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부터 작정을 했다. 올해는 23일 여행을 계절별로 해보아야겠다고. 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발목을 잡혀 제철 여행을 가지 못했다. 그리고 여름이 끝나가고 있다. 이번에는 이 여름이 끝나기 전에 여행을 떠나야겠다고 짐을 꾸릴 준비를 한다. 그런데 생각 외로 짐 보따리가 묵직해 질 것만 같다.

 

23일 여행 채비를 하려고 준비를 해보았다. 그런데 꽤 소소한 것들을 많이 준비를 해야 한다. 이렇게 준비를 해서 여행을 떠나야 할까? 앞으로는 이런 준비물보다 더 소규모화가 될 수 있는 여행 보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마 앞으로 2~3년 안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은 지금도 소형화된 것들이 많이 있지만, 앞으로는 PC를 대신할 소형화된 제품들이 많이 나온다고 한다. 거기다가 카메라와 휴대폰이 서로 상응을 해 그 자리에서 바로 시진을 편집할 수 있고 글을 올릴 수 있다고 하니, 이렇게 번잡하게 준비를 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

 

23일간 어디로 갈까?

 

긴 시간을 돌아볼 수가 없으니 피서 겸 그리 멀지 않은 곳을 택하고 싶다. 어차피 가까운 곳이라야 무슨 일이 있으니 바로 올라올 수 있는 곳이 편하기 때문이다. 우리 같은 사람들은 수시로 일이 생기다 보니, 어디 가서 진득하니 며칠씩 묵을 수 있는 호사를 누리지 못한다. 하기에 가까운 곳에서 가고 싶었던 곳을 찾고 싶다.

 

 

그중 가장 바람직한 곳은 역시 강화도이다. 강화도는 거리도 가깝지만 수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어 도보를 이용하면서도 많은 문화재를 담아올 수가 있다. 거기다가 강화도에는 성곽까지 자리하고 있으니 금상참화가 아니겠는가? 예전에 전등사를 들어가면서 둘러본 성곽 말고도 또 다른 성들을 둘러보고 싶다.

 

강화도의 매력은 역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어있는 많은 고인돌들이다. 거기다가 해안가에 마련한 수많은 진들과 각종 문화재들. 또한 민속자료 등도 산재해 있는 곳이다. 아마도 23일의 일정으로는 강화도의 일부밖에는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래도 이곳을 돌아보고 올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이 아니겠는가.

 

 

두 번째 기고 싶은 곳은 판소리 발원지

 

이번 여행에서 두 번째로 가고 싶은 곳은 바로 판소리 발원지이다. 판소리라고 하면 사람들은 동편제와 서편제만 알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경기 충청간의 소리인 중고제(中高制)가 있었다. 중고제는 한수 이남과 금강 이북의 지역인 경기 충청간의 소리이다. 송서율창이라고 하여 마치 선비가 달밤에 글을 읽는 듯한 소리라는 중고제의 지역을 찾아보는 것이다.

 

중고제 중 경기도의 소리인 경제는 여주 신륵사에서 득음을 한 염계달의 창법이다. 또 하나의 창법은 판소리사에서 귀중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3대 명창을 배출한 김성옥-김정근-김창룡, 김창진의 기문인 김문이다. 이들의 고향인 바로 강경 일끗리라고 한다. 그곳과 이동백의 고향인 서천군 종천면 희이산, 김정근이 두 아들을 데리고 와서 살았다는 서천군 장항읍의 빗금내를 돌아보고 싶다.

 

그리고 시간이 허락한다면 돌아오는 길에 부여 부소산성과 공주 공산성 등 충청남도 공주와 부여의 백제의 흔적을 만나보고 싶다. 시간이 23일 밖에 안되는데 갈 곳이 너무 많아 병이라도 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곳 날을 잡아 준비 해놓은 짐을 들고 길을 나서리라 마음을 먹는다.

난 봄이 되면 가장 즐겨하는 답사 장소가 산으로 꼬리를 내닫고 있는 성곽이다. 유난히 봄이 되면 성곽을 즐겨 찾게 된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우선 산성을 오르다가 보면 주변으로 펼쳐지는 산의 모습들이 아름답다. 또한 그 산 마루로 오르는 길에 아주 가끔은 정겨운 짐승들을 만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봄에 찾는 산성. 우선은 평지에 쌓은 성보다는 산성을 주로 찾는 이유는 또 있다. 평지에 쌓은 성에서 맛볼 수 없는 기분을 얻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산성 위로 난 길을 걷다가보면, 주변으로 달라지는 풍광에 빠져들게 된다. 그 풍광이란 것은 우리가 그냥 산을 오르다가 만나는 것과는 또 다른 묘미를 준다.

 

삼년산성

 

산성을 걷는 즐거움

 

전국에 수많은 산성들이 그동안 복원이 되었다. 하기에 산성을 따라 걷는 즐거움도 만만찮다. 산성은 각각 그 산을 에워쌓고 있는 방법이 다르다. 하기에 산성을 걷다가 보면, 많은 공부가 된다. 또한 역사 속에서 왜 우리 선조들은 이런 형태의 성을 쌓았을까를 생각하다가 보면, 꽤 길이가 있는 산성임에도 언제 돌았는지 모르게 한 바퀴를 돌게 된다.

 

산성을 따라 걷는 즐거움도 다르다.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다가 보면, 등줄기로 땀이 흐른다. 그 땀을 산마루에 난 산성위에 올라앉아 식히고 있노라면, 마음이 편해진다. 오염되지 않은 산마루에서의 심호흡. 그것 하나만으로도 산에 오른 효과는 충분히 느낄 수가 있다. 그런데 거기다가 공부까지 할 수 있으니, 이것이야 말로 ‘꿩 먹고 알 먹고’ 가 이닐까?

 

 

위 단양 적성, 아래 고모산성

 

자연을 따라 자연이 되는 시간

 

우리 선조들은 성을 쌓을 때 자연을 이용한다. 산성을 걷다가보면 어느 한 구석 자연을 넘어서지 않았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러면서 그 자연을 품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 선조들이 남겨놓은 산성이다. 그래서 그 산성이 곧 자연이다. 그 자연을 품고 걷다가보면, 나 스스로가 자연 안에 파묻히고 만다.

 

인위적으로 성을 쌓았지만, 그 성이 곧 자연이 되어버린다는 것. 그런 것을 느끼면서 성을 한 바퀴 돌아보면, 주변 곳곳에 참으로 아름답게 펼쳐지는 자연을 만나게 된다. 가끔은 성곽 틈사이로 졸졸거리며 흐르는 맑은 물을 만나기도 한다. 그 위로는 샘이 있고, 그 아래로는 수문이 생겨난다.

 

 

위 안성 죽주산성 아래 완주 위봉산성

 

그 모든 것이 자연을 거슬리지 않았다. 참으로 우리의 선조들은 자연과 얼마나 동화되는 삶을 살았는가 한 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그런 산성 위를 걷는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함이 밀려온다. 지금처럼 자연을 온통 뒤집어가며 커다란 공사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돌 하나를 놓으면서도, 그 돌이 자연과 동화될 수 있도록 마음을 함께 놓았다.

 

올 봄 산성을 걸어보자

 

올 봄에는 가까운 곳에 있는 산성을 걸어보기를 권한다. 그리고 그 산성을 따라 걸으면서 주변의 장관을 느끼고, 온통 꽃으로 덮이고 있는 아름다움에 취해보기를 권한다. 걸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가 없다. 또한 그것이 자연이라는 것을 느끼지 못하는 걷는다는 것은, 선조들의 지혜를 깨닫지 못하는 것이 되고 만다.

 

 

위 적성산성, 아래 홍주성

아름다운 산성 길. 가끔은 풀숲에서 날아오르는 새 한 마리를 보는 것도 즐겁고, 산짐승 한 마리가 새로 난 풀잎을 뜯다가 화들짝 놀라 뛰어가는 모습도 정겹다. 물 한 병 찔러 넣고 천천히 걷다가 보면, 그 산성 안에서 자연과 산성, 그리고 내가 결코 둘이 아니었음을 깨달을 수가 있다.


요즈음 사람들은 길을 걷기를 좋아한다. 길은 어디나 있다. 하지만 길이라고 해서 다 같은 것은 아니다. 건강을 위한 길도 있지만, 역사와 문화적인 뜻을 가진 길도 있다. 그런가 하면 경치가 아름다운 곳도 있고, 때로는 걷기조차 마음이 편치 않은 길도 있을 수가 있다.

그 많은 길 중에서 그래도 가장 마음에 드는 길은 역시 경치도 좋고, 역사와 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는 길이라면 더욱 좋다. 난 길을 걸을 때마다 생각을 한다. 왜 사람들은 이렇게 건강과 문화를 함께 누릴 수 있는 길을 두고, 악다구니 같이 답답한 도심으로 몰려드는지 모르겠다고.


꼬부랑 소나무와 고깔바위들이 널린 길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 9-1에 소재한 견훤왕궁지는, 전주 동남쪽에 위치한 해발 306m의 승암산 동편에 있는 동고산성에 위치해 있다. 이 왕궁터에서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면, 어느 곳에서도 보기 힘든 아름다운 길을 만날 수가 있다.

꼬부랑 소나무길. 아마 동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곳이다. 높이 10m 정도의 소나무들이 하나같이 꼬부라졌다. 흡사 춤을 추듯 제멋대로 휘어진 소나무들은 200여 평 정도에 멋스럽게 자리를 하고 있다. 왜 이곳의 소나무들만 이렇게 휘어진 것일까? 나야 나무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니, 왜 이런 나무들이 집단으로 서 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50여m 떨어진 곳이 후백제 견훤의 왕궁지가 있고 보면, 무슨 사연이라도 있을 것만 같다.


요술할매가 요술이라도 부린 것일까? 소나무들이 모두 휘어져 있다.

꼬부랑 소나무 길을 지나 서쪽으로 조금 길을 걸으면 나무계단이 나온다. 이 산 꼭대기에 무슨 나무계단이냐고 투덜거려보지만, 위로 올라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 걸음을 재촉하게 된다. 조금 앞으로 보이는 바위들과,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전주 시가지 때문이다.

마치 중이 고깔을 쓰고 있는 것 같다는 승암산. 높지 않은 산이지만, 승암산에는 역사와 슬픔이 함께 한다. 동고사를 비롯해 동고산성과 세계 유일한 동정부부 순교자가 묻혔다는 치명자천주교성지 등이 있다. 그래서 이산의 명칭은 승암산이지만 중바위산, 치명자산이라고도 한다. 치명자성지로 인해 치명자산이라고 한다지만, 그보다는 제 이름을 부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산은 언제나 그곳에 있었고, 그 이름 또한 이유가 있어 붙여진 것이기 때문이다.




바위 꽃이 아름다운 중바위

정상에 오르면 마치 고깔을 엎어놓은 듯한 바위들이 줄을 지어 서있다. 산마루에 칼끝처럼 뾰족한 바위들이 등성이를 따라 솟아나 있다. 바위에는 꽃이 핀 것처럼 화려한 문양이 돋아나 있다. ‘석화(石花)’라고 한다는 바위 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그 하나하나가 꽃처럼 아름답다.


중바위에 피어난 석화가 아름다운 문양을 자랑한다.

중바위의 앞으로는 전주시가지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한 눈에 전주 시가지와 전주천, 한옥마을 등이 시야에 가득 들어온다. 땀을 흘리면서 이곳까지 걸었지만, 그 시간이 오히려 즐거운 것은 이런 경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주에 있는 아름다운 길 중 가장 걷고 싶은 길이다.

무더위로 인해 흐른 땀을 산봉우리에 부는 바람에 식히며 다시 길을 걷는다. 동고사 방향으로 길을 내려가면, 가파르기는 해도 운치가 있다. 흡사 예전 꿈속에서나 보던 숲속의 요정이 다니던 길과 같은 곳을 지나야 한다. 조금은 미끄럽기도 하고, 돌부리에 걸리기도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즐겁다. 산이 높지가 않아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이면 충분히 돌아올 수 있는 승암산길. 산이 있어 산에 오른다고 하지만, 난 길이 있어 길을 걷는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전주 시가지와 견훤왕궁지로 가는 길.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