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년의 액을 막는 ‘홍수막이’를 아시나요?
정월에 드는 액은 이월 영등으로 막아내고
이월에 드는 액은 삼월 삼짇날 막아내고
삼월에 드는 액은 사월초파일에 막아내고
사월에 드는 액은 오월 단오로 막아내고
오월에 드는 액은 유월 유두날 막아내고
유월에 드는 액은 칠월 칠석에 막아내고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까지 수원의 각 가정에서는 홍수막이라는 의식을 치렀다. 물론 지금에야 이런 광경을 보기가 쉽지가 않다. 홍수막이는 일 년 간 사람에게 드는 나쁜 일들을 막아내는 일종의 제의식이다.
수원은 일찍 팔달문 안과 밖으로 장시가 섰던 곳이다. 자연 이곳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장거리가 활성화되면서 한양에서 축출을 당한 무격(巫覡)들이 노들나루를 건너 이곳으로 모여들었다. 장시가 활성화 된 수원은 딴 곳보다 금전적인 여유가 있었을 테고, 그만큼 장사를 함에 있어서 궁금증도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영동시장은 아예 거북산당을 섬겨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200여 년간이나 유서 깊게 전해 내려 온 지역의 전통굿으로, 경기도 수원 팔달문 인근의 영동시장 내에 신당이 있다. 시장의 역사는 1790년경 수원성 건립과 함께 하며, 그 때부터 터주가리 형태의 제당이 있었다고 한다.
영동 시장 내에 거북산당이 축조된 이유를 보면 화성 건립을 위해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자연히 남문밖에 상포가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자연적인 시장의 형태를 갖추고 되면서 당이 선 것으로 보인다. 거북산당은 상인들을 주축으로 상가의 번영과 안녕을 위한 도당을 필요로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도 시장 사람들의 전하는 말에 의하면 당고사를 지내지 않으면 시장에 불이 잘 나기 때문에, 예전부터 이 시장에서 터를 잡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세상없어도 당제는 올려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영동시장 상인들을 주축으로 근 200년이 넘는 시간을 전승이 되어 온 것이다.
당의 명칭이 거북도당 으로 불리는 것은 원래 이 곳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있었다고도 하며, 또 인근의 구천동과 가깝고 주위에 물이 많은 곳이며 풍수지리적으로 불을 제압 할 수 있는 힘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근처에 거북산이라고 부르는 작은 구릉이 있었기 때문에 그 산 이름을 따 거북산당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인다.
정월에 홍수막이를 해야 안심이 돼
칠월에 드는 액은 팔월 한가위에 막아내고
팔월에 드는 액은 구월 중구절로 막아내고
구월에 드는 액은 시월 상당 무시루떡으로 막아내고
시월에 드는 액은 동지달 동지 팥죽으로 막아내고
동지에 드는 액은 섣달 악귀 쫓던 방포로 막아내고
섣달에 드는 액은 정월 방망이 맞은 북어 한 마리
소지에 둘둘말아 원주 원강에 던져 막아내고
예전에는 거북산당에서도 홍수막이를 하였다. 원래 홍수막이는 각 가정에서 대청과 부엌, 안방등에 고사상을 마련해 놓고 무격이 징을 치면서 달거리라고 하는 홍수막이 축원을 하였다. 하지만 요즈음은 집안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거의가 전문적인 무업(巫業)을 하는 무격의 전안을 찾아가 홍수막이를 한다.
“정초에 이렇게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무엇인가 든든한 것이 있어요. 모든 일이 잘 풀릴 것 같이 든든하죠. 그래서 홍수막이는 빠트리지 않고 합니다. 벌써 저희는 수십 년을 이렇게 전통으로 이어오고 있어요.”
연무동에 산다는 이모씨는 정월에 홍수막이를 하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한다.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일이 터져도 자신이 생겨 쉽게 넘길 수가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사라져가고 있는 우리네의 풍습인 홍수막이. 단순히 우상숭배로 치부를 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예부터 전해지는 풍속으로 받아드려야 할 것이다.
연초에 복을 불러들이는 고사덕담(告祀德談)
고사로다 고사로다 고사덕담을 들어보소(중략)
천지간 가져갈 때 하늘 열려 땅 생기니
일월성신 갖추었구나
만물이 생겨나고 모든 생명 피어날 때
하늘에 명을 얻어 우리조상이 생겼구나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김혜란 창)
천지현황 조판 후에 혼돈세계 길탄말가
일대국이 건설되고 건부곤모 가결하니
음과 양의 조화로다. 태양태음이 일월이요
산수조공을 살펴보니 인황씨가 조종이라
학을 눌러 대궐 짓고 대궐 앞에는 육조로다
육조 앞에는 오영문, 오영문 앞에는 삼각산인데
각도 각읍을 마련할 제 인왕산이 주산이요 종남산은 안산이라
(가장 보편적인 고사덕담의 사설)
‘고사덕담’이 있다. 말 그대로 고사를 드리면서 덕담을 하는 것이다. 고사덕담은 대개 정초에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지신밟기를 할 때, 마을의 풍물패 중에서 소리를 잘하는 사람들이 즐겨 부르고는 한다.
말 그대로 일 년의 평안을 축원하다.
고사덕담을 정월에 하는 이유는, 이렇게 정월에 덕담을 들어야 그 해가 평안하다는 속설 때문이다. 고사덕담을 할 때는 북이 옆에서 장단을 넣어준다. 고사덕담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처음에는 그 가정이 생긴 내력부터 먼저 시작한다. 그리고는 이어서 자손축원과 액을 막아주는 달거리인 홍수맥이를 한 후, 풍년을 축원하는 농사풀이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고사덕담을 할 때는 집집마다 대청에 고사상을 차린다. 고사상은 소반에 쌀말이나 함지박에 쌀을 가득 담고, 그 위에 촛불을 켠다. 북어를 한 마리 꽂은 후 실타래를 걸쳐놓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루떡을 해 같이 올리기도 한다. 이때 올려지는 쌀은 모두 풍물패들이 가져간다. 주인은 특별히 풍물패를 위하여 음식을 준비해주기도 한다.
쌀을 올려놓는 것은 집안의 풍요와 풍농을 기원하는 것이며, 북어는 만복을 기원한다. 실타래는 자손들이 수명장수 하기를 바라는 것이고, 시루떡은 축귀를 의미한다. 이렇듯 그 하나하나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풍물패들은 고사덕담을 하면서 그 집안의 평안과 풍농, 그리고 자손창성을 기원한다.
이댁 가중 전에 어린 아기씨
날이면 물이 맑고 밤이 되면 불이 밝아
부귀공명 발원이요. 자손창성 축원이라
부모님께는 효자동이 형제간에는 우애동이
친척 간에는 화목동이 이웃 간에는 귀염둥이
서로에게 나누어 주는 덕담
그렇게 준비를 한 음식과 술은 마을사람들이 모두 모여 잔치를 벌인다. 그리고 쌀과 축원에서 나온 돈은 마을을 위하여 사용을 한다. 고사덕담 안에는 마을 전체가 함께 잘 되기를 바라는 공동체가 있다. 누구나 함께 한다는 공동체 속에, 무엇 하나라도 나눈다는 ‘우리‘가 있는 것이다.
고사덕담은 애가 복을 갖는 것이 아니다. 마을 집집마다 고루 복을 받을 수 있도록 나누어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민족의 심성이다. 이런 우리의 전통적인 정초 문화가 사라진 지금, 우리는 이기주의와 물질숭배주의가 팽배해 있다. 본연의 우리모습을 잃은 것이다. 올 신묘년 한 해 모든 가정에 고사덕담을 축원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본질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