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룡송. 마치 용이 승천하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소나무의 껍질이 마치 용비늘 같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11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381호 반룡송은 신라 말 도선이 심었다고 전하는 나무이다. 도선스님은 이천 백사면 도립리와 함께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에서 장차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을 예언하면서, 소나무를 심었는데 그 중 한 그루라고 한다.

 

하늘로 오르고 싶은 나무

 

반룡송은 이천 백사면 면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약 1.7㎞ 떨어진 도립리 어산마을에서 자라고 있다. 예전에는 이곳 뒤펴에 집이 있던 흔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주변에 마을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금은 이 반룡송 주변에는 모두 밭으로 변해, 올해는 땅콩밭이 있다.

 

 

천연기념물인 이 나무를 반룡송이라는 부르는 이유는, 하늘에 오르기 전에 땅에 서리고 있는 용과 같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는 일 만년 이상 살아갈 ‘용송(龍松)’이라 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부른다. 6월 17알 오후에 찾아간 반룡송. 이 인근을 지나칠 때마다 찾아가보고는 한다.

 

그것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반룡송의 상태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문화재란 항상 그 자리에 그대로 서 있다고 생각을 하면 안 된다. 어느 때는 과거와는 달리 훼손이 되어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곳에 와서 반룡송을 보았을 때는, 어딘가 조금 튼실하지 못한 것 같았기 때문에, 더욱 궁금했기 때문이다.

 

 

승천하는 용과 같은 가지가 일품

 

반룡송의 높이는 4.25m, 가슴높이의 둘레는 1.83m이다. 높이 2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넓게 퍼져 있으며, 하늘을 향한 가지는 마치 용트림하듯 기묘한 모습으로 비틀리면서 180°휘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용송이란 이름이 걸맞다는 생각을 한다. 한 가지는 땅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면서 기묘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한 나무이면서도 두 나무인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한편에 늘어진 가지는 땅에 끌릴 듯 휘어져 있다. 벌써 6~7 차례나 찾아가 만난 반룡송이지만 볼 때마다 새롭다. 늘 그 자리에 그렇게 서 있으면서, 언젠가는 하늘을 향해 승천을 할 날만을 기다리는 것 같기 때문이다. 반룡송 앞으로 가 나무를 찬찬히 살펴본다.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 만난 반룡송은 참으로 빛이 고운 것이 싱싱하다, 바라보면서 너무 고맙다는 인사를 건넨다.

 

 

전설을 간직한 반룡송

 

많은 전설을 간직한 신비한 나무인 반룡송은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신성한 나무로 여기고 있다. 그만큼 이 반룡송에 전하는 이야기는 많다. 구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껍질을 벗긴 사람이 병을 얻어 죽었다거나, 반룡송 밑에 떨어진 솔잎을 긁어다가 땠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돋았다는 이야기 등이다. 아무도 반룡송에 해를 가하거나 함부로 손을 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반룡송의 나무 표피가 붉은 색을 띠우고 있어서, 이 표피를 마을에서는 ‘용비늘’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 비늘을 건드리는 것도 화를 불러오는 짓이라고 하여, 가급적 나무 근처에 가까이 가서 해를 입히려고 하지 않는단다.

 

 

반룡송은 현재 이천 9경중에서 제6경으로 꼽히고 있다. 도선스님은 통일신라시대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신라 흥덕왕 2년인 827년에 태어나 효공왕 2년인 898년에 세상을 하직했다. 그 도선스님이 심었다고 한다면, 이 반룡송의 수령은 이미 1,100년 이상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년 만에 다시 찾아간 반룡송. 지난해보다 더 잎의 빛깔이 곱고 생육이 좋은 반룡송을 보면서 정말 고맙다는 생각을 한다. 1,100년이란 세월을 그렇게 한 자리에서 용이 승천하듯 자리를 지키고 있는 반룡송. 그 이름과 같이 만년송이 되기를 고대한다.

전주천을 굽어보는 한벽당 앞 다리 쪽에서 올려다보면, 산마루 가까이 7부 능선쯤에 커다란 입석불상이 서 있는데 이곳이 동고사다. 동고사는 전주의 사방에 세워진 절 중 하나로, 남고사, 서고사, 진북사와 더불어 사방에 세운 절 중 한 곳이다.


차를 타고 올라도 힘든 길이다. 6월 7일 5시가 넘어 카메라를 들고 길을 나섰다.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이라 숨이 턱에 닿는다. 전주의 남고산성과 더불어 마주하고 있는 동고산성을 오르기 위해서다. 동고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성으로, 조선 순조 때 건너편에 있는 산성을 '남고산성'이라 부르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라 헌강왕 때 도선스님이 창건한 동고사


현재 동고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전주의 동쪽에 자리한 절이라 하여 '동고사'라 칭했다고 한다. 동고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되었던 것을 조선조 헌종 10년인 1844년에 허주 스님이 재건을 하고, 그 후 1946년에 영담스님이 대웅전 등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른다.


동고사는 신라 경순왕의 둘째아들이 '범공'이라는 이름의 스님이 되어, 도를 닦으며 나라를 잃은 설움을 달랬던 곳이라고도 한다. 동고사를 오르니 전주 시내가 아래로 내려다보인다. 그만큼 동고산성 인근 위편에 자리한 절이다. 절에는 대웅전과 종각, 산신각, 염불원 등의 전각이 있다. 전각 아래로는 언제 쌓은 것인지 돌을 쌓아 탑을 여러 개 조성하였는데, 담장이가 타고 올라 고찰의 운치를 더하고 있다.

 

 


견훤의 왕궁 터엔 주추만 남아


동고사 인근에 견훤의 왕궁 터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찾아 나섰다. 동고사에서 내려오다가 단군성전 조금 못 미쳐 우측으로 난 길을 돌아 올라가면 동고산성의 안내판이 있다. 동고산성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44호로 전주시 완산구 교동과 대성동에 걸쳐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왕궁 터라고 전해진다.


견훤은 신라 효공왕 4년인 900년에 완산주(현재의 전주)에 '전주성'을 쌓고 도읍지로 정했다. 그 후 936년까지 37년간 존속을 했다. 1990년 이곳을 발굴할 때 전면 22칸 84.4m, 측면 3칸 16.1m, 총 66칸의 건물지가 발견이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단일 건물지로는 최대의 크기고, 이곳이 견훤왕의 궁성이었던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잡초가 우거진 궁궐터에는 커다란 돌 들이 나란히 놓여있다. 다듬지 않은 넓적한 이 돌들이 당시의 주초였는가 보다. 앞으로는 축대를 쌓았던 흔적인지 가지런히 돌들이 남아있다. 세월이 변해 이곳을 근거지로 삼아 백제부흥을 꾀했던 견훤은 37년 만에 사라지고 말았지만, 그 역사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아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가슴 뭉클하게 만든다.


발굴된 자료에서 견훤의 궁터임을 알 수 있어


이곳을 견훤의 궁터로 추정하는 것은 이곳에서 발견된 자료와 여러 가지 기록에 의해서다. '전주성황사중창기'에는 이곳을 <견훤고궁허>라 하였고, 1980년 발굴된 건물지의 기와 명문에서 '전주성'이라는 글자가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성(城)'자가 박힌 기와는 왕궁 터에서나 쓰던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이 기와의 연꽃무늬는 신라 말 고려 초기에 것으로, 견훤이 이곳에 도읍을 정한 시기와 일치한다.

 

 


역사는 비정한 것인지. 잃어버린 나라를 다시 세우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며 이곳 완산주에 후백제를 일으킨 견훤은, 불과 37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동고산성 안에는 여기저기 건물지가 보이는데, 아마 궁을 중앙에 두고 앞으로는 군막들이 있었고, 뒤편으로는 또 다른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다


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보니 이곳이 천혜의 조건을 가진 성터로 보여진다. 하지만 37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을 보낸 후 사라진 후백제. 그러나 이곳은 영원한 백제인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아닐는지. 그 넓은 왕궁터에 남은 주춧돌만 보아도, 당시 견훤의 마음을 조금은 읽을 수 있을 듯하다.

문화재나 천연기념물 등을 답사를 하다가 보면, 일 년에도 한두 번 정도 만나게 되는 것들이 있다. 지나는 길이 있으면 반드시 들려 자세하게 살펴보고는 한다. 이런 버릇은 언젠가 문화재가 갑자기 심하게 훼손이 되어있는 것을 보고 난 뒤부터이다. 그 다음부터 지나는 길에 문화재가 있으면 일부로라도 들려보고는 한다.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11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381호 반룡송. 신라 말 도선이 심었다고 전하는 나무이다. 도선스님은 이천 백사면 도립리와 함께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에서 장차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을 예언하면서, 소나무를 심었는데 그 중 한 그루라고 한다. 영험한 나무로 전해지는 반룡송은 이 나무의 껍질을 벗긴 사람이 병을 얻어 죽었다는 얘기도 있다.

 

 

하늘로 오르고 싶은 나무

 

반룡송은 이천 백사면 면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약 1.7㎞ 떨어진 도립리 어산마을에서 자라고 있다. 이 나무를 반룡송이라는 부르는 이유는, 하늘에 오르기 전에 땅에 서리고 있는 용과 같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는 일 만년 이상 살아갈 ‘용송(龍松)’이라 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부른다.

 

 

 

반룡송의 높이는 4.25m, 가슴높이의 둘레는 1.83m이다. 높이 2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넓게 퍼져 있으며, 하늘을 향한 가지는 마치 용트림하듯 기묘한 모습으로 비틀리면서 180°휘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용송이란 이름이 걸맞다는 생각을 한다. 한 가지는 땅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면서 기묘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한 나무이면서도 두 나무인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한편에 늘어진 가지는 땅에 끌릴 듯 휘어져 있다. 4월 26일 찾아간 반룡송. 벌써 6~7 차례난 만난 반룡송이지만 볼 때마다 새롭다. 늘 그 자리에 그렇게 서 있으면서, 하늘을 향해 승천을 할 날을 기다리는가 보다.

 

 

 

 

많은 전설을 간직한 신비한 나무

 

이 반룡송에 전하는 이야기는 많다. 그만큼 인근마을 사람들에게는 신령한 나무로 대우를 받고 있다. 껍질을 벗긴 사람이 병을 얻어 죽었다거나, 반룡송 밑에 떨어진 솔잎을 긁어다가 땠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돋았다는 이야기 등이다. 반룡송은 그만큼 신비한 나무로 알려져 있어, 아무도 손을 대지 않는다.

 

특히 반룡송의 나무 표피가 붉은 색을 띠우고 있어서, 이 표피를 마을에서는 ‘용비늘’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 비늘을 건드리는 것도 화를 불러오는 짓이라고 하여, 가급적 나무 근처에서 나무에게 해를 입힐 만한 일들은 하지 않는다.

 

 

 

 

반룡송은 현재 이천 9경중에서 제6경으로 꼽히고 있다. 도선스님은 통일신라시대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신라 흥덕왕 2년인 827년에 태어나 효공왕 2년인 898년에 세상을 하직했다. 그 도선스님이 심었다고 한다면, 이 반룡송의 수령은 이미 1,100년 이상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오랜 세월을 살아왔음에도 아직 푸른 기운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반룡송. 아마 앞으로 만년을 살아 만년송으로의 이름을 갖기를 바란다. 혹 그 이전에 정말 승천이라도 하는 것은 아닌지 괜한 생각을 해본다. 반룡송을 뒤로하며 돌아본 나무 위로 봄날의 늦은 햇살이 아른거린다.


1박 2일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아마 TV 방송매체의 영향이라는 것은 대단한 듯하다. 속초에서 ‘아바이마을’(속초시 청호동)로 들어가는 갯배가 있다. 갯배란 건너편까지 줄을 연결해 그 줄을 당겨서 이동을 하는 수단을 말한다. 이 갯배는 속초의 명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갯배를 타고 건너 아바이마을로 들어가면 이곳은 드라마 ‘가을동화’의 촬영지로 유명한 곳이다.  

지난 4월 11일 이곳 갯배를 타고 1박 2일의 출연진이 아바이마을로 들어갔다. 그리고 갯배를 타기 전에 있는 포구인근에서 생선구이를 먹었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 아바이마을을 소개하는 그림과 문구가 바뀌었다. ‘가을동화 촬영지’에서 ‘1박 2일과 가을동화 촬영지’로 요즈음 잘 나간다는 프로그램을 앞세운 것이다.


중앙동과 아바이마을인 청호동을 잇는 도선 갯배와(위) 1박 2일을 촬영한 생선구이집

즐비하게 늘어난 생선구이 집들

1박 2일에서 갯배와 생선구이를 촬영을 하면서, 당시 촬영을 한 집은, 1박 2일 출연진들이 생선구이를 먹고 간 집인 것을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집을 찾기 시작하면서 주변의 집들이 한집 두집 생선구이집으로 업종 변환을 한 것이다. 지금은 갯배를 타는 곳 주변이 온통 생선구이집들이다.

속초는 해산물이 많은 곳이다. 철마다 바뀌는 해산물을 맛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포구에 자리를 하고 있는 집들이, 생선구이를 판다는 것은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요즈음도 주말이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생선구이를 즐긴다고 한다. 1박 2일이 방영되고 난 뒤 얼마동안은 줄을 설 정도였다는 것이다.



1박 2일을 방영하고 난 뒤 갯배 도선장 인근에 늘어선 생선구이집들

피난민들의 애환이 서린 갯배

속초시 청호동과 중앙동을 잇는 도선인 갯배는 거룻배이다. 이 갯배는 일제말 속초항이 개발되면서 운항이 되기 시작했다. 6,25 동란 이후에 함경도의 피난민들이 이곳에 움막형태의 집을 짓고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청호동에는 신포마을, 앵고치마을, 자꼬치마을, 신창마을, 정평마을 등 피난민들이 자신들의 거주하던 곳의 이름을 붙인 집단촌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갯배는 1988년에 새로 FRP선 35인승으로 제작한 것으로, 청호동 주민들은 무료로 이용을 하고 있다. 갯배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은 년간 15 ~ 20만 명이 이용을 하고 있다. 이 갯배는 편도 200원, 왕복 400원을 요금으로 받고 있다. 1박 2일이 방영되고 난 후에는 주말이면 관광객들이 줄을 지어 갯배를 타고 아바이마을로 들어갔다고 한다.

피난민들의 애환이 서린 갯배

새로워진 풍속도 갯배와 생선구이집

11월 23일, 금방이라도 비가 올 듯 하늘에는 구름이 가득하다. 갯배를 타는 곳은 정비가 잘 되어있다. 속초시 관계자의 이야기로는 이렇게 정비를 한 것은 1박 2일 때문이 아니고, 정비를 해 놓았는데 마침 1박 2일이 이곳에서 촬영을 했다는 것이다. 갯배를 타는 도선장 근처에는 주말에 사람들이 몰리자, 민원이 제기되고 사람들이 불편을 호소해 이동식 화장실까지 설치를 하였다.

주중인데도 갯배를 타고 아마이마을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근처 높은 건물 위에서 내려다본 갯배 도선장과 인근에는 많은 생선구이집들이 보인다. 조금 외진 곳에서 생선구이 집을 운영한다는 업주는 ‘처음에는 꽤 많은 사람들이 주말이면 몰려왔는데 이제는 처음과 같지는 않다. 점차 찾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사람들은 방송에 나갔다고 하면 몰려들었다가 금방 썰물이 빠지듯 빠져버리고 만다.“ 고 한다.

아바이마을은 주민들이 이주를 하고나면 공원이 조성된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도 주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다고 한다. 특히 갯배는 주말이 되면 꾸준하게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어, 방송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는 것이다. 피난민들의 애환이 서린 갯배. 이제 그 갯배가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발돋움을 할 수 있을지 기대를 해본다. 갯배의 성시와 함께 피난민들의 응어리도 조금은 가시려는지. 새롭게 변모를 해가는 갯배와 인근의 생선구이 집들은 이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할 때인 것 같다. 반짝 특수가 아닌 꾸준한 노력과 성실한 영업으로 더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