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입구, 혹은 사찰 입구에 보면 부릅뜬 눈에 왕방을 코, 그리고 삐져나온 날카로운 이빨. 어째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있다. 흔히 장승이라 부르는 이 신표는 지역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장승, 장성, 장신, 벅수, 벅시, 돌하루방. 수살이, 수살목, 수살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이다. 대개는 마을 입구에서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지만, 사찰이나 지역 간의 경계표시나 이정표의 구실도 한다. 장승은 대개 길 양편에 나누어 세우고 있으며, 남녀 1쌍을 세우거나 4방위나  5방위, 또는 경계 표시마다 11곳이나 12곳에도 세우기도 한다. 마을 입구에 선 장승은 동제의 주신으로 섬기는 대상이 된다.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 장승. 깎을때마다 세워놓아 집단의 장승군으로 변했다. 솟대와 함께 서있다. 2010, 3, 20 답사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장승의 모습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들어 세운다. 나무를 깎아 세우면 ‘목장승’이라 하고, 돌을 다듬어 세우면 ‘석장승’이라 한다. 장승만 세우는 경우도 있지만, 솟대, 돌무더기, 서낭당, 신목, 선돌등과 함께 동제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이 되기도 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아직 정확하지가 않다. 대개는 고대의 ‘남근숭배설(男根崇拜說)’과 사찰이나 토지의 ‘경계표지’ 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기도 하지만,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일설에는 솟대나 선돌, 서낭당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도 전해진다.

좌측은 충남 공주시 상신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목장승(2007, 1, 25 답사) 우측은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무갑리 목장승(2008, 12, 5 답사)

좌측은 전북 남원 실상사 입구에 서 있는 석장승(2010, 11, 27 답사) 우측은 전남 여수 영등동 벅수(2007, 12, 6 답사)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에 기록이 보여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보물 제157호인 장흥 보림사의 <보조선사탑비>에, 장승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이 탑비의 내용에는 759년에 ‘장생표주(長生標柱)’가 처음으로 세워졌다고 했다. 그 외에 <용재총화>나 <해동가요> 등에도 장승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이로 보아 통일신라나 고려 때는 이미 장승이 사찰의 입구에 세워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경계표시로 삼았다고 생각한다.

이 외에도 장승은 성문, 병영, 해창(海倉), 관로 등에 세운 공공장승이나, 마을입구에 세운 수호장승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를 하면서 민속신앙의 대상물로 깊숙이 자리를 잡았다. 현재까지도 마을에서는 장승을 신표의 대상물로 삼고 있는 곳이 상당수가 있으며, 옛 지명 중에 ‘장승백이’ 등은 모두 장승이 서 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광주 엄미리 장승은 마을의 입구에 서서 수호장승의 역할을 하지만, 밑 부분에는 거리를 알리는 로표장승의 역할도 한다. 2011, 1, 3 답사 

함양 벽송사 목장승. 목장승이 오래되어 훼손이 되었다. 보호각을 지어 보호를 하고 있다. 2010, 12, 11 답사 

장승은 설화나 속담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럴 정도로 우리와는 친숙하다는 것이다. 장승을 잡아다가 치죄를 하여 도둑을 잡았다거나. 판소리 변강쇠타령 등에 보이는 장승에 대한 이야기는, 장승이 민초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척 장승같다’거나 ‘벅수같이 서 있다’ 등은 모두 장승의 형태를 빗대어 하는 속담 등이다.

해학적인 생김새는 민초들의 삶의 모습

마을 입구의 양편에 서서 마을에 드나드는 사람들을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고 서 있는 장승. 처음 장승이 대하는 사람들은 ‘무섭다’고도 표현을 하고, ‘흉측하다’고도 표현을 한다. 그러나 이 장승들은 하나같이 그렇게 서 있으면서,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장승은 점점 마을 사람들을 닮아간다.

선암사 입구에 세워진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경계표시 장승. 2011, 3, 5 답사

사람들은 목장승을 1년에 한 번, 혹은 3년에 한번 씩 깎아 마을입구에 세우면서, 자신들의 심성과 닮은 모습을 만든다. 석장승 또한 돌을 다듬는 장인의 마음을 닮는다. 그런 점으로 볼 때 장승이 무섭기도 하지만, 해학적인 요소를 많이 띠고 있는 것은 민초들의 삶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권력이나 물질을 가진 자들에게 보여주는 험상궂은 얼굴 뒤에, 같은 민초들에게는 한 없이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다가서는 것이란 생각이다.

오랫동안 민간신앙의 대상물로 남아있는 장승. 아마도 사람들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은, 언제나 우리 곁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그렇게 함께 해 왔듯이.
단풍이 아름답게 물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이 바로 엊그제인 듯했다. 그런데 강원도 지방에는 폭설이 내려 길이 미끄럽다고 연신 화면을 하얗게 장식하고 있다. 참 시간이 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가보다. 경기도 지역에도 비가내렸다. 이 비가 그치면 날이 추워질 것이라고 한다.

아우네 집 마당을 나갔다. 빗줄기에 젖어있는 담벼락 밑에 서 있는 하루방들, 그런데 그 옆 단풍나무가 올해는 제대로 물이 들지 않았다. 그러던 단풍이 하루만에 비에 젖어 잎을 떨구었다. 비에 젖은 반쯤 물이 든 단풍잎이 그렇게 아름다운줄 몰랐다. 카메라를 꺼내들고 비를 맞으면 땅에 떨어진 단풍잎을 담아낸다.



그런데 돌하루방마다 단풍잎 한장씩을 머리에 붙이고 있다. 그 모습을 보다가 그저 웃고말았다. 왜 꼭 한 장만일까? 아마도 저 하루방님들 욕심이 없는 것인가보다. 그런 자연 하나에서도 사람들이 배울 것은 참으로 많다는 생각을 해본다. 한 장의 비에 젖은 단픙잎으로 멋을 내고 있는 돌하루방들. 그 모습에 여유가 묻어있다. 그저 보기만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그러고보니 요즈음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다. 이사를 하고 난후 그 많은 CD를 자시 정리를 하느라고. 12월 2일 새벽 3시 27분, 이제야 정리를 마치고 허리를 편다. 찬 물 한 잔이 장을 타고 흐르는 느낌이 좋다. 그동안 메말라 있던 장에 축축하게 젖어드는 느낌이다. 사람이 산다는 것이 어찌보면 말없이 서 있는 저 돌하루방보다도 못하다는 생각을 한다.

살겠다고 아우성을 쳐도 밥 한끼 배부르게 먹을 수 없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는 너무나 많다. 그런데도 기름끼가 가득 낀 배를 매일 기름으로 도배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눌줄 모르는 사람들. 죽어서도 그 많은 재물 때문에 아마 저승 길 조차 제대로 걷지 못할 것이란 생각이다. 돌하루방은 낙엽이 된 단풍잎 하나를 갖고도 저리 만족을 하는데 말이다.



어제부터 무엇인가 달라졌다. 종편채널들이 일제히 방송을 시작했다고 한다. 고집스레 보는 방송 외에는 보기채널에서 모두 삭제를 시켜버린다. 들여다보았자 세상살이에 도움이 안될 것 같아서이다. 요즈음은 방송이 사람들을 홀리고 있다. 잘 살고 있는 사람들을 바람을 넣기도 하고, 불륜을 하라고 조장을 하기도 한다. 예전처럼 방송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권선징악'이란 것은 눈을 씻고 보아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제 더 많은 채널들이 앞다투어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방송들을 해댈 것이다. 그저 혼자 걱정을 한다. 이넘 세상이 어찌 돌아가려는 것인지. 그저 돌하루방의 마음을 닮고 싶다. 단풍 한 장으로도 만족하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