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역을 답사를 하다보면, 자주 만나는 작은 전각들이 있다. 들판에 외롭게 덩그마니 서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대문에 걸려있는 것들도 있다. 바로 부모님께 효를 다한 효자에게 내리는 효자비와 효자정려이다. 비석에 효자임을 새긴 것은 효자비, 대문 위나 전각 안에 현판으로 걸어 놓은 것은 효자정려이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정자 중에서도 효자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거나, 충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들이 부지기수이다. 영모정, 사모정, 기영정 등, 이런 것들은 모두 충효에 관한 이야기 한 자리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 것이 바로 충(), (), ()이기 때문이다.

 

 

불효자를 엄격하게 다스렸던 옛 풍습

 

효자에게는 비를 세우거나 정려를 내려주었던 것과는 달리, 불효자는 그에 상응한 벌을 내리기도 했다. 옛날 마을에 망나니가 있으면 사람들이 관청에 끌고 가는 대신, 멍석에 말아놓고 뭇매를 가하던 사형(私刑)’이 있었다. 이를 흔히 멍석말이라고 한다. 전라남도나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이를 두고 '덕석마리'라고도 하는데, 이는 멍석을 덕석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이 멍석말이는 멍석으로 감은 사람을 때리는 형벌로 주민들에 의해 행해진다.

 

멍석말이는 한 집안이나 동네에서 못된 짓을 저지르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고도 뉘우칠 줄 모르는 자가 있으면, 문중이나 동네의 회의를 거친 뒤 어른 앞에 끌고 간다. 그리고는 멍석을 펴서 눕히고 둘둘 말거나 뒤집어놓고, 온 집안 식구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뭇매를 가해 버릇을 고쳐주는 습속이다.

 

 

합천 물산마을의 8가지 죄목

 

이 멍석말이는 관청에 신고하는 대신 이 같은 방법을 썼으므로 오히려 문중의 형벌이나 동리법(洞里法)’이 더 무섭다는 말이 생기기도 했으며, 마을의 사회규범을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을 했다. 합천 영암사지를 찾아가는 길에 만난 선도대가 바로 그런 옳지 못한 사람들을 다스리는 멍석말이 장소였다.

 

물산마을이라는 곳에서는 옛 마을 규약인 향약에 이르기를 마을의 풍속을 어지럽히는 자들을 벌을 주게 하였는데, 모두 8가지의 죄목을 나열해 규범을 삼았다고 한다. 그 여덟 가지의 죄목은 다음과 같다.

 

一曰 불효지형이오(효를 행하지 않은 불효자를 벌하다)

二曰 불목지형이오(친척 간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三曰 불인지형이오(남녀사이(부부를 말하는 듯)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四曰 불제지형이오(윗사람에 대해 공경하지 않음을 벌하다)

五曰 불임지형이오(책무와 소임을 다하지 못함을 벌하다)

六曰 불휼지형이오(불쌍한 사람을 돌보지 않음을 벌하다)

七曰 조언지형이오(거짓말을 하는 자를 벌하다)

八曰 란민지형이라(주민을 괴롭히는 자를 벌하다)

 

 

수원에 유일하게 남은 효자정려

 

이때도 가장 먼저는 바로 불효였다. 그만큼 우리 역사에서는 효를 중히 여겼다. 수원에도 많은 효자들이 있었겠지만, 이제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은 수원박물관 마당 한 편에 서 있는 정려각이다. 정려각이란 전각을 짓고 효자나 충신, 열녀 등의 덕을 칭송하고자 세우는 붉은 문을 말한다.

 

이 정려각은 전주 유씨 가문에서 기증한 것으로, 영조 19년인 1743년 우승지 류태명과 순조 12년인 1812년 류태명의 증손자인 호조참판 류의의 효자정려이다. 한 집안에서 이렇게 대를 이어서 정려를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그 집안의 내력이라는 뜻이다. 류태명(16661716)의 자는 도휘, 호는 현산웅, 본관은 전주이다.

 

29세 때 별시에 합격해 출사했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우승지를 지냈다. 이 정려각은 원래 호매실 택지개발지구내에 위치했으나, 그의 후손인 류원상이 기증하여 수원박물관으로 이전 복원했다. 요즈음처럼 사회가 각박해져만 갈 때 이 효자정려가 더 빛을 발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효가 무엇인지를 알려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효가 남다르듯, 지금은 수원을 상징할 수 있는 효에 관한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한 때이기 때문이다. 수원박물관의 효자정려를 아이들의 효에 관한 교육장소로 알려야할 이유이기도 하다.

옛날 마을에 망나니가 있으면 사람들이 관청에 끌고 가는 대신, 멍석에 말아놓고 뭇매를 가하던 ‘사형(私刑)’이 있었다. 이를 흔히 ‘멍석말이’라고 한다. 전라남도나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이를 두고 '덕석마리'라고도 하는데, 이는 멍석을 덕석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이 멍석말이는 멍석으로 감은 사람을 때리는 형벌로 주민들에 의해 행해진다.

멍석말이는 한 집안이나 동네에서 못된 짓을 저지르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고도 뉘우칠 줄 모르는 자가 있으면, 문중이나 동네의 회의를 거친 뒤 어른 앞에 끌고 간다. 그리고는 멍석을 펴서 눕히고 둘둘 말거나 뒤집어놓고, 온 집안 식구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뭇매를 가해 버릇을 고쳐주는 습속이다.


합천에 멍석말이 터가 남아있다.

이 멍석말이는 관청에 신고하는 대신 이 같은 방법을 썼으므로, 오히려 문중의 형벌이나 ‘동리법(洞里法)’이 더 무섭다는 말이 생기기도 했으며, 마을의 사회규범을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을 했다.

8월 20일(토), 오전 근무를 마치고 길을 나섰다. 아침부터 내리는 비는 그칠 줄을 모른다. 합천으로 들어서 영암사지를 찾아가는 길에, 아무래도 길을 잘못 들은 듯하다. 차가 하염없이 좁은 산길로 접어든다. 이런 경우 조바심이 난다. 비가내리는 날은 오후 5시를 넘으면 답사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참이나 산길로 들어서 가는데, 길 좌측 편에 안내판 같은 것이 보인다. 곁에는 큰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는데 축대가 쌓여 있는 것 같다. 안내판에 무슨 내용이 쓰여 있어 가까이 가보니, ‘선도대(善導臺)’라는 곳이다. 직사각형으로 네모나게 돌을 쌓고 위를 평평하게 만들어 놓았다.

멍석으로 둘둘말아 이 네모난 단 위에 올려놓고 매를 친 듯하다.

‘선도대’가 도대체 무엇일까? 말대로라면 사람을 선도하는 곳이란 뜻이다. 이곳에서 사람을 훈계한다니, 왜 이곳에서 했을까? 선도를 어떻게 한 것일까? 하고 자세히 보니, 바로 이곳이 멍석말이를 행하는 곳이란 설명이다.

‘물산(勿山)마을 관이’인 멍석말이는 누구에게 가했을까?

옛 마을 규약인 향약에 이르기를 마을의 풍속을 어지럽히는 자들을 벌을 주게 하였는데, 모두 8가지의 죄목을 나열해 규범을 삼았다고 한다. 그 여덟 가지의 죄목은 다음과 같다.

一曰 불효지형이오(효를 행하지 않은 불효자를 벌하다)
二曰 불목지형이오(친척 간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三曰 불인지형이오(남녀사이(부부를 말하는 듯)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四曰 불제지형이오(윗사람에 대해 공경하지 않음을 벌하다)
五曰 불임지형이오(책무와 소임을 다하지 못함을 벌하다)
六曰 불휼지형이오(불쌍한 사람을 돌보지 않음을 벌하다)
七曰 조언지형이오(거짓말을 하는 자를 벌하다)
八曰 란민지형이라(주민을 괴롭히는 자를 벌하다)




이렇게 여덟 가지 죄를 범한 자가 있으면, 이곳 선도대에서 멍석말이를 하고 죄를 고지하여 부끄럽게 만든다고 적고 있다.

이 선도대의 멍석말이의 조건을 읽어보다가 생각을 한다. 어찌 보면 이 멍석말이가 지금 가장 필요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에서이다. 말로만 듣던 멍석말이. 이런 사람이 정말로 멍석말이를 당해야 할 사람들은 아닌지.

백성을 돌보아야 하는데도 책무를 다하지 않는 사람.
백성에게 거짓 약속을 하는 사람.
혼자만 잘 살겠다고 밑에 사람을 마구 부리는 사람.
국민이 내는 세금을 마구 사용하는 사람.
어려운 사람들을 돕자는데 반대하는 사람.
그 반대하는 사람에게 동조하여 같이 떠벌리는 사람,
자연을 마음대로 휘저어 생태계를 엉망으로 만드는 사람.
그리고 마음 같으면 문화를 업신여기는 사람까지 포함시키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