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제41대 헌덕왕은 조카인 40대 애장왕을 폐위시키고 즉위했다. 당시 숨진 원혼을 달래며 왕의 참회를 돕고, 나아가 나라와 백성의 안녕을 위해서 창건한 사찰이 은해사의 시초가 되는 해안사이다. 운부암으로 가는 길 부근인 해안평이 당시 해안사 절터이다.

 

해안사 창건후 고려 원종 11년인 1270년에 홍진국사가 중창하였고, 1275년 충렬왕 때 원참스님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성종 16년인 1485년에 죽청스님과 의찬스님이 묘봉암을 중창하였으나, 1545년 인종 원년에 큰 화재가 발생해 사찰이 전소되었다.

 

 

이듬해 명종 원년인 1546년에 나라에서 하사한 보조금으로 천교화상이 지금의 장소로 법당을 옮겨 새로 절을 지었다. 이 때 법당과 비석을 건립하여 인종의 태실을 봉하고 은해사라고 이름을 짓게 되었다. 1563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이듬해에 묘진 스님이 중건하였으며, 1589년 선조 22년에 법영대사가 법당을 현재의 자리에 크게 중창하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였다.

 

임진왜란 때도 전화를 입지 않아

 

그 후 1592년 임진왜란이 있었지만 큰 피해는 입지 않은 듯하다. 숙종 38년인 1712년에는 은해사를 종친부에 귀속시켰고, 1714년에는 사찰 입구 일대의 땅을 매입하여 소나무를 심었다. 지금의 은해사 앞 금포정의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그때에 심어진 것으로, 300년 가까운 세월동안 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소나무들이다.

 

그러나 헌종 13년인 1847년에 은해사 큰불이 나 극락전을 제외한 천여 칸의 전각이 모두 소실되었다. 인종의 태실 수호사찰이며 영조의 어제수호 완문을 보관하고 있는 사찰인 은해사를 중창하고자, 당시 영천 군수 김기철이 300궤미의 돈을 시주하였으며, 대구감영과 서울 왕실의 시주가 계속 답지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그리하여 수만 냥의 재원을 확보하여 3년여 간의 불사 끝에 헌종 15년인 1849년에 중창불사를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이 때 지어진 건물이 대웅전, 향실, 고간, 심검당, 설선당, 청풍료, 보화루, 옹호문, 안양전, 동별당, 만월당, 향적각, 공객주 등인데 이 중에서 대웅전과 보화루, 불광의 삼대 편액이 김정희의 글씨로 채워졌다.

 

그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은해사는 말사 39개소, 포교당 5개소, 부속암자 8개소를 관장하고 있는 대본사이다. 1943년까지만 하더라도 은해사에는 건물이 35245칸에 이르러 대사찰의 위용을 자랑했지만, 현재 은해사 본사내에는 19개 건물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자료 은해사)

 

 

소나무가 하늘을 찌르는 금포정을 들어서다

 

은해사를 다녀온 지도 꽤 시간이 흘렀다. 금포정은 소나무와 금강송이 우거진 소나무 숲길이다. 2km나 되는 이 길은 1714년 조선조 숙종 때 일주문 일대의 땅을 매입하여 소나무를 심었다. 수령이 300년 정도에 10m가 넘는 송림이 우거져 있는 길이다. 2007년과 2008년도에는 금강송 1080주씩을 이곳에 식재하였다.

 

은해사에는 보물인 괘불탱을 비롯하여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대웅전 등 많은 문화재들이 부속암자와 은해사에 소재하고 있다. 은해사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쌍거북바위는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왜구들이 의해 훼손이 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주변을 정비하던 중 목이 달린 한 마리를 발견하여 지역 주민들의 고증을 거쳐 현지에 마애삼존불과 함께 복원을 하였다. 은해사 거북바위는 무병장수와 가정의 안녕을 기도하면 좋은 결실을 맺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유생들이 이곳에서 기도를 한 후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고 한다.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479에 소재한 천년고찰 은해사. 다녀온 지가 오래되어 기억조차 가물거린다. 답사란 항상 다녀온 후 바로 기록을 해야 하는 것은, 그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함이다.

 

경북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에 소재한 흑석사.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사찰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흑석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찰로 내려오다가, 1945년부터 새롭게 중창을 하고 있다. 흑석사는 국보인 목조아미타불 좌상, 보물인 석조여래좌상, 그리고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 등이 있는 절이다.

 

현재 불사 중에 있는 흑석사는 극락전에는 목조아미타불이, 그리고 경내의 가장 높은 곳에는 마애삼존불과 그 앞에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하고 있다. 절 안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

 


부처님이 답답하시겠네

 

흑석사 경내를 들어서면 마애불로 오르기 전 좌측에 극락전이 있다. 이 극락전 주위에는 석물들이 있고, 극락전 안에는 국보 제282호인 목조아미타불이 유리 안에 모셔져 있다. 이 목조아미타불의 안에서 발견된 복장유물과 함께 국보로 지정된 아미타불은, 조선조 세조 4년인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임이 밝혀졌다. 이 목조아미타불이 처음 있었던 사찰도 흑석사가 아니고, 정암사 법천사라는 것도 복장유물로 인해 알게 되었다.

 

  
극락전에 모셔진 국보 제282호 목조아미타불.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이다.


국보를 만나는 마음은 조금은 다른 것 같다. 전문가가 아니니 국보와 보물의 차이점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복장유물, 보존상태, 전체적인 형태의 생김새, 희귀성 등을 고려한다면 이 석조아미타불은 그 모든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목조불상의 하나로 평가를 받는 이 목조아미타불은, 높이 72cm, 어깨 폭이 29cm, 무릎 폭 50cm이다. 바라다만 보아도 저절로 마음이 경건해짐을 느낀다.

 

조금은 수척한 듯한 안면과 단아한 모습에서, 그저 알기 쉬운 부처님의 미소를 찾기란 쉽지가 않다. 그러나 앞에 서서 손을 모으고 절을 한 후 올려다본 석조아미타불의 모습은 무엇인가 알 수 없는 따듯함이 배어나오게 만든다. 한참이나 앞에 앉아 마음속으로 간구를 하다가 문득 부처님이 답답하실 것이란 생각을 한다. 소중한 문화재를 보호하는 것은 좋지만, 꼭 저렇게 유리 상자 안에 가두어 놓았어야 할까? 조금은 마음이 편치가 않다.

 

  
보물인 석조여래좌상과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을 모셔놓은 전각

 

높은 곳에서 중생을 바라보는 석불과 마애불

 

극락전을 나와 조금 위에 있는 전각으로 향한다. 축대를 쌓고 높다라니 모셔진 마애불과 석불이 함께 좌정하고 계시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흑석사 주변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마애불 잎에 모셔놓았다고 한다. 앞에 문화재 안내판이 없었다면, 아마 이 석불이 근자에 조성된 것으로 착각을 했을 것이다. 그 정도로 상태가 양호하다. 그래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공부는 끝이 없는 것인지. 아무리 열심히 답사를 하고 배워보지만, 그저 답답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전문적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 늘 아쉬운 부분이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석조여래좌상은 높이 160cm, 어깨 폭 80cm, 무릎 폭 90cm로 전체적인 표현이 안정감이 있다. 이 좌상의 뒤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로 지정된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커다란 자연 바위에 새긴 이 마애삼존불은 입상으로, 중앙의 본존불과 앙편에 협시불을 모셨다. 그런데 이 삼존불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한다. 본존불은 가슴 이하, 협시불은 목 부분 이하를 조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자연바위에 조각한 마애불의 앞에는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한다

  
마애불의 상단부분.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마애불을 제외하고는 제 자리를 벗어난 부처님들. 세상에는 '처처불상 사사불공(處處佛像 事事佛供)'이라 했던가? 어디에나 부처님이 계시고, 어느 때나 불공을 드리라는 소리인지. 이 흑석사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라고 해서 세상이 달라질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그 믿음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그리고 얼마나 인간적인 삶을 사느냐에 따라 세상이 달라질 뿐이다.

 

높은 곳에서 인간들을 내려다보고 있는 흑석사의 부처님들은, 오늘도 세상을 자기 아집으로 살아가는 인간들을 측은함으로 보고 있지나 않을까? 흑석사를 떠나면서 몇 번이고 뒤를 돌아다보게 한다. 난 과연 인간답게 살았는가를 생각하면서.

사람들은 마애불에 무엇을 빌었을까? 아마도 자식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누구는 꼭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것이다. 또 어떤 이는 돈을 많이 벌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이웃집 아주머니는 서방님에 대한 간절함도 빌었을 것이다. 한 마을에서 그렇게 오래도록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마애불이 있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소재한 수원박물관에 들러 기획특별전을 보고 나오다가 보니 박물관 마당에 석조물들이 보인다. 이것저것을 돌아보면서 일일이 촬영을 하다 보니, 박물관 입구 쪽에 전각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 바위가 있는데 마애불인 듯하다. 몇 시간을 산으로 올라가야 하는 마애불을 촬영하기 위해서도 가는데, 평지에서 마애불을 만나다니 이게 웬 횡재인가?

 

 

일석에 조성된 특이한 삼존불

 

수원박물관 경내에 자리한 마애불은, 현재 수원시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삼존마애불은, 가운데 약사여래좌상을 두고 양편에 협시불을 조성했다. 일석에 삼존상을 조성하였는데, 중앙에 본존인 약사불은 연화대좌위에 좌상으로 새겨져 있고, 양쪽에는 협시상은 입상으로 조각하였다.

 

본존의 높이는 120cm 정도로 두광을 조성하고, 육계가 평평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의 흔적이 보인다. 목에는 삼도를 조각하였으나 많이 마모가 되었다. 법의는 통견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양편에 조각한 협시상은 입상으로, 높이가 100cm 정도이다. 흔히 동자상이 민머리인데 비해 이들 협시상은 머리에 관을 쓰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마도 동자가 아닌 보살상으로 조성을 한 듯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양편의 협시보살상은 바로 월광보살과 일광보살을 의미하는 듯하다. 이것은 약사여래가 주야로 쉬지 않고 중생을 돌본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양편 보살상의 법의는 통견이며, 수인은 미숙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원래 이 마애불은 화서동 숙지산의 동쪽에 자리한, 동래 정씨들의 세거지 아래쪽에 자리하던 것을 2008년에 이전하여, 10월 1일 수원박물관의 개관일에 맞추어 일반인들에게 선을 보였다.

 

마을에서 기자신앙의 대상물로 섬겨

 

중앙에 새겨진 약사여래상. 약사불은 중생의 질병을 구완하는 부처이다. 동래 정씨들의 집안 부녀자들이 매달 초하루가 되면, 이 약사불에 와서 빌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아들이 없어 애를 태우던 사람이, 이 마애삼존불에 빌어 삼형제를 나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래서 이 약사불은 득남에 영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마을에서 전해지는 설화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중앙에 조성한 약사여래좌상이다. 본존불은 결가부좌를 하고 앉아 있는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게 조성이 되어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늘어져 있으며, 법의에서 보이는 옷 주름 등의 처리도 미숙하다.

 

일반적인 마애불과는 차이가 있어

 

이 약사여래마애좌상은 연화대 밑에 축대를 상징한 듯한 조각이 보인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상의 발밑에도 역시 같은 처리가 되어있다.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듯한 형상이다. 우측 손은 무릎위에 놓고, 좌측 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안으로 향하고, 우측 손은 무릎 위에 놓고 있다.

 

 

이 삼존불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고 있으며, 얕은 부조로 조성을 하였다. 그런데 이 약사여래좌상의 얼굴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누군가 코를 다 파낸 듯하다. 기자속에 부처의 코를 깎아다가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다. 아마도 누군가 아들의 점지를 간절히 원하여 이 동래정씨 집성촌에 서 있던 마애불의 코를 깎아낸 것이나 아닌지. 결국 부처님의 코와 아들하고 맞바꾸었다는 이야기이다.

 

오래도록 동래 정씨들이 섬겨왔다는 마애불. 그동안 얼마나 많은 아이들을 점지 한 것일까? 조금은 미숙한 조각이지만, 그 마음이 한없이 따듯하다. 이웃에서 편하게 만날 수 있는 그런 동네아저씨와 같은 편안한 상 때문이다.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 마곡산 줄기 부처박골에 가면, 마애보살좌상을 선각한 바위 옆에 또 하나의 커다란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는 고려중기 이후에 조각된 것으로 설명이 된, <소고리 마애삼존석불>이 있다. 바위 밑에는 누군가 치성을 드린 듯 촛불이 커져있다.

이천시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삼존석불을 바라보다가 한참이나 웃었다. 그 모습이 지금까지 보아오던 마애불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마애삼존석불을 보다가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바로 우리가 흔히 즐겨있던 손오공의 이야기인 서유기가 삼존불 안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물론 혼자 만의 생각이겠지만, 이 삼존석불 안에 서유기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다. 마애삼존석불은 중앙에 본존불을 크게 돋을새김 하였다. 높이는 203cm인데 얼핏 보니 서유기의 손오공을 닮았다는 생각이다. 혹은 다시 보면 저팔계와도 닮았다. 원래는 손오공을 표현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 누군가 코를 쪼아내서 저팔계와 비슷한 모습도 하고 있다.

마애삼존석불이 서유기를 본뜬 것은 아닐까

서유기는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이다. 오승은이 지은 책으로 승려인 현장이 천축국인 인도에 가서 불경을 구해온다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를 둔 이야기다. 서유기에 나오는 현장은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로, 602년에 태어나 664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 현장을 따르는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은 각각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은 삼장법사를 따라 불경을 구하러 인도를 가면서 81차례나 모험을 한 끝에 불경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소고리 마애삼존석불을 보다가 갑자기 서유기가 생각이 나는 것은 왜일까?


이 마애삼존석불은 소고리 부처박골에서 산을 향하고 있다. 모두가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두 다리를 결가부좌한 좌상이다. 본존불과 양편이 협시불, 모두 손을 가슴으로 모았다. 좌협시 보살은 60cm, 우협시 보살은 93cm의 크기이다. 그런데 아무리 보아도 본존불은 손오공, 좌협시 보살은 사오정, 우협시 보살은 삼장법사를 닮았다.

마애불의 추정연대가 혹 1500년 이후는 아닌지?

고려중기 이후라고 하면 1150년 이후가 된다. 만일 이 마애삼존석불이 고려 중기 이후에 조성한 것이라면, 손오공을 주인공으로 한 서유기를 지은 시기와는 연대가 맞지를 않는다. 마애삼존석불의 문화재 설명문에는 막연히 고려 중기 이후로만 적고 있다. 정확한 조성연대는 알 수가 없다. 그렇다면 이 마애삼존석불이 혹 1500년대 이후에 조성된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서유기를 지은 오승은은 1500년대에 살았던 사람이다. 혹 명대의 이 책을 보고, 누군가 그 서유기의 이야기를 마애불로 표현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삼존석불은 아무리 보아도 서유기를 도식화해서 만든 작품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마애삼존석불의 본존불을 보면 콧구멍을 뚜렷하게 표현했다. 눈이나 생김새도 손오공을 닮았다.

얼핏 보아도 일반적인 부처의 상이 아닌 손오공이라는 생각이다. 함께 동행을 한 친구에게 물어보았다. 중앙에 본존불을 보면 무엇이 생각나느냐고. '손오공'이라는 대답이다. 그렇다면 나만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남들도 왜 대뜸 손오공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삼존불 안에 손오공, 사오정, 삼장법사가 있다

머리에는 관을 쓰고 귀는 어깨까지 늘어진 본존불. 고려조나 조선조의 마애불에서도 나타나지 않는 전혀 다른 조각의 형태. 그리고 토우 등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 등, 이 삼존석불에서는 모든 것이 다르다. 이목구비도 도식화 되어있으며, 일반적인 불상조성의 규범에서 벗어나 있다. 그저 관 위에 또 다른 무엇인가를 표현하려고 했던 것과 같은 두광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협시보살의 형태도 마찬가지다.

좌협시 보살을 보면 높은 관을 쓰고 있다. 그 모습이 영락없는 삼장법사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고 있다. 본존불과 좌협시 보살이 삼도를 표현한데 비해, 우협시 보살은 삼도가 없다. 머리는 맨머리인데 두건 같은 것을 쓰고 있다. 서유기의 사오정과 같은 모습이다. 마애삼존석불을 돋을새김한 바위도 이 지역에서 보이는 바위와는 재질이 다르다.


바위 여기저기에 구멍이 뚫려있다. 옆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의 돌과는 전혀 다른 석질인 듯하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 바위가 여기 와서 있는 것일까? 그리고 어째서 저 마애삼존불이 내 눈에는 서유기의 인물들 처럼 보이는 것일까? 그동안 너무 많이 돌아다녔더니, 이젠 머리까지 이상하게 되어가는가 보다.

인근에는 없는 석회암같이 구멍이 뚫려있는 바위. 그리고 서유기의 손오공, 삼장법사, 사오정과 같은 인물의 표현. 이 마애삼존석불을 떠나면서도 머릿속이 혼돈스럽다. 왜 저것이 서유기의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을까? 그래서 늘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얻기 위한 여정이 계속되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