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하나를 복원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가 된다. 한 부분이 사라졌던 것을 제 모습으로 되돌리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노력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9 일대에 자리하고 있는 고달사지. 사적 제382호인 고달사지에는 국보 고달사지 승탑을 비롯해 보물과 유형문화재 등이 자리하고 있다.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인 764년에 창건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창건 당시에는 봉황암이라는 불렸다는 고달사는 혜목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 이 고달사지에 분포가 되어있는 발굴된 유적지를 돌아보아도 당시에 얼마나 큰 절이었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신털이봉이라고 전해지는 곳에 쌓인 흙더미라는 작은 산을 보아도 이 곳에 얼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생활을 했는가를 알 수가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실의 비호를 받았다는 고달사. 고려 고종 20년에는 혜진대사가 주지로 취임을 했고, 원종 1년인 1260년에는 절을 크게 중창을 했다.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인 869년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인 958년에 90세로 입적하였다. 원종대사가 입적하자 광종은 신하를 보내어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 이름을 혜진이라 내리었다.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갈 때의 귀부

 

대개 탑비 등에서 보이는 귀부의 머리는 시대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난다. 보물 제6호로 지정 되어있는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의 귀부의 머리는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바로 거북이의 몸에 용의 머리를 하고 있는 형태이다.

 

 

받침돌인 귀부에 조각된 머리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눈 꼬리가 길게 치켜 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눈은 부라리고 콧구멍에서는 금방이라도 불이 뿜어져 나올 것만 같다. 앞다리는 마치 땅을 박차고 나가려는 듯 힘이 있어 보이며, 발톱은 사실적으로 표현을 해 땅을 누르고 있는 듯하다. 마치 당장이라도 앞으로 나아갈 기세이다.

 

목은 길지 않아 머리가 등에 바짝 붙어 있는 듯하다. 등에는 2중의 6각형 귀부모양을 정연하게 조각되었으며,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첨가하여, 비를 끼워두는 비좌를 돌출시켜 놓았다. 이 원종대사탑비에 기록된 비문에 의해 975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탑비의 거북의 머리가 험상궂은 용의 머리에 가깝고, 목은 짧고 두 눈방울이 둥그렇게 부라리고 앞을 바라보고 있는 점. 그리고 귀두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구름무늬의 번잡한 장식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로 넘어가는 전형적인 시대적 특징을 지닌 귀부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깨어져 사라졌던 몸돌을 복원시켜

 

원종대사 탑비의 비문에는 원종대사의 가문과 출생, 행적과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 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고 한다. 이렇게 소중한 기록을 담아 놓은 비가 일찍이 무너져 비신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으며, 이곳 절터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었다. 그런 귀부와 이수의 중간에 사라진 몸돌인 탑비가 이번에 복원이 된 것이다.

 

그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었던 몸돌의 비문은 부러진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태가 양호하여 글자의 판독이 가능했다고 한다. 탑비에는 원종대사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는데, 비문은 김정언이 짓고, 장단열이 전액을 썼다. 또한 비문은 해서로 바둑판같은 선이 그어진 네모 칸 안에 썼으며, 글자는 이정순이 새겼다.

 

 

이렇게 원종대사 탑비의 몸돌이 복원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부러진 부분의 상태가 양호했다는 점이다. 다시 원형으로 복원이 되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원종대사탑비. 비록 그 색깔이 달라 조금은 어색한 점도 있지만, 이렇게 복원이 되어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쁨을 감출 수가 없다.

 

830일 찾아간 고달사지. 이렇게 복원이 된 원종대사탑비를 돌아보니 눈물이 흐른다. 얼마나 많은 우리의 문화제들이 훼파가 되었나? 사고가 틀리다고 종교성향이 틀리다고, 거기다가 나라가 부실한 탓에 수많은 문화제들이 제 자리를 떠났다. 앞으로 훼손이 되어있던 더 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제 모습을 찾아갔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이다.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오면서 비의 받침돌인 귀부는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고려 초기의 귀부를 보면 대개 몸은 거북이로 되어있으나, 머리는 용머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 이 용의 형상은 다양하게 표현이 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한 형태의 귀두로 인해 조금은 특이한 형태의 귀부가 제작되어진다.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소재한 연곡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소재한다. 그 중 국보인 동부도 곁에 서 있는 동부도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비는 비문인 몸돌은 없고, 뿔이 없는 용을 새겨 넣은 비석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있다. 비문의 형태가 어떠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귀부와 이수로 보아서 일반적인 비에 비해 작은 편이다.


특이한 형태의 동부도비

연곡사 동부도비는 일반적으로 보아 온 비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와는 많이 다르다. 왜 달라 보이는 것일까? 주변을 찬찬히 돌아본다. 그런데 정말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 보인다. 거북이의 등에 거북의 문갑대신 무엇인가가 덮고 있다. 좌우를 살펴보니 날개다. 어째서 날개가 거북이의 등을 덥고 있는 것일까?

비와 귀부의 연결부분에는 구름과 연꽃을 조각하였다. 거북이의 머리도 용의 형체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귀부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른 면이 있다. 예술적인 감각이 뛰어난 고려 초기의 귀부와 귀두에 비해, 조금은 용의 모습을 형상화한 간략한 모습이다. 용머리의 코와 입 주면이 훼손이 된 듯하다.


몸돌인 비는 사라지고 받침돌인 귀부(위)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머리 부분에는 가운데 뒤로 젖혀 뿔이 있었을 듯한데, 이것도 훼손이 된 듯 밋밋하게 표현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보이는 용머리의 볼에는 지느러미와 같은 날개를 편 듯한 조각이 넓게 퍼지는 것이 보통인데, 너무 적어 조악한 느낌마저 든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귀부는 무엇인가 숨겨진 비밀이라도 있는 것이 아닐까?

날개를 달고 있는 거북모양인 귀부

앞발은 발톱을 세워 땅을 움켜잡듯 조각이 되었다. 등에 조각한 날개는 중앙부분이 움푹 들어가고 양편이 굴곡지게 조각을 하였다. 그리고 날개에는 선이 그어지고, 위쪽으로는 문양이 그려져 있는데 정확히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문제는 이 귀부의 등에 왜 이런 날개를 조각했을까 하는 점이다.


머리는 일반적인 귀두보다 조악하여 발톱은 무엇인가를 움켜잡으려는 듯 힘이 있다.

이수의 중앙에는 이 비가 누구 것인지를 알리는 글을 판다. 그런데 이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네모난 글자를 파는 곳만 만들어 놓고, 글자가 보이지를 않는다. 누구의 비인지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이수에는 용을 조각해 놓는다. 그러나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용이 보이지가 않는다. 구름무늬만을 조각해 놓아 단조롭기만 하다.

고려 초기의 비로 추정되는 연곡사 동부도비.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연꽃몽우리와 같은 보주를 올려놓았다. 설명에는 이 동부도비가 일반적인 비에 뒤떨어진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오히려 특별한 감이 있다. 도대체 귀부의 등에 조각한 날개는 무엇일까? 혹 동부도에서 보이는 비천인상을 극락조인 가르빙가로 새겨 넣었는데, 그것과 연결이 되는 것은 아닐까?


받침돌인 귀부의 등에는 날개가 달려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연곡사 동부도 앞에 서 있는 동부도비에서 쉽게 발길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내 얕은 지식이 화가 나서이다. 그리고 더 많은 것을 볼 수 없었음을 탓하는 것이다. 언제나 그 답이 얻어지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