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밟기도 모자라 이번에는 신성한 타 종교의 전각에 난입해, 오줌을 깔기고 상스런 욕까지 낙서를 해댔다니. 이런 사람을 어찌 종교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면 이런 특정 종교의 횡포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정말로 그냥 넘어갈만한 사안이 아니다. 팔공산 동화사가 한 마디로 한 종교인이라고 하기에도 허접한 인간에게 더럽혀진 일이다.

 

성아무개(43세)라는 개신교 목사(목사란다)라는 자가 팔공산 동화사에 들어가 산신각의 벽화에 상스런 낙서를 하고 선영을 모셔 놓은 조사전에 들어가 기물에 방뇨까지 했다는 것이다. 지난 8월 20일 성아무개라는 이 인간 말종은 차량 출입 통제가 된 동화사의 대웅전 앞마당까지 차를 몰고 들어가, 법당에 있는 불교경전을 찢었다는 것.

 

 

산신각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30여 분 간 대웅전에서 행패를 부린 후 산신각으로 들어간 이 성아무개(개가 맞는 듯하다)는 산신각에 모셔진 산신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한 후, 다시 조사전으로 들어가 그릇과 향로에 소변까지 보았다는 것이다. 이런 행패는 CCTV에 그대로 찍혀 동화사 측의 신고로 10여일 만에 경찰에 잡혔다.

 

성아무개는 경찰조사에서 ‘○교회 교단인 대한기독교 모성회의 소속목사로, 지난 2005년에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최근까지 경상도 지역의 한 교회에서 부목사호 목회를 했다'고 한다. 성아무개는 불교경전에 헛된 것이 적혀있어 훼손을 하고 낙서를 했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보물인 동화사 대웅전. 이 안에 예불을 드리고 있는데 무단침입을 하여 불경을 찢고 난동을 피웠다

 

종교모독사건, 끊이지 않는 이유는?

 

경찰은 "계획적인 것은 아니고 불교에 대한 증오심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신이상 증세가 있다”고 두둔을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화사 측에서는 “정신이상이 있는 사람이 어떻게 최근까지 목회를 하고 운전까지 할 수 있느냐”면서 이것은 심각한 종교모독사건이라고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에 대한 일부 개신교들의 종교모독 사건은 불교 문화재의 훼손으로 시작해, 종교장소까지 난입하는 횡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교에 대한 일부 몰지각한 개신교의 광적인 행동들은 이 정부에 들어서 심히 극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산신각에 들어가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하고 조사전으로 가서 오줌까지 깔겼다고

 

조계사의 땅밟기를 비롯해, 낙서와 훼불 등이 심각할 정도로 번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은 ‘현행법상 종교관련 처벌 내용이 없어 추가조사를 벌인 뒤 재물손괴와 건조물침입 혐의로 입건할 방침’이라고 했단다. 참 이건 또 무슨 해괴한 발언인지 모르겠다.

 

보물인 동화사 대웅전에 무단 침입한 것으로 만도 중벌을 받아야

 

팔공산 동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사이다. 동화사에는 보물 제1505호인 사명당 유정의 진영을 비롯해, 보물 제1607호인 목조여래좌상의 복장물인 화염경 등, 보물 제1610호인 아미타극락회도, 보물 제243호 마애불좌상과 보물 제244호인 비로나자불, 보물 제247호인 비로암 삼층석탑, 보물 254호인 당간지주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자칭 개신교의 목사라는 인간이 산신탱화에 이런 상스런 낙서를 했단다 (자료 출처 /연합뉴스자료 인용)

 

더욱 처음에 들어가서 불경을 찢고 횡포를 부린 대웅전은 보물 제1563호이다. 그런데 단순히 손괴된 책과 탱화, 벽화의 감정서 제출을 요구하며 재물손괴 쪽으로 초점을 맞추고 수사를 진행한다는 것이다. 참으로 ‘어불성설(語不成說)’이란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이번에는 불교계도 그냥 묵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종교모독행위에 대한 단호한 대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더욱 문화재법을 개정해서라도 문화재에 함부로 난입을 하거나, 문화재 안에서 난동을 피울 경우 가중처벌을 할 수 있는 법 조항을 신설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광적인 작자들이 언제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훼파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황진이-

 

송도 명기인 명월이 황진이가 벽계수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지었다는 시조이다. 세월은 덧없는 것이라. 황진이의 시는 전하지만, 벽계수는 대체 어떤 이유로 첩첩산중 찾는 이 없는 외로운 곳에 유택을 마련했을까?

 

그러고 보면 이곳을 다녀온지도 꽤 시간이 흘렀다. 문막에서 원주로 가는 도로 우측 편에 보면 ‘동화사’라는 이정표와 함께, 벽계수 이종숙 묘역이라는 입간판이 있다. 안내판을 따라 들어가면 큰 돌 하나를 세워 세종대왕의 증손인 벽계도정 후손묘원이라고 썼다. 양편으로 밭이 있고 임도를 따라 조금 들어가다가 보면 벽계수 묘역이 우측 산길로 400m 라는 표시가 보인다.

 

 

찾는 이 없는 벽계수를 찾아가다

 

조금은 가파르다 싶은 산길을 따라 걷다가 보면 고묘가 한기 보이고, 그 앞에 벽계수묘역이 100m 전방에 있다는 표시를 본다.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리 산90번지, 바로 벽계수와 부인인 해평 윤씨가 함께 잠들어 있는 유택이다. 세종대왕의 증손으로 알려진 벽계수는 왕족이다.

 

세종대왕과 신빈 김씨 사이에서 영해군이 태어났고, 영해군의 차남은 ‘길안도정’이다. 이 길안도정의 3남이 바로 황진이와 의 애틋한 사랑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뻔한 벽계도정 벽계수이다. 여기서 도정이라 함은 세자의 증손 혹은 대군의 손자나 세자의 아들 및 적증손 에게는 정3품 계자를 제수하고 도정이라고 했다. 벽계수 또한 도정이라는 품계를 제수 받았다.

 

 

 

현실과 거리가 먼 벽계수의 사랑

 

벽계수는 중종 3년인 1508년에 태어난 것으로 기록되고 있으나, 사망한 년대는 불분명하다. 품계는 명선대부에 올랐으며 휘는 종숙, 호는 현옹이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며, 혼탁한 세상을 싫어하며, 빗대어 쓴 시가 많이 전한다. 35세인 1542년에는 관찰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흔히 드라마 속의 벽계수를 기억한다. 황진이와 서로 사랑놀음을 하면서 밀고 당기는 가운데, 자신이 연모하고 있는 여인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은 거리가 먼 것일까? 황진이는 송도 부근 성거산에 있는 화담 서경덕을 찾아가, 그를 유혹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다.

 

 

 

그리고는 다시 서경덕을 찾아가 스스로 송도에 꺾을 수 없는 것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박연폭포요, 둘째는 화담 서경덕이요, 셋째는 바로 황진이 자신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유명한 송도삼절이 생겨난 것이다.

 

벽계수의 사랑은 플라토닉 러브일까?

 

그러나 막상 청산리 벽계수의 주인공인 벽계수는 황진이의 그 애간장을 녹이는 시조 한수로 그만 낙마를 하고, 황진이의 마음속에서 멀어졌다. 문막읍 동화리 산 속에 있는 벽계수 이종숙의 묘, 묘지 위에는 이름 모를 풀들이 자라있다. 앞에 석물 몇 기는 최근에 후손들이 세운 듯하다. 묘역 한편에 있는 석물을 보니, 꽤나 오래된 돌이다.

 

 

이곳으로 옮겨왔다는 묘역은 그렇게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 묘역이 배향한 방향을 보니, 이 길로 가면 송도로 가는 방향은 아닐까? 한참이나 묘역 앞에 앉아 벽계수와 황진이,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기억해 낸다.

 

누군가 묘역 앞에 술병을 치우지 않고 갔다. 그럴 줄 알았으면 막걸리라도 한 통 받아올 것을. 내려오는 길에 숲속에서 나무 부딪는 소리가 나 쳐다보니, 커다란 노루 한 마리가 산등성이를 향해 치닫는다. 아마도 벽계수의 영혼이 그리운 황진이를 찾아 뛰어가는 것은 아니었는지. 그 사라진 숲만 쳐다보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