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은 11일을 새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제 경우에는 언제나 새해는 음력 정월 초하루인 설날입니다. 아마도 오랫동안 우리민속과 문화재를 답사하다 보니, 그렇게 인식이 된 것 같습니다. 하기에 11일의 새해는 별로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늘 그렇듯 제 절기는 정월 초하루(새해), 정월 대보름, 4월 초파일, 단오, 칠석, 백중, 동지 식으로 음력으로 계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29일 새벽까지, 그동안 힘들게 작업을 해온 수원의 전통시장 이야기가 편집까지 끝났습니다. 앞으로 교정을 보아야겠지만, 일단은 모든 원고를 마감했습니다. 그래도 188P나 되는 책입니다. 5명이 꼬박 세 달 이상을 고생을 해 탈고를 하고, 편집까지 마쳤으니 진이 빠질 법도 합니다. 근자에는 일주일 정도를 거의 날밤을 새우는 바람에 낮과 밤이 따로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새해맞이 대청소를 하다

 

저는 늘 음력으로 절기를 계산하기 때문에, 앞으로 3일 밖에 남지 않은 설날을 좀 더 깨끗한 마음으로 맞이하기 위해 대청소를 시작했습니다. 평소에도 어질러진 것을 보고 넘기지 못하는 성미인지라 늘 정리야 제대로 하고 살지만, 그래도 일 년의 첫날을 맞이하면서 좀 더 신선한 마음으로 해를 맞이하자는 것이죠.

 

사람들은 대청소를 한다고 하면 정리를 하고 쓸고 닦고 하겠지만, 제 새해맞이 대청소는 좀 색다릅니다. 우선 냉장고에 있는 묵은 음식들이나 시간이 좀 지난 것은 모두 버립니다. 혼자 생활을 하다 보니 집에서 밥을 먹을 때보다, 나가서 먹을 때가 더 많아 음식이 오래 묵은 것들이 생깁니다.

 

 

이것저것 치우다가 보니 버려야 될 음식물이 상당히 많은 듯합니다. 음식물 정리를 마치고 나면 냉장고에 들어있는 모든 것을 다 꺼내놓고, 반찬들도 통에 담아 가지런하게 정리까지 합니다. 주방에 물건들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은 차곡차곡 가지런히 놓습니다.

 

치우고 닦고, 다시 치우고

 

방 청소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라 유난히 신경을 씁니다. 방에는 CD장과 책장, 그리고 컴퓨터와 TV 밖에는 없습니다. 먼저 먼지를 털어내고 청소기로 한 번 바닥을 치웁니다. 그리도 걸레로 방을 구석구석 잘 훔쳐낸 다음 다시 한 번 청소기로 밀고 다닙니다. 걸레질을 했다고 해서 모든 것들이 다 치워지지 않습니다. 하기에 꼭 다시 한 번 청소기로 치우죠.

 

그렇게 바닥 청소가 끝나면 책장 등을 구석구석 물걸레질을 합니다. 그리고 마른 수건으로 깨끗하게 닦아낸 후, 다시 한 번 바닥청소를 합니다. 그러다가 보면 방 청소는 걸레질을 세 번이나 하게 됩니다. 그래도 안심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깨끗하게 치운다고 해도, 또 어느 구석엔가 머리카락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옷 방을 정리합니다. 옷걸이에 걸린 옷들을 다 풀어놓고 다시 정리를 합니다. 이렇게 정리를 할 때 오래도록 입지 않은 옷들은 모두 비닐봉투로 씌워 먼지가 타지 않도록 합니다. 옷 방까지 청소를 마치고나니 4시간이나 걸렸네요. 다음은 집 안에 있는 화초들을 일일이 물을 주고, 그동안 미처 정리를 하지 못한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비록 시간은 5시간이나 걸렸지만(별로 넓지도 않은 집인데도 말이죠), 그래도 새해를 기분좋게 맞이하기 위해 늘 이렇게 대청소를 합니다. 제가 이렇게 대청소를 하는 것은 일 년에 4번 정도입니다. 대개는 철이 바뀔 때지만, 설날, 단오, 추석, 그리고 겨울이 오기 전인 입동 절기쯤입니다.

 

 

올해는 청마의 해라고 합니다. 세상 돌아가는 것을 보니 올해도 마음 편하게 살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이럴 때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를 한다는 것은, 새로운 각오를 다지기 위함입니다. 모든 분들이 다 행복해질 수 있는 갑오년이면 좋겠습니다.

수원 여민각은 상생의 소통과 나눔을 상징

 

12월 31일 자정. 수원 화성 행궁 앞 도로변에 자리한 여민각(與民閣)에 매달린 종이 울렸다. 밝아오는 2013년의 새해를 맞이하는 의식이다. 이날 화성 행궁 광장에는 2만 여명이 넘는 시민들이 운집해 제야를 보내고 있었다. 화성 행궁 앞에 세워진 여민각은 정조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대로 배어있는 종각이다.


‘여민(與民)’이란 백성과 더불어 즐긴다는 뜻으로 『세종실록』에 실려 있는 ‘여민락’이라는 아악에서 기인한다. 현재는 관현합주로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이라고도 한다. 오래도록 나라가 편안하고, 백성들과 함께 행복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뜻을 가진 여민각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의식이 벌어졌다는 것은 남다르다. 

 


 

여민각은 발전과 상생, 나눔의 미학


여민락은 용비어천가의 일부를 노래로 부른 것이다. 사신의 연향이나 임금의 거동 때 쓰이던 음악이 점차 변화되어, 세종 이후 행진을 할 때 연주하는 음악인 ‘행악(行樂)’으로 사용되었다. 여민락은 여민락, 여민락만, 본령(本令), 해령(解令) 등 4가지가 있다.


이와 같이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긴다는 뜻을 가진 ‘여민’은 화성을 축성한 정조대왕의 뜻과 함께한다. 즉 백성을 누구보다도 사랑한 정조대왕이기 때문에, 정조의 효심이 깃든 여민각이 수원에 세워진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여민각에서 제야를 넘기고 새날을 맞는 타종식이 열렸다는 것 또한 남다른 의미가 있다.

 


 

수원의 여민각은 발전과 상생, 소통과 나눔의 상징이다. 그곳에서 제야의 종을 치면서 모든 사람들은 새해에는 더 많은 소통으로 인해 서로가 서로를 신뢰하고, 행정과 의회, 시민들이 하나가 되어 2013년에 더 발전할 수 있는 수원이 될 수 있도록 마음속으로 빈 것이다.


많은 행사와 나눔이 이어져


화성 행궁 앞에 마련된 행사장에는 31일 오후 9시 30분부터 많은 행사가 펼쳐지고 있었다. 한편에 마련된 부스에는 뽀얀 사골국물이 끓고 있다. 한국조리사회 중앙회 경기도지회의 회원들이 힘을 합해, 추운 날 제야의 종을 만나러 온 시민들에게 떡국을 끓여주기 위해 모였다.

 


커다란 통에서는 50시간이 넘게 고았다는 사골국물이 뽀얗게 우러나고 있다. 200kg이나 되는 사골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곳에서 회원들을 격려하고 있는 김경일 사무국장은, 지난해에는 5천 그릇을 했는데 모자라 올해는 6천 그릇을 준비했다고 한다. 경비도 만만치 않아서 3천 만 원 정도가 소요된다는 것이다. 그 경비는 삼성 등에서 보조를 받았다는 것.


밤 12시가 가까워지자 광장에 모였던 사람들이 여민각으로 몰려들기 시작한다. 그곳에는 염태영 수원시장과 노영관 수원시의회 의장 등 수원시의회 의원들과 공무원, 시민 등 수 천명이 여민각 주위를 들러쌓고 있다.

 

 

 

 

2013년에는 모두가 더불어 즐기는 해이길


염태영 수원시장은 새해를 맞이하는 자리에서

 

“수원은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을 할 것이다. 오늘 이 타종식에 참가한 모든 사람들이 지난 한 해 나쁜 기억들을 버리고, 2013년의 새해를 맞이하자. 소통과 상생, 그리고 더불어 잘사는 수원, 사람이 반가운 휴먼시티 수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당부를 했다.


모두 33번의 종을 울린 이날 첫 타종에는 염태영 수원시장을 비롯하여 노영관 수원시의회 의장, 그리고 강성채 수원남부경찰서장 등이 함께 했다. 타종을 마친 염태영 수원시장은 직접 시민들에게 떡국을 배식하기도.

 


 

감자기 뚝 떨어진 기온도 새로운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하겠다는 사람들의 바람을 꺾지는 못했다. 2만 여명이 넘는 시민이 운집한 여민각의 타종식. 그 종소리가 뻗어나가듯, 앞으로 모든 이들의 뜻이 널리 펼칠 수 있기를 빌어본다. 여민각이 그 곳에 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