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축전이 열리는 가야산 단풍이 지난 1일을 기점으로 이번 한 주가 최고 절정에 이룰 것으로 보인다. 대장경축전장에서 해인사까지 일명 해인사 가는 길로 잘 알려진 붉은 계곡 홍류동 계곡을 따라 이어진 6.3km100리길이 온통 붉은 단풍으로 물들었다.

 

녹음이 짙던 자리엔 빨갛고 노란 단풍이 수놓았으며 가을 햇살에 단풍잎은 막바지 아름다움을 뽐내며 더욱 붉게 타들어 가고 있다. 가야산 19경 중 신라말기 최치원 선생이 말년을 보냈다는 농산정과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낙화담을 비롯한 16개 명소가 홍류동을 따라 줄지어 있다.

 

 

가야산 소리길, 홍류동 계곡

 

이 곳 홍류동 계곡은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몸속까지 느끼며 힐링을 할 수 있다고 하여 '가야산 소리길'이란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다. 홍류동 계곡의 단풍을 즐기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할 곳이 있다. 대장경축전장을 관람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무엇보다 진짜 대장경(대장경 진본 8)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 축전장이기 때문이다. 또 대장경축전 입장권 하나면 가야산, 해인사 등 모두가 무료이고 차량을 축전장 부근에 두고 가볍게 움직여야 교통체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장경축전장에서 세계 최초 전시되는 화엄경변상도 완질본 80점 등 축전장에서 관람과 체험을 즐기고 홍류문-농산정-낙화담-영산교를 이어지는 홍류동 계곡을 지나면 해인사가 기다리고 있다.

 

마애불과 암자비경 탐방도 병행해

 

 

암자비경 탐방도 매력적인 프로그램이다. 해인사에서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가을 산사의 정취를 맛볼 수 있다. 해인사에서 가야산 정상으로 가는 중턱에 있는 1200년 만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마애불입상을 만나는 것도 놓칠 수 없는 기회이다. 축전 기간 동안 수능을 위한 기도처로 각광 받았던 마애불입상 부처님의 이번 기회를 놓치면 올 해는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물 제222호인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은, 해인사를 뒤편으로 돌아 가야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옆의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조각했다. 높이 7.5m의 불상을 표현하였으며,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인 소발이 크고 높직하다. 미소가 없는 풍만한 사각형의 얼굴에는 날카로운 눈꼬리와 두꺼운 입술, 턱주름 등이 표현되었으며, 귀는 어깨에 닿을 듯 길고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가 뚜렷하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여 얼굴과 함께 자신만만한 자세의 불상을 나타내고 있다. 양 어깨에 걸친 법의는 왼쪽 어깨에서 매듭을 지어 고리를 만들었으며, U자형으로 연 가슴에는 내의가 보이고 띠 매듭을 지었다.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엄지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었고, 왼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구부려 가슴에 대어 손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손은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처리하여 생동감이 느껴진다.

 

머리 뒤에는 단순한 원형의 머리광배가 있을 뿐인데, 이를 지탱하는 자연광배가 신광의 구실을 함께한다. 얼굴과 두 손은 정교하게 조각한 반면 신체는 마치 돌기둥에 새긴 듯 옷주름을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이 불상은 각 부분의 표현이 힘이 있고 당당하면서도, 세부수법에서 세련된 면이 보여 9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마애불상으로 추정된다.(사진자료 / 대장경축전 홍보팀. 문화재청)

남원시 운봉읍 가산리 89번지.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국악의 성지. 그곳을 가면 볼 것이 있다. 남원은 판소리의 본고장이다. 판소리 다섯마당 중 춘향가와 흥부가의 배경지가 될 만큼 유명한 곳으로, 예로부터 국악의 산실이었으며 동편제 판소리를 정형화한 가왕 송흥록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판소리는 우리민족의 혼이 살아 숨 쉬는 살아있는 역사이다. 그 판소리 중 동편제 소리의 발상지 이며, 춘향가 흥부가의 배경지인 남원. 운봉에는 국악의 성지가 자리하고 있다. 앞으로는 가왕 송흥록과 박초월의 생가지가 있고, 지리산을 바라보고 많은 후학들이 소리에 전념하고 있는 국악성지전시관이 있다.


동굴독공을 따르는 후학들이 피를 토하는 곳

국악의 성지 전시관을 들어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판소리의 명창들이 묻힌 성역인 국악선인묘역이 있다. 그곳을 오르다가 보면 계단 위로 소나무 숲길인 소릿길이 있고, 밑으로는 조경을 해 놓은 길이 하나 나타난다. 그 길을 따라 가면, 돌로 조경을 해 놓은 곳에 문이 세 개 있다. 그 문을 열어본다.



문을 열고 입구를 들어서면, 안으로 들어가 꺾인 곳에 또 하나의 문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는 판소리를 할 때 고수가 사용하는 소리북과 방석 등이 보인다. 이곳에서 명창이 되기 위해 후학들이 소리공부를 하는 곳이다. 동굴독공의 진한 맛을 보기 위해 마련한 곳. 그 힘든 학습방법을 과연 이곳에서 깨달을 수가 있을까?

예전 명창들은 득음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굴독공과 폭포독공을 행해왔다. 동굴독공은 동굴 안으로 들어가 입구를 막아버리고, 그 안에서 2년이고 3년이고 소리를 얻기 전까지는 나오지 않던 득음의 방법이다. 명창 이날치와 이동백 등이 바로 이 동굴독공으로 소리를 얻었다.




그런 명창들을 따라 소리공부를 하기 위해 동굴처럼 마련한 곳이다. 지금이야 소리공부를 하고나서 밖으로 자유자재로 출입을 할 수 있지만, 그런 모습을 보면 옛 명창들의 소리공부가 얼마나 힘이 들었는지를 가늠할 수가 있다.

이것이 가로등이라니, 정말 멋지지 않아

동굴독공을 체험하는 곳을 본 후 천천히 전시관 쪽으로 발길을 옮긴다. 그런데 앞에 선 조형물이 색다르다. 여기저기 적당한 간격으로 놓인 것을 보니 가로등이다. 그런데 그 가로등 밑에 소리북이며 가야금, 거문고 등을 달아놓았다. 그것을 보고 괜한 웃음을 웃는다. 멋지다. 누가 이런 생각을 한 것일까?




어두운 길을 밝히는 가로등이 같을 필요는 없다. 나름대로 그 지역에 걸 맞는 가로등을 이렇게 조형을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다. 단지 어두움을 밝히는 용도가 아닌, 색다른 멋을 낼 수 있는 조형물. 그것을 보면서 또 다른 가로등을 생각해본다. 아마도 각 지역마다 그곳에 알맞은 이런 멋진 가로등을 장식한다면, 그것 또한 훌륭한 관광자원이 되지는 않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