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茅亭)'이라 하면 어떤 정자를 생각할까? 모정이란 세상에서 가장 소박한 정자dl다. 또한 민초들이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직접 지은 정자이기도 하다. 모정은 여름철에 농사를 짓다가, 더위를 피하기 위해서 짚이나 새(마른 풀) 등으로 지붕을 덮어 만든 작은 정자를 말한다.

 

모정은 농정(農亭), 농청(農廳) 혹은 양정(凉亭) 등으로도 부른다. 모정은 일반적인 정자들이 경관이 수려한 곳에 짓는데 비해, 논이나 밭 등의 주변에 짓는다. 주로 논농사를 많이 짓는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정은 농사일을 많이 하는 남성들이 많이 이용을 한다. 모정에서는 청·장년층의 농민들이 쉬는 시간을 이용해 이야기꽃을 피운다. 모정에서 나누는 대화는 양반가의 정자가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는데 비해서, 서민적이고 대중적인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주민 모두가 주인인 모정

  

모정에 모인 사람들은 한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쉽게 대화를 할 수 있으며, 마을의 잡다한 이야기가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모정은 마을 공동체의 산실이기도 하다. 세상에서 가장 소박한 정자 모정은 특별한 정자의 명칭을 붙이지 않는다. 혹은 멋들어진 이름을 붙이기도 하지만, 통상 모정이란 명칭으로 불린다.

 

대전시 무수동에 자리한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29호 안돈권씨 유회당 종가

 

유회당은 권이진이 부모를 위해 지은 것이다.

 

대전시 중구 무수동에 가면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가 있다. 유회당은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 권이진(1668 ~ 1734)이 처음으로 터를 잡았던 곳이다. 이곳에는 종가 외에 권이진이 부모를 생각하여 지은 유회당이 있다. 이곳 무수동 대전 보문산 남쪽에 자리 잡은 종가 앞에 모정이 서 있다.

 

옛 전통이 살아있는 마을

 

무수동의 모정은 안동권씨 종가의 정원을 함께 어우르며 서 있다. 길가 곁에 서 있는 모정은 작고 소박하다. 모정 곁에는 연못이 있고, 가을이면 불게 물드는 나무들이 모정을 더욱 정답게 만들어 준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무수동 모정. 요즈음에는 천편일률적으로 만들어 놓은 시멘트 모정이나, 기와를 올린 모정들이 옛 정취를 사라지게 만든다.

 

 

유회당을 한 바퀴 돌아 내려오다가 모정에 피곤한 발길을 맡긴다. 사대부가의 양반네들이 지은 화려한 정자는 사람을 가린다. 문을 달아 내거나 집 안, 혹은 근처에 있어 아무나 들어갈 수가 없다. 하지만 모정은 다르다.

 

길을 걷는 사람이거나, 그 마을 사람이 아니라고 해도 누구나 그 모정을 이용해 피곤한 다리를 쉴 수가 있다. 그래서 모정은 담을 필요로 하지도 않고, 문을 달지도 않는다. 그저 물 한 모금으로 목을 축이고 새 기운을 얻을 수 있는 곳이 바로 모종이다. 

 

그래서 모정은 마을마다 논두렁이나밭두렁, 혹은 입구 정자 나무 그늘에도 하나씩 서 있었다. 지나는 사람까지도 반갑게 맞아들이고, 마음놓고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장소이다. 무수동 모정에 걸터 앉나본다. 미처 새로 바꾸지 못한 초가의 짚 냄새가 정겹다. 어디를 가나 있었던 지역 공동체의 산실 모정. 그 정취가 그립다. 

한 낮의 더위가 30도를 웃돈다. 올해는 무더위가 상당히 기승을 부릴 것만 같다. 이럴 때는 그저 시원한 계곡이나 숲속으로 들어가, 폭염을 피할 수가 있다면 그보다 행복한 일도 없을 듯하다. 이런 더위에는 그저 시골 숲이나 계곡 가까이에 사는 사람들이, 한 없이 부럽기만 하다.

 

올 여름에는 더위가 유난히 맹위를 떨칠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기온이 점점 아열대성으로 변해간다고 하니, 더위를 유난히 많이 타는 나로서는 정말로 눈앞이 캄캄할 지경이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등줄기를 타고 내린다. 지칠 대로 지쳐있는데, 누군가 ‘갤러리아’로 가자고 한다. 그 곳에 숲과 내가 있다고.

 

 

도심 한 복판 옥상에 웬 숲?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25-1번지에 소재한 갤러리아백화점 수원점. 그 주변까지 가서 아무리 돌아보아도, 숲 같은 것은 보이지를 않는다. 하긴 이 빌딩이 들어찬 인구 120만의 수원의 중심부에, 답답한 빌딩 숲 말고 무슨 숲과 내가 있을까? 갑자기 더 더워지는 듯하다. 동행을 한 일행이 눈치를 챘는지, ‘옥상으로 올라가세요.’ 라고 한다.

 

옥상에 무슨 숲이 있을라고? 하긴 요즘 옥상에 텃밭을 만들고, 나무를 키우는 것은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커다란 백화점 옥상에 무슨 숲이 있고, 전원의 목가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인지. 눈앞에 펼쳐지는 광경을 볼 때까지는 믿지를 않았다.

 

 

 

나무와 돌로 조성한 길. 그리고 한 옆을 흐르는 냇물, 시골마을 논 한 가운데서 볼 수 있는 초가로 된 모정, 그리고 물레방아. 흐르는 냇물 옆에는 이곳에 서식하고 있는 ‘수상생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우렁이, 비단잉어, 금붕어, 토종붕어, 토종잉어, 메기 등 다양한 수상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단다.

 

‘하늘공원’, 이름만큼이나 신선하다

 

이곳을 ‘하늘공원’이라고 한단다. 이름만큼이나 신선한 곳이다. 도심의 건물 옥상에 정말 이런 곳이 있었다니. 여기저기 곳곳에 사람들이 앉아 쉴만한 곳을 마련하였다. 7월 2일 한낮의 온도는 이미 30도를 넘고 있었지만, 이곳은 별천지였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소리, 작은 연못과 같은 곳에서 인조암벽을 타고 흐르는 물소리만 들어도 시원하다.

 

 

 

 

“이런 곳이 있었으면 진작 이야기를 했어야지”

“저도 말만 들었어요. 이제 자주 오려고요”

“혼자 다니지 말고”

“언제든지 오세요. 늘 이 자리는 비워놓을 테니까요.”

 

젊은이들이 자주 찾는 곳

 

시원한 냉수 한 잔이 정말 고마운 날씨에, 이렇게 숲 내가 나는 곳에서 마시는 차 한 잔은 각별하다. 젊은 연인인 듯한 두 남녀가 손을 잡고 걸어온다. 한편에 무엇인가를 달고, 환하게 웃는다. 무엇인가 궁금하여 가보니, ‘사랑의 잠을 통’이다. 아마도 이렇게 하늘 가까운 곳에 와서 두 사람의 마음을 잠가놓았으니, 절대로 변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그저 돈을 들여 어디론가 가길 좋아한다. 그것이 피서라고 생각을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곳을 놓아두고 꼭 그래야만 하는 것일까? 요즘같이 경제사정도 좋지 않을 때, 이런 하늘공원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이 행복이다. 주변에서 느낄 수 있는 작은 행복. 그것이 진정한 행복이 아닐까?

남성들만의 공간인 사랑채와 외별당

99칸 양반집은 독립된 전각만 해도 9동이나 된다. 그 독립된 건물들이 대지의 여기저기 자리를 잡고 있으면서, 나름대로의 특성에 맞게 건물이 지어졌다. 현재는 한국민속촌 안에 자리를 잡고 있지만, 이 많은 건물들이 수원 팔달산을 배경으로 남아있었다고 하면 장관이었을 것이다.

2월 18일 답사를 한 한국민속촌. 사진을 촬영하면서 양반집을 한 바퀴 돌아보는데 만도, 아마 족히 한 시간은 더 걸린 듯하다. 솟을대문을 들어가 우측으로 바라보면 바깥사랑채와 줄행랑이 이어진 곳이 있다. 그곳에 문이 있으며, 그 문을 나서면 사랑채가 있고, 담장을 사이로 외별당이 있다.

사랑채

바깥사랑채 뒤편

교육과 생활을 위한 사회적 공간


사랑채는 ㄱ 자형이다. 9칸 정도의 큰 공간을 마현한 사랑채는 집안의 가장이 사용하는 곳이다. 이곳은 바깥사랑이 손님들이 묵어갈 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면, 사랑채는 집 주인이 기거를 하면서 자녀들의 교육을 시키는 곳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이곳은 남자의 사회적 공간이다.

99칸 집의 사랑채는 큰 대청을 사이에 두고 사랑방인 큰 방과 건넌방이 있다. 큰 방 아래는 복도를 통해 마루방으로 된 서고가 있으며, 옆에는 상노가 거처하는 작은 온돌방이 한 칸 마련되어 있다.

너른 대청과 마루방을 둔 사랑채

건넌방 끝에도 마루방을 두고 있다

일각문을 통해 대문을 거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했던 사랑채

이 사랑채의 특징은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은 맞배지붕이다. 큰 방인 사랑방은 주인이 사용하지만, 건넌방은 자녀들 중 남자아이들이 이곳에 묵으면서 학습을 하던 곳이다. 건너방 옆으로는 넓은 마루방이 또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인 반가의 사랑채보다 그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6,25 한국전쟁 뒤에는 이 사랑채를 검찰청으로 사용을 하기도 했다.

풍류를 즐기던 외별당

아마 이 99칸의 남창동 양반집에서 가장 멋스러운 건물을 꼽으라고 한다면, 당연히 외별당이 될 것이다. 외별당은 남자들의 공간이다. 사랑채에서 일각문을 통해 담장 너머로 있는 외별당은 안채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다.

풍류를 즐기던 곳 외별당

외별당 앞에는 무정과 연못 등이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세운 외별당은 양반집 안에서 가장 멋지게 구성이 되었다 

외별당은 ㄱ 자형의 마루 중심의 건물이며, 온돌방과 대청, 누마루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외별당은 한편에 작은 방 4개를 꾸며놓고, 대청과 누마루를 드렸다. 이 집에 이렇게 작은 방이 많거나 대청을 넓게 둔 것은, 특별한 손님을 맞이하거나 모임, 풍류 등을 즐기던 곳이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이 외별당은 주인의 사회활동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날렵하게 처마가 솟아오른 팔작지붕도 아름답지만, 외별당 앞에는 누정과 연못을 두어 온치를 더했다. 누마루는 장초석을 밑에 놓고 올려 지었으며, 남은 면은 기단을 높이 쌓아올려 외별당을 지었다. 외별당은 또 다른 특별함이 있다. 바로 사방에 난간을 두르고, 돌계단을 놓아 어느 곳에서나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마도 풍류를 즐기다가 쉽게 건물의 밖으로 이동을 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팔작지붕의 날렵한 처마 끝이 아름답다

풍류를 즐기던 외별당은 사방에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별한 남성들만의 공간인 외별당. 독립적인 공간으로 가장 화려하게 꾸며져 있는 곳이다. 수원 남창동 팔달산 밑에서는 한 때 이 외별당에서 흘러나오는 풍류소리가, 팔달산을 울리지나 않았을까? 괜스레 외별당 주위를 맴돌면서 별별 생각을 다해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