충지 때문이기도 아니었고 5천 병마를 위해서도 아니었다. 이에 경사들과 모의하지도 않고 재정의 출입을 묻지도 않고서 경영하기 시작하여 이곳에 성을 쌓고 참호를 팠는데, 남북의 망루가 장차 완공을 고하게 되었다. 만일 흉년이 들지 않아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았다면 이 역사는 계속해 나아감만 있고, 미루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다양한 자료 구비한 농업정책 기획전 돋보여

 

기획전에는 조선후기 이앙법의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수리관개와 관련된 농기구와 함께 <홍재전서><응지농서>, 5.6m에 달하는 <윤음><천일록>, <화성성역의궤> 등의 자료도 전시되어 있다. 또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농학자로, 1836년 화성유수로 부임하여 농업개혁가로서 변모를 실현한 사유구의 관련유물 등이 전시되고 있다.

 

우리 수원이 농업의 도시인 것은 알고 있었지만, 오늘 이렇게 정조대왕의 농업정책에 관한 많은 자료를 보고나니 새삼 내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다. 농어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이 완공되고 나면 전국에서 가장 훌륭한 농업에 관한 자료를 갖고 있는 수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관식에 참가한 한 시민은 이런 좋은 자료를 전국의 농생명과학고나 농업과 관계되는 일을 하는 담당자들이 한 번씩 둘러보았으면 좋겠다고. 더불어 농기구 등도 함께 전시가 되고 있어 배움에 있는 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한다.

 

진도 앞바다의 세월호 참사로 인해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라수흥)이 주관하는 4~5월의 거개의 행사가 취소, 내지는 연기가 되었다. 이런 가운데 수웜문화재단은 이달부터 11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가족 및 팀을 대상으로 하는 수원화성 12일 테마여행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수원 화성 12테마여행은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의 우수성을 소개하고, 다양한 체험을 통해 수원화성의 역사 및 정조대왕의 효를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 12일 동안 기수별 50명씩 총 500명을 모집하며, 1인 당 참가비는 성인 44,000, 청소년 43,000원 초등생 이하 42,000원이다.

 

이 비용은 수원유스텔의 숙박비와 식사비를 포함하고, 관람 및 화성열차, 국궁체험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일의 일정을 보면 다음과 같이 소개를 하고 있다.

 

 

화성의 반 구간을 돌아봐

 

첫날 프로그램은 화성 관련 애니메이션 영상 관람을 시작으로 1시간 30분가량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과 함께 듣는 것으로 시작이 된다.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장안문~연무대 구간을 답사하며 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난 후, 연무대(동장대)에서 국궁체험을 갖는다. 국궁체험은 어린이들에게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국궁체험을 마친 후에는 도심 성곽을 따라 이어지는 화성열차 탑승하고 성신사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이곳에서 걸어서 서장대에 오른 후 수원시내를 한 눈에 조망하며, 서장대 인근의 효원의 종을 타종하고, 다시 내려와 조선시대 최대 규모인 화성행궁을 관람한다. 다음날은 수원화성박물관 투어 후 화성행궁 신풍루에서 조선시대 정예군사들의 무예24기 시범을 관람하며 일정을 마친다.

 

 

2%가 부족한 12일 종합투어

 

이 프로그램대로라면 12일 프로그램이 별 다른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한다. 무엇인가 추억에 남을 만한 소재가 부족하다. 사람들은 이렇게 안내자를 따라서 화성을 돌아보고, 화성열차에 올라 30분 정도 화성의 안과 밖을 돌아본다는 것. 그리고 서장대에 올랐다가 자시 내려와 행궁을 돌아본다는 것에 무슨 큰 의미를 둘 것인가?

 

다음날은 화성박물관을 돌아본 후 무예24기 시범공연을 관람하는 것으로 모든 일정이 끝난다고 했다. 이런 정도의 프로그램이라면 굳이 12일 동안 관람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3(어른 2인 아이 1)이면 130,000원이다. 이 정도 금액이라면 한 가족이 와서 굳이 이 프로그램이 아니라도 즐길 수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으로 볼 때 12일이 아니라고 해도 관람이 가능하다. 무엇인가 2%가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사람들은 남다른 추억거리를 필요로 한다. 첫날 모든 행사는 오후에 집합을 했다고 해도, 오후 5시 정도면 끝이 난다. 그 다음은 가족끼리 왔던지 친구끼리 왔던지 알아서 하라는 식이다. 그리고 다음날은 수원화성박물관 관람 후 11시에 신풍루 앞에서 열리는 무예24기를 관람으로 끝을 맺겠다는 것이다.

 

 

감동 없는 프로그램 기억에 남지 않아

 

요즈음 전국의 각 지자체마다 이런 12일 프로그램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들과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더구나 수원은 서울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곳이다. 이렇게 가깝게 있기 때문에 수원은 묵어가는 곳이 아닌, 거쳐 가는 곳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묵어갈 수 있는 12일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런 12일 체험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남겨 줄 수가 없다. 그리고 첫날 저녁과 둘째 날 아침사이에 너무 오랜 시간이 아무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무엇인가 색다른 프로그램, 수원이 아니면 딴 곳에서와 차별화 된 프로그램, 참가를 한 사람들이 서로를 알아갈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요즈음은 SNS의 시대이다. 수원화성 종합투어를 즐기고 간 사람들이 정말 감동을 줄 만한 프로그램 이었다고 홍보를 할 때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기를 희망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의 프로그램은 그만한 감동을 주기에는 무엇인가 2% 정도 부족하다. 좀 더 별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시의 날111, 한국경기시인협회(이사장· 임병호)와 한국시학이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시의 날을 축하하는 잔치를 가졌다. 모두 3부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오후 4‘2013의 날 기념시민시낭송 경연대회로 시작이 되었다. 2부에서는 올해의 한국시학상과 신인상을 선정해 수상하고, 시집출간 시인들에게 출판기념패를 증정하는 등, 한국문단에서 활약하는 시인들과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참석해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1908년 육당 최남선이 에게서 少年에게소년지에 처음 발표하던 날인 십일월 초하루를 기념하여, 한국현대(시인)협회에서 정한 시의 날이다. 이날 시인들이 수원화성박물관에 모여, 나름대로 자신만의 시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시인들은 어떤 의미로 이 행사를 받아들이는 것일까?

 

 

축사에 나선 임병호 이사장은 시는 사람들의 마음을 순결하게 하고, 사람들이 지닌 가장 고귀한 지혜이며 가장 순수한 지성이다. 또한 가장 아름다운 영혼이요, 사람들의 가장 위대한 정신의 상징이다. 사람들은 보다 순결해지기 위해 시를 쓰고, 고귀한 지혜를 얻기 위해 시를 쓴다. 경기시인협회가 시의 날을 맞아 행사를 개최하는 연유도 사람들의 이름다운 삶을 윤택하게 가꾸기 위해서이다.” 라고 했다.

 

올해의 시인상정성수 시인이 수상

 

이날 ‘2013 한국시학상은 정성수 시인이 수상했다. 정성수 시인은 1945년 서울 출신으로 경희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했다. 그동안 개척자, 술집 이카로스, 우리들의 기억력, 살아남기 위해여, 가족여행 등 많은 시집을 남겼다. 현재 국제 PEN클럽 제34대 이사 겸 문화정책위원장과, 한국본부 경기지역위원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정성수 시인은 수상소감에서 솔직하게 말해 상, 그것도 문학상을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아마도 누구나 두 가지 감정이 섞여있을 것이다. 일단 자신의 시(문학)에 대한 객관적 평가에 대해 기분이 좋은 것이 그 하나이고, 내가 이 상을 받아도 되나 하는 일종의 자성이랄까. 스스로에 대한 반문, 그것이 나머지 하나이다. 그런 가운데 이번 ‘2013 한국시학상은 나를 더욱 즐겁게 해주었다. 왜냐하면 상 이름 자체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문학상 같은 느낌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한국시학 신인상과 출판기념패도 전달

 

이날 시의 날 축하기념식에는 한국시학 신인상으로 박영하, 강명숙, 곽예 등의 시인이 수상했으며, 올 해 시집 출간을 한 박경숙, 박병두, 박청자, 전영택, 최대희 시인들이 출판기념패를 전달받았다. 문학강연에 나선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은 김송배 시인은 시에 대한 강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인이란 모름지기 국어사전 3번 정도는 정독해야 한다. 예전에 선생님들께 시를 배울 때 말도 없이 사전을 몇 번이나 읽어보았느냐고 물으신 적이 있다. 그 정도는 정독을 해야 시어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최남선 선생님이 시를 발표한 후, 우리 문학은 100년의 역사를 지녔다. 시는 언어의 예술이다. 따라서 소설과는 달리 한 줄부터 길어야 27행 정도가 고작이다. 요즈음은 점점 짧아지는 추세이다. 오늘 상을 수상한 정성수 시인은 한 줄이나 두 줄 시를 쓴다.”시를 짧게 써도 그 안에 함축적 의미를 모두 넣어야 한다. 시인은 연금술사가 되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언어 훈련을 통해야만 좋은 시가 나온다.”라고 밝혔다.

 

이 날 행사는 김송배 시인의 문학강연에 이어, 시 퍼포먼스, 시낭송, 기념촬영 등으로 이어졌다.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에 보면 화성을 본떠 조형한 ‘수원화성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을 바라보고 우측 도로 쪽으로 보면, 비와 함께 탑의 형태로 조형한 구조물이 보인다. 얼핏 보기에는 그저 누군가 조각이라도 해 놓은 듯하지만, 사실 이 조형물은 정조의 태를 묻은 태실을 그대로 모사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원래 정조의 태실과 비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133에 소재한다. 강원 유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태실은 조선조 제22대 왕인 정조의 태를 모셨던 곳으로, 그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한 비가 놓여 있다.

 

 

 수원화성박물관에 있는 모형 태실과(위) 영월에 있는 강원 유형문화재 태실 및 비(아래) 

 

태실도 수난을 당한 정조

 

태실이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작은 돌방이다. 전국에는 태봉, 태재 등의 명칭이 붙은 수많은 태를 묻은 곳들이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충청도 진천현의 태령산에 김유신의 태를 묻고 사우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태실의 풍습은 매우 오래된 듯하나, 조선시대 이전의 태실은 찾아볼 수 없다.

 

정조는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의 맏아들로,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험한 일들을 많이 겪어야 했다. 그러나 정조이산은 조부인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받아 당론의 조화를 이루었고, 규장각을 통한 문화사업을 활발히 하여 실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정조의 태를 안치했던 태실은 정조가 탄생한 이듬해인, 영조 29년인 1753에 안태사 서명구에 의해 영월읍 정양리 계족산 태봉에 처음으로 조성되었다. 국왕이 된 뒤 석물을 추가하는 가봉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민폐를 우려하여 후일로 미루었다. 그 뒤 정조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순조 원년인 1800년에 가봉을 하고 태실비를 세웠다.

 

현재 영월에 남아있는 정조의 태실은 1929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전국의 태실을 창경궁 안으로 옮길 때, 태항아리를 꺼내 관리상의 이유로 서삼릉 경내로 옮겨졌다. 태실과 태실비는 광산의 개발로 매몰되었던 것을 수습하여, 1967년 영월읍에 소재한 KBS 영월방송국 안으로 옮겼다가, 현재의 위치에 복원한 것이다.

 

 

 

 

원당형 부도를 닮은 정조의 태실

 

정조의 태실은 모두 2기가 남아 있다. 하나는 조선시대의 사찰 등에서 스님들의 사리 등을 모셔 놓는 팔각 원당형 부도를 연상하게 하는 형태로 조성하였다. 비교적 꽃무늬나 도형을 장식이 많은 태실을 안치하고, 석조난간을 돌렸다. 다른 한 점은 원통형의 석함 위에 정상부분에 원형대를 각출한 반구형 개석이 놓여 있다.

 

태실비는 귀부와 이수를 갖추고 있는데, 귀부에는 귀갑문과 하엽문을 이수는 쌍룡을 양 측면에 배치하고 그사이에는 구름문양을 채웠다. 비의 몸돌은 이수와 일석으로 조성하였으며, 전면에는 ‘정종대왕태실(正宗大王胎室)’, 후면에는 ‘가경 육년시월이십칠일 건(嘉慶 六年十月二十七日 建)’이라 종서로 음각했다.

 

 

 

 

 

수원화성박물관 앞뜰에 놓인 정조대왕의 태실과 비. 수원이라는 곳은 정조대왕의 삶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태실의 조형물에 대해 무관심한 듯하다. 곁으로 지나치면서도, 안내판 하나 꼼꼼하게 읽어보는 이들을 보기 어렵다. 왜 이런 것을 여기 세워야 했는지조차 모르는 듯한 모습에서, 우리 역사, 특히 수원과 정조대왕의 역사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기울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