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의 대웅보전은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에 지어진 전각이다.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다고 한다. 원래는 큰 절을 대소래사’, 작은 절을 소소래사라고 하였는데, 그 중 대소래사는 불타 없어지고 소소래사가 지금의 내소사이다.

 

대웅보전은 조선 인조 11년인 1633년에, 청민대사가 절을 중창할 때 지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이다. 대웅보전의 규모는 정면 3측면 3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짠 장식구조가 다포양식인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들의 포개진 모습은 우리 옛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꽃 창살의 아름다움은 창호의 백미

 

내소사 대웅보전의 앞쪽 문에 달린 창호의 창살은 꽃무늬로 조각하여, 당시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연꽃, 국화꽃, 해바라기 등 꽃문살 무늬는 문마다 모양이 다르고 나무결을 그대로 살려 꽃잎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다. 대웅보전 안쪽으로 들어가면 벽체 윗부분에 있는 부재 끝을 연꽃 봉오리 모양으로 장식하였고, 보머리에는 용이 물고기를 물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 건물의 화사함을 더해 준다.

 

천장은 우물천정으로 꾸몄으며, 불상 뒤쪽 벽에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것 중 가장 큰 백의관음보살상이 그려져 있다. 공예로 가치가 높은 문살 조각과 독창적인 장식물 등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 양식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건물이다.

 

 

목침으로 꾸민 내소사 대웅보전

 

이 보불로 지정이 된 내소사 대웅보전에는 전설이 전한다. 대웅보전 오른쪽 천장의 목침이 왼쪽의 것보다 하나가 부족한데, 그에 관해 전설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소사가 퇴락해 가고 있을 때 창민대사는 날마다 내소사 일주문 앞에가 누군가를 기다리고는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대웅전을 짓기 위해 목수가 찾아왔다. 그 목수는 나무를 목침만한 크기로 잘라 다듬기를, 3년 동안이나 계속하였는데 그 동안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일만 계속하였다. 주지인 청민대사는 기다리기만 했다.

 

그 절에 상좌스님이 목수를 곯려주려고 목침 하나를 감췄다. 3년 동안 목수는 목침 다듬기를 다 마친 후 수북이 쌓아둔 목침을 세더니 눈물을 흘리며 청민대사를 찾아갔다. 목수는 목침 하나가 없어졌으니 대웅전을 지을 인연이 없다고 말하고 돌아가려고 했다. 청민대사는 목침이 하나 없는 채로 법당을 짓도록 부탁을 했고, 목수는 그 목침을 이용해 순식간에 법당을 완성했다.

 

 

법당을 완성하자 청만대사는 화공을 불러와 단청을 그리도록 했다. 단청이 완성될 때까지 누구도 그 안을 들여다보아서는 안된다고 신신 당부를 했다. 법당 앞에는 항상 목수가 지키고 있었다. 상좌스님은 궁금해서 견딜 수 없었다. 그는 목수에게 대사가 찾는다고 거짓말을 하고 법당 안을 들여다보니 오색영롱한 작은 새가 부리에 붓을 물고 벽에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그런데 상좌스님이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리면서 새가 날아가 버렸다. 법당 앞에는 큰 호랑이 한마리가 죽어 있었다. 커다란 호랑이가 죽어있는 모습을 본 청민대사는 대호선사여, 생사가 하나인데 그대는 지금 어디 있는가?”

 

 

이러한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내소사의 대웅보전. 벌써 다녀온 지가 꽤 오랜 시간이 흐른 듯하다. 올 봄 꽃이 필 때는 내소사를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소재하고 있는 내소사. 년 중 아무 때나 찾아가도 아름다운 절집이다. 하지만 난 굳이 내소사를 가려면 가을에 가라고 권하고 싶다.

 

내소사의 가을은 보종각 앞 수령 1,000년이 지난 느티나무 한 그루에서 시작이 된다. 이 나무의 나이를 볼 때, 내소사가 얼마나 오래 된 고찰인가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수령이 천년이라니. 아마도 1982년도에 부안군의 보호수로 지정이 되었으니, 자금은 지정을 받은 후에도 벌써 30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나무의 둘레가 7.5m에 높이가 20m나 되는 거목이다. 가을이 오기 시작하는 내소사의 이 보호수는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황홀해진다. 하물며 단풍으로 물든 나무를 본다면 오죽할까?

 

틀어진 기둥, 쓸데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소사에 가면 또 한 가지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는 것이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설선당과 요사이다. 이 전각을 바라보노라면, 그 기둥에 눈길이 멈춘다. 그리고 피식 웃음이 나온다. 제대로 된 절집 한 곳을 찾아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그 기둥이 참으로 사람을 뿌듯하게 만든다. 올곧지 않고 뒤틀어진 기둥. 그 기둥에는 정말로 부처님의 마음을 보는 듯하다. ‘세상에 쓸데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 기둥은 그렇게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멋대로 휘어진 이 기둥에서 우리는 참 답답한 세상에서 행복해 질 수 있는 것이 너무나 많음에 감사를 하게 된다.

 

돌담 위에 돌탑들

 

누가 그랬을까? 네모난 막돌로 가지런히 쌓은 돌담 위에 누군가 작은 돌탑들을 쌓아놓았다. 아마도 저 돌들을 하나씩 올리면서 마음속으로 간구를 했을 것이다. 그렇게 가지런한 작은 돌탑들이 돌담 위에 죽 늘어져 있다. 그것 하나만으로도 마음의 평정을 찾을 수 있지 않은지. 내소사는 그렇게 경내를 돌아보면 어디 하나 부족한 것이 없는 듯 보인다.

 

 

그 돌담 안에 무설당(無說堂)’ 이라니. 구태여 설법을 하지 않아도 좋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염화시중의 미소만으로도 모든 것을 알아차릴 수가 있다는 뜻인지? 그저 세상 살아가면서 저렇게 미소 하나만으로도 모든 속내를 알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깊은 마음이 어디 있을까? 내소사가 좋은 이유이기도 하다.

 

아무리 보아도 질리지 않는 절집

 

내소사, 참 희한한 절이다. 왜 내소사는 아무리 많이 보아도 질리지가 않는 것일까? 아마 전생에 이곳과 깊은 인연이 있었는가도 모르겠다. 하기에 현생이 이렇게 수도 없이 절집을 돌아다니고 있으니, 전생이라고 다를 바가 없었을 것만 같다. 그저 이 곳에서 한 생을 보냈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그렇게 애틋한 마음으로 다가오는 부안 내소사. 봄도 오지 않았는데 무슨 가을타령이냐고 하겠지만, 지난 자료를 뒤적이다가 문득 발견한 내소사의 사진첩. 그 안에 한참이나 잊고 있었던 능가산 내소사가 마음에 들어와 있었음을 왜 몰랐을까? 올 가을은 필히 능가산의 불타는 단풍과, 가을이 주절주절 열려 떨어지는 내소사의 천년 느티나무를 보러 가야겠다.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소재한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이다. 절의 명칭을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가 내소사로 바뀌었다. 절의 명칭이 바뀐 까닭은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그 시기가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내소사에는 보물 제291호인 대웅보전과 설선당, 보종각 등 전각이 있으며, 부안군 벽산면의 실상사 터에서 옮겨 세운 연래루가 있다. 특히 대웅전은 조선 인조 2년인 1633년에 청민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양식이 정교한데 단충과 보상화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창호가 눈여겨 볼 만하다.

 

 

내소사에 소중한 성보문화재 고려 동종

 

내소사에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보물 제277호인 고려 동종이 남아있다. 이 동종은 고려 고종 9년인 1222년에 내변산에 소재한 청림사에서 제작되었으나, 청림사가 폐사된 후 오랫동안 매몰되었다가 조선 철종 4년인 1853년에 내소사에 옮겨진 것으로 전형적인 고려후기의 동종이다.

 

보물 제277호인 부안 내소사 동종은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종의 높이는 103, 입지름 67의 크기이다. 이 종은 한국 종의 전통을 잘 계승한 종으로, 그 표현이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고려 후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종의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 종의 어깨 밑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4개 있고, 그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유두가 있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유두가 멸실이 된 부분도 보인다.

 

 

삼존상을 조각한 내소사 동종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을 했으며, 종의 몸통에는 구름 위에 삼존상을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다. 우리나라의 종 중에서도 특이한 형태로 삼존상을 조각하여 놓았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우 양쪽에 협시불이 서 있다. 오랜 세월 매몰이 되어서인가, 삼존상의 정확한 형태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종 정상부에는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과, 큰 용머리를 가진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가 있다. 용은 힘차게 용틀임을 하고 있으며, 당장이라도 종을 박차고 뛰어나올 듯 힘이 엄쳐 보인다.

 

 

내소사 경내 보종각(寶鐘閣)에 보관하고 있는 내소사 고려 동종은 비록 크지는 않지만, 고려시대의 동종의 양식을 잘 간직한 종이라는 점에서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 사찰마다 전하는 많은 문화재 중에서 수많은 동종들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종에 대한 가치를 접어두고, 종을 주술적인 형태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불교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각종 철조조형물인 범종은 한국예술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은 청정한 것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범종이라 함은 청정한 불사나 범찰에서 사용하는 종을 말한다. 범종은 홍종, 포뢰, 경종, 화경, 거경, 조종, 당종 등 그 규모나 용도에 따라 반종, 만종 등으로 구분하나, 대부분 통틀어 범종이라고 부르고 유형별 구분은 하지 않는다.

 

사찰에서는 아침에는 28추를 치고, 저녁에는 33추를 울린다. 아침에 26추는 곧 28숙을 의미한다. 곧 마하가섭부터 육조혜능까지 28조사를 상징한다. 저녁에 치는 33추는 수미산 위에 있는 천계인 삼십삼천을 의미한다.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에 팔천(八天)33천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