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학정(天鶴亭), 동해안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 위에 다소곳이 숨을 죽이고 있는 작은 정자 하나. 밑으로는 동해안의 여울 파도가 암반을 두드리는 소리가 정겹다. 이 작은 정자를 벌써 너 댓 번은 찾아간 듯하다. 왜 그리 이곳을 찾을 때마다 느끼는 감흥은 달라지는 것인지. 아마도 그 계절이 다르기 때문인가 보다.

 

속초에서 7번 국도를 따라 고성으로 향하다가 보면, 길가에 천학정이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교암리 마을에서 동해안 쪽으로 낮은 산이 하나 서 있다. 그리고 계단을 잠시 오르면 거기 절벽 위에 납작하게 숨죽이고 있는 천학정을 만나게 된다. 이름 그대로 이 천학정은 하늘과 더 가까이 가려고 뛰어 오를 듯 절벽 위에 자리한다.

 

 

500년 역사, 숨죽이고 있는 정자

 

천학정은 1520년인 중종 15년에 군수 최청이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 기록으로 보면 이미 지금 만나는 정자 이전에, 이 자리에 천학정이 있었다는 이야기니 500년이 넘었다는 것이다. 고성군 토성면 교암리 바닷가에 서 있는 고성팔경 중 한 곳인 천학정은 기암괴석의 해안 절벽에 정면 2, 측면 2칸의 겹처마 팔각지붕의 단층 구조로 지어졌다.

 

천학정 북쪽으로는 능파대(凌波臺)가 자리한다. 천학정과 아우러지는 능파대. 아마도 파도를 굽어보고 있으니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능파대 위에 올라 천학정을 바라다본다. 어느 곳에서 바라다보아도 아름다운 정자이긴 하지만, 능파대에서 바라보는 천학정은 그야말로 선계에 있는 정자를 보는 듯하다.

 

 

동해안 일출의 명소 중 한 곳인 천학정. 전학정은 그동안 전해지던 역사가 깊은 옛 정자는 어떤 이유로 사라진 것일까? 다만 1884년 소실되었던 것을, 1928년 당시 면장의 발기로 1931년 교암리에 사는 마을 유지 세 사람이 재건을 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옛 기억을 더듬어 지어냈겠지만, 그래도 옛 모습을 보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자연과 하나가 된 정자 천학정

 

22, 통일전망대를 거쳐 속초로 길을 잡아 내려가다가, 문득 천학정에 오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한 겨울의 찬바람이 부는 날, 천학정은 또 어떤 모습으로 나그네를 맞이할 것이지? 교암리 마을 안 천학정을 오르는 길목주변에는 얼음이 가득 얼었다. 미끄러지는 길을 피해 바닷가로 난 산책로를 오른다. 천학정으로 오르는 좌측으로는 능파대가 높다라니 솟아있다.

 

 

천학정에 올라 동해를 굽어본다. 그저 절로 글 한 수 지을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렇게 절경에 자리하고 있으면서도, 굳이 자랑을 하지 않는 정자라서 더욱 좋다. 멀리 여울파도가 벼랑을 항해 치닫는다. 금새 벼랑에 부딪친 파도는 하얀 물보라를 남기고 사라져버린다. 이런 아름다움이 있어 이곳에 천학정을 마련했나보다.

 

천학정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서 있다. 정자가 곧 자연이요, 자연이 곧 정자가 아닐런가? 그 속에 때에 절은 속인(俗人) 하나 앉아있기가 미안하다. 밖으로 나와 능파대로 오른다. 동행을 한 스님이 정자에 앉아 경치에 취한다. 그 또한 자연이다. 그렇게 천학정은 동해를 바라보며, 스스로 동해와 어우러진다.

 

 

전국에 산재한 많은 정자들이 나름대로 자연과 동화되어서 자리를 잡는다. 그리고 주인의 마음을 닮는다고 한다. 처음 이 천학정을 지은이도 자연과 닮아 살았을 것이다. 천학정이라는 이름만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아마도 신선이 되어 한 마리 학의 등에 올라 파도치는 동해 위로 훨훨 날고 싶었을 것이다. 2월의 찬바람이 이는 날 찾아간 천학정. 동해안 작은 정자는 그렇게 자연을 닮아 그 자리에 서 있었다.

도솔천(兜率天)은 과연 어디에 있을까?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 위에 도솔천이 있다고 한다. 유순이란 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로 소달구지가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대략 11~15㎞라는 설이 있다.

 

도솔천은 육계(六界) 육천(六天) 가운데 제4천으로 미륵보살이 사는 곳이라는 것이다. 도솔천에는 내원과 외원이 있는데, 내원은 미륵보살의 정토이며, 외원은 천계 대중이 환락하는 장소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 내원과 외원이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 안 깊숙한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도솔산에 자리한 선운사

 

고창 선운사 안으로 들어가면, 선운산 깊숙한 곳에 도솔암이 자리하고 있다. 선운산은 높이 336m이다. 본래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가 유명해지면서, 선운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선운산의 주변에는 구황봉(298m)·경수산(444m)·개이빨산(345m)·청룡산(314m) 등의 산들이 솟아 있다. 선운사를 지나 도솔암으로 천천히 걸음을 옮긴다. 그러고 보면 외원에서 내원으로 가는 길인가 싶다.

 

도솔암 극락보전을 지나쳐 위로 오른다. 극락보전은 아미타여래상을 주불로 모시는 곳이다. 흔히 극락전 혹은 무량수전이라고도 명명한다. 조금 오르니 눈앞에 펼쳐지는 기암괴석과 절경들. 순간 자연에 압도당한다. 나한전이 자리하고 있다. 도솔암 나한전은 아라한을 모시는 곳이다.

 

나한은 소승불교의 수행자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성자를 말한다. 아주 오랜 옛날 이곳 용문굴에 살고 있던 이무기가 나타나 사람들을 괴롭혀, 인도에서 나한상을 모셔다가 안치하였더니 이무기가 사라졌다고 한다. 그래서 지어진 나한전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천년 세월의 마애불, 그 모습에 압도당하다

 

나한전을 지나면 깎아지른 바위 암벽에 새긴 보물 제1200호인 도솔암 마애불을 만난다. 아마 도솔천을 오르기 위해 이 모든 것이 도움을 주지나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마애불 중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는 도솔암 마애불은 미륵불로 추정된다. 결국 미륵정토를 가기 위해서는 주변에 모든 것들이 하나같이 연결이 된다는데 놀랍기만 하다.

 

지상 6m의 높이에서 책상다리를 하고 좌정하고 있는 미륵불. 그 높이가 5m, 폭이 3n나 되며 연꽃문양을 새긴 계단모양의 받침돌까지 갖추고 있다. 마애불의 머리 쪽을 보면 구멍이 뚫려 있고, 구멍 속에 부러진 나뭇가지가 보인다. 아마 이 마애불을 보호하기 위한 전각이 있었던 것 같다. 동불암이라는 누각을 세웠던 자리라고 한다. 마애불을 올려다보면서 마음속으로 기원을 한다. 이 모진 세상에서 벗어나 피안의 세계인 도솔천으로 올라가겠다고.

 

 

 

도솔암 내원궁. 가파른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작은 전각이 하나 보인다. 마침 사시예불 시간인지 염불소리가 청아하다. 상도솔암이라고 부르는 도솔암 내원궁은 바로 미륵정토인가 보다. 거대한 자연 바위 위에 초석만을 세우고 전각을 지었다. 천천히 주변을 돌아본다. 주변 경관은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고통 받는 중생들을 위해 지장보살을 모신 내원궁. 보물 제280호로 지정이 된 이 지장보살은 고려 후기의 불상 가운데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꼽힌다. 사후세계의 주존인 지장보살좌상을 모신 이 내원궁이야말로 인간이 고통 받는 사바세계에서 가장 이상형의 피안인 듯 하다.

 

 

 

누가 세상에 태어나 고통을 받고 싶겠는가? 수많은 사람들은 그저 사람이 살면서 누릴 수 있는 가장 작은 행복만이라도 소유할 수만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지 않겠는가? 도솔암 내원궁에 올라 주변을 돌아보면서, 이곳이 바로 도솔천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결국 마음 하나에 도솔천이 있음을 깨닫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