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연, 이주영, 이해균, 정세학, 차진환 작가 작품 만날 수 있어

 

남문로데오거리에 소재한 길가 갤러리인 남문로데오갤러리는 한 때 젊음의 거리였던 로데오거리에 소재하고 있다. 남문로데오거리는 애경백화점 등 수원역에 대규모 매장이 입점하면서 젊은이들이 떠나 거리가 텅 비어버렸다. 남문로데오상인회는 떠나버린 젊은이들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며, 그렇게 자구책을 강구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가 문화예술의 거리 조성이었다.

 

남문로데오상인회는 거리를 되살리기 위해 다방면으로 애를 쓰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거리미술관의 조성이었다. 거리에 있는 유료주차장 외벽을 거대한 거리 갤러리를 조성해 젊은이들을 끌어 모으겠다는 것이다. 처음 로데오상인회의 노력으로 젊은이들이 돌아오는 듯했으나, 아직도 로데오거리는 예전의 호황을 불러오지 못했다.

 

그런 로데오거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남문로데오거리 상인회는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있고, 그 결과 많은 갤러리들과 청소년문화공연장, 남문아트홀 등 전용공연장 및 소극장을 유치했다. 하지만 아직도 남문로데오거리는 한 때 극장이 6곳이나 있었을 때와는 달리, 젊은이들의 발길을 붙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로데오거리갤러리서 민미협 작가들 전시

 

28일 오후, 남문로데오거리를 찾아갔다. 거리갤러리인 남문로데오갤러리에 수원 민미협의 산루리작가회 회원들이 전시를 한다는 연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는 930일까지로 민미협 산루리 작가회 회원인 이오연, 이주영, 이해균, 정세학, 차진환 등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 중 전세학 작가와 이주영 작가의 작품은 몇 번이고 만났던 작품들이다. 정세학 작가를 처음 만난 것은 몇 년 전인가? 로데오거리에 소재한 해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 때였다. 작가 정세학은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니 올해로 만 58세다. 추계예술대학교와 홍익대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공미술 작업을 시작한 작가는 1998년에는 와우 프로젝트 - 달리는 도시철도로 문화예술관(지하철 7호선 설치) 작업에 참여했다.

 

작가는 2006년에는 Art in City 대전 홈리스 프로젝트 예술 감독을 맡았으며, 실학축전 2006년 미술감독, 서울 Hi Festival - 남대문 성곽 잇기 설치, 동해시 매화1 벽화 미술감독 등을 맡아 추진했다. 그런 정세학 작가의 작품을 수원 전시관에서 몇 번이고 만나면서 작품에 꽤 정이 들었었나 보다.

 

 

제주도의 바다냄새를 그려내는 작가 이주영

 

작가 이주영은 개인적으로 친분을 쌓은 지가 오래되었다. 민미협 수원지부장을 맡기도 한 이주영 작가는 한 때 수원에서의 작품활동을 접고, 제주도로 내려가 그곳에서 제주도의 풍물을 접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 후 다시 수원으로 돌아 온 이주영 작가는 어려운 가운데서도 늘 자신은 그림을 그려야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는 1980년대부터 1990년 초까지 격동의 세월에 미술운동을 하기도 했다. 당시의 사회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민초들이 한이 깃들어 있다. 그의 작품소재가 항상 자연과 더불어 우리가 늘 만날 수 있는 우리 주변의 풍경인 것도 이주영 작가의 작품을 담아내는 특징이다.

 

전시장소에서 만날 수 있는 이주영 작가의 작품은 그대로 민초들의 삶이다. 언제인가 이주영 작가의 전시를 찾아갔다가 낯익은 그림들을 만난 적이 있다. 바로 비탈과 골목이 유난히 많은 지동의 골목을 그려 전시를 연 것이다. 그런가하면 제주에서 만난 풍광과 야생화들을 그려 전시를 가진 적도 있다.

 

이주영 작가는 늘 민초들이 살아가는 현장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그렇게 오랜 세월을 그림을 그려오면서 자신이 가장 행복한 것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시간이 지나면 자신이 그린 작품들의 가격이 엄청날 것이라면서 즐거워하기도 했다. 그렇게 순수한 작가들의 색다른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곳이 바로 남문로데오갤러리 전시관이다. 아직 충분한 시간이 남아있으니 시간을 내어 로데오거리를 찾아가보길 권한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수원지부(지부장 이주영)가 주최하는 19회 수원 민족에술제<세월의 명()>이라는 재목으로 지난 23일부터 시작을 하여 31일까지 열린다. 이번 수원민족예술제는 미술위원회의 세월아 세월아 가슴 아픈 세월아 전22일부터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에 소재한 행궁레지던시 1층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에서 31일까지 열린다

 

이전에 미술위원회와 음악위원회, 풍물위원회, 영화위원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23일 오후 640분부터 화령전 앞 생태교통 홍보관 큰마당에서 열렸다. 이날 음악위원회는 현실의 고단함과 미래의 꿈과 희망 등 우리의 삶이 녹아있는 아름다운 노래들을 보급하고 함께하는 시간을 가졌다.

 

풍물위원회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풍물을 올바르게 지역사회에 계승발전 시키고자 풍물굿과 대동놀이와 같은 흥겨운 한마당 판굿으로 신명나는 세상, 살맛나는 우리 풍물을 만들아 가는데 앞장섰다.

 

 

화성박물관 AV실에서는 영화제 열려

 

영화위원회가 마련한 세월이 간다영화제는 수원박물관 AV실에서 24일 오후 430분부터 개회식에 이어 섹션2호 회원들이 제작한 5, 3, 18분 다큐멘터리인 세월아리랑(감독 노수옥), 여기 어디(감독 이정훈), 팽목항 가는 길(감독 오점균) 등의 다큐 영화 상영이 있었으며, 뒤를 이어 감독과의 대화로 이어졌다.

 

630분부터 시작한 섹션1 ‘기억과 치유 초청작 - 달이 기울면에서는 김유신 감독의 향, 정지윤 감독의 흔적, 김다정 감독의 향기, 김성철 감독의 괜찮아, 김상력 감독의 나의 마음이 너에게 가 딯길, 정소영 간독의 달이 기울면 등이 상영되었다.

 

세월호를 주제로 한 미술전 눈길 끌어

 

2014416일 진도 팽목항 앞에서 벌어진 참사인 세월호의 침몰. 우리 모두가 아파하고 분노한 이 인재는 아직도 채 끝나지 않았다. 행궁마을 커뮤니티 아트센터 1층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미술위원회의 전시는 세월호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주고 있다. 27명의 작가가 참여한 이 미술전은 돌아보는 내내 아픔이었다.

 

전시실에서 만난 손채수의 작품 넋굿은 가변설치 그림과 혼합재료로 조형을 한 작품이다. 바닥의 흰 천에는 한지로 접은 고깔에 꽃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그 앞에도 역시 흰 종이로 점은 꽃이 있다. 벽에는 넋전을 오려 붙인 그림이 걸려있다. 그저 바라다반 모아도 세월호의 아픔이 그대로 전해온다.

 

전시실 입구 허공에는 오은주의 작품인 피리부는 사나이가 걸려있다. 한 마디로 이 작품의 느낌은 젊은 생명들이 그대로 승천을 하는 형상을 담아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주영의 미안해는 어린 생명들을 지켜주지 못한 미안한 마음이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인 모습에서 그대로 나타나 보인다.

 

정말 세월호의 아픔이 그대로 나타나 있어요. 아이들과 힘께 왔는데 아이들도 이 전시를 보면서 언니오빠들이 다시 생각난다고 하네요. 이제는 이 아이들을 놓아주어야 하지만, 아직도 차가운 바닷물 속에서 나오지 못한 어이들을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요. 얼른 이 아픔이 끝났으면 좋겠어요.”

 

전시실에서 만난 시민 한 사람은 울먹이면서 말을 한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세월호의 아픔. 수원민예총 작가들인 수원민미협 작가들과 경기지역 작가들이 함께 마음을 모아 준비한 이 전시로 인해,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고 상처 입은 사람들의 마음을 공감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