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의 아픔이 주렁주렁 걸린 목책길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광교저수지에는 지난 해 조성한 목책 길이 있다. 이 길은 1.9km 정도로 벚꽃이 필 철이면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꽃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이 목책 길은 광교산 산행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지나는 길이기도 하다. 산행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 목책 길을 걸어 다리를 건너 후 광교저수지 수변 길을 즐겨 걷고는 한다.
이 길은 이제 수원의 명소 중 한 곳이 되었다. 아이들과 함께 걷기도 하고, 연인끼리 다정하게 걷기도 한다. 지금은 세월호 참사로 잠시 중단되었지만, 주말이면 이곳에서 거리로 나온 공연을 즐길 수도 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이 목책 길은 많은 사람들이 걷다보니, 이런저런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세월호의 아픔이 주렁주렁
이 목책 길 1.9Km 중에 1.5Km 정도에 종이에 쓴 글들이 주렁주렁 달렸다. 바로 세월호의 아픔을 함께 하고자 한 사람들의 글이다. 25일 오후, 목책 길 중 저수지를 낀 방향으로 길에 붙은 종이들이 바람에 날린다. 그 날림은 마치 채 피지도 못하고 져버린 젊음만 같아 마음이 아프다. 사람들은 중간 중간에 노란 색 가는 천을 빼서 리본을 만들고 간다.
‘엄마가 속상해 꼭 돌아와’
‘울지 마 아가 엄마가 기다려’
‘어른으로 정말 미안하다. 힘내자! 사랑한다.’
‘얼마나 무섭니 희망을 버리지 마’
‘많이 힘들지. 조금만 기다려 줄래? 꼭 다시보자 - 기적을 믿으며’
‘얘들아 포기하지 마 가족들이란 따듯한 밥 먹어야지’
‘울고 울고 또 울고 기다려 기다려 구해줄게 - 선생님이’
한 장 한 장 읽어가면서 눈물이 흐른다. 모든 국민들의 마음은 한결 같은 것이다. 그 아이들의 고통이 그대로 전해오기 때문이다. 찬 바다 속에서 얼마나 춥고 공포에 떨었을까? 그런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적어 놓은 글귀들이다.
광교저수지 목책 길에 걸린 이 서원지는 ‘기적의 편지 - 수원시민의 기도’이다. 글을 읽다가보니 그렇게 눈물이 흐를 수가 없다. 도대체 왜 이 어린 생명들이 이렇게 무참하게 사그라져야 한단 말인가?
구구절절이 눈물 맺힌 사연
‘우리나라 미래의 희망. 미안하다. 구해내지 못해서’
‘언니 오빠들 사랑해요. 힘내세요(민서)’
‘사랑한다. 얘들아 아프지 말고 더 좋은 세상에 태어 나거라. 그리고 행복하길’
수천 장의 종이에 적힌 수원시민의 기도. 하지만 기적이 일어나지 않았다. 바람에 나부끼고 있는 그 수많은 간절함도 외면해 버린 것일까?
“정말 대한민국의 어른이라는 것이 이렇게 부끄러울 수가 없습니다. 저희도 자식들을 키우고 있지만, 세월호 참사로 목숨을 잃은 그 아이들을 위해서 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네요. 무엇이라고 변명을 할 수 있겠어요. 그저 이렇게 속 타는 마음을 종이에 적어 걸어놓는 것으로 조금이나마 사죄를 하고 싶은 것이죠.”
노랑색 리본을 매달고 있던 정수영(여, 44세)씨는 금방이라도 눈물을 흘린 것만 같다. 함께 산행을 왔다가 이 노랑리본과 서원지를 보고, 집에 가서도 며칠 째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하는 신아무개(여, 44세)씨는
“어린 학생들이 얼마나 공포에 떨었을까요? 그 시간이 짧거나 길거나 그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이 나라가 도대체 이런 재난에 누구하나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정말 제가 대한민국에 살고 있다는 것이 이번처럼 부끄러운 적이 없습니다.”라고 한다.
광교저수지 목책 길에 나붙은 수원시민의 기도와 노란리본. 그 간절한 마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아이들은 그 차가운 바다 속에서 몸이 식어갔다. “미안하다 얘들아. 정말 미안하다.” 노란리본 하나를 묶으면서 속으로 눈물을 흘려보지만,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아이들. 하지만 이 목책 길에 걸린 수많은 수원시민의 기도는 잊지 말기를 바란다.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사랑하는 아들아!"
연화장!!
수원시 연화장은 이 세상을 떠난 고인들을 화장하는 곳입니다
이 연화장은 요즘 젊은 채 피지도 못한 꽃들이 이승을 하직하는 장소가 되어버렸습니다
안산 단원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수학여행길에서 참변을 당한
세월호의 아픔은 날마다 계속되고 있습니다.
가족들의 아픔을 무엇이라고 위로를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누가 그 아픔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전 국민이 모두 슬퍼하지만 그 중에 이상한 인간들도 있습니다
그저 터진 아가리라고 마구 지껄여대는 사람들
그들도 자식들이 있을 텐데 말입니다
그 사람들...
과연 자기 자식이 세월호에서 참변을 당했다고 해도 그리 지껄여댈까요?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내 새끼를 살려주세요
내가 세상을 잘못 산것이 있으면 차라리 나를 데려가세요
그리고 우리 아이를 돌려주세요
그 어린 것이 얼마나 춥고 무서움에 떨었을까요"
한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벌써 10여일이 다 돼갑니다
히지만 아직도 물속에서 뭍으로 나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죽은 혼백이라도 있다면 얼마나 무능한 어른들을 탓하겠습니까?
정말로 고개를 들지 못하고 살 것만 같습니다.
"아들아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믿을 수 없는 나라가 되어버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잠수를 하면서 어린 학생들의 시신을 찾아냈지만
결국 단 한 명도 생존자를 구하지는 못했습니다.
정말 미안하다. 얘들아 할말이 없구나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입이 있다고 한들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이 나라를 이렇게 만들어버린 장본인들입니다
백배사죄를 한들 그 아이들이 살아오겠습니까?
아무리 슬퍼한 들 그 부모, 형제들의 아픔보다 더 하겠습니까?
절말 부끄럽고 또 미안합니다.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말라는 어머니의 당부
정말 가슴이 미어집니다.
얘들아 저 세상에서는 고통스럽고 춥지말고 평온하게 살아라.
무예24기 상설공연시 ‘노란 리본’ 착용
"단 한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합니다."
수원문화재단(이사장 라수홍)은 수원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진행하는 ‘무예24기 시범’과 관련해,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단 한 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노란 리본을 왼팔에 착용한 후 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원문화재단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야외 공연 등의 행사를 취소 및 연기했으며, 무예24기 시범공연은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인사말을 시작으로 엄숙하면서 차분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란 리본은 전쟁터에 있는 사람의 조속한 무사귀환을 바라는 뜻으로 노란 리본을 나무에 매달은 것에서 유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