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릴 적에 ‘은진미륵’이라는 사진을, 교과서 등을 통해 한 번쯤은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거대한 화강암 석재로 제작이 된 은진미륵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로 보물 제218호로 지정이 되었다. 이 관촉사 은진미륵의 공식 명칭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다. 입상의 높이는 l8.12m나 되며, 고려 초기의 거대석불에 해당한다.

은진미륵은 커다란 불상이라는 점과, 불교적이기 보다는 토속적인 조각이라는 점에서 당 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이다. 얼굴은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삼각형이며, 옆으로 길게 째진 눈과 넓은 코, 일자로 꼭 다문 큰 입이 토속적인 느낌을 준다. 목은 굵고 삼도가 있으며, 귀는 어깨까지 내려와 고리형으로 매달린 느낌을 준다.


후천세계에 중생을 구제할 미륵불

미륵불은 56억 7천 만 년이 지난 다음에, 그 때까지도 구제가 안 된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나타날 부처님이다. 흔히 부처와 보살로 불리어지는 미륵불은 미래불이다. 미륵불은 일반적으로 산이나 들 같은 바깥에 세워진다. 관촉사 미륵입상은 몸은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들었다.

자연암반 위에 허리부분을 경계로 하여,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이 보살입상은 정교하지는 않다. 몸통에 비해 얼굴이 강조되어 아름다운 균형미는 반감되고 있으며, 손의 모양이나 전체적인 꾸밈이 매우 투박하다. 오른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손을 안으로 향했으며, 왼손은 아래로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모습을 보아 관음보살로 생각이 든다.





어깨에 걸쳐 입은 가사는 어깨에서 양쪽으로 길게 내리고 있으며 가로무늬가 있고, 몸 중앙 부분으로 몇 개의 U자형 옷 주름을 돌렸다. 가슴께는 매듭을 묶고 있어 고려시대에 보이는 이 지역 특징인 거대불상의 초기 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저렇게 큰 돌을 어떻게 올렸을까?

관촉사 사적비에 의하면 이 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19년인 968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목종 9년인 1006년에 완성을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미륵보살입상을 제작하는데 걸린 시간이 무려 38년이나 걸린 셈이다. 이렇게 거대석불을 만들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하반신의 몸체 위에 어떻게 저 큰 상반신을 올린 것일까? 지금처럼 대형 중장비로도 버거운 무게이다. 그런데 어떻게 상반신을 올릴 수가 있었을까?


거대석불을 조성하는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걱정을 하던 차에, 사제촌에 나타난 동자들이 강가에서 흙장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그 동자들이 커다란 돌을 놓더니, 그 돌의 주변에 모래를 쌓고 딴 돌을 경사진 모래비탈을 굴려 올라가 위에 놓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혜명대사는 크게 기뻐하여 바삐 돌아와 동자들이 하던 그 방법대로 상반신을 올렸다는 것이다.

결국 그 동자들은 누구였을까? 아마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지 못해 속이 타는 것을 알고, 동자들을 보내 깨우침을 준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거대한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 보았을까? 아마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도, 이렇게 노력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하늘이 깨달음을 주는 것만 같다. 이렇게 큰 거대석불은 충청도 지역에서 보이는 지역적 특색이기도 하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은진미륵 앞에 고개를 조아리고 있다. 그 앞에서 두 손을 모은다. 그 미래불인 미륵이 도래하는 시기가 어서 빨리 왔으면 하는 바람으로.

절을 찾아가면 대웅전이나 석불, 혹은 부도 탑 앞 등에서 있는 석등을 볼 수가 있다. 이 등은 어둠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들을, 부처님의 자비광명으로 깨달음을 주어 어둠에서 벗어나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 석등은 실제로 불을 켜는 경우가 있어 실용적인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후대에 이르러서는 불전이나 탑 등의 앞에 세우는 장식적인 축조물로 변하고 말았다. 석등은 대개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하대석과 중간인 석주, 그리고 불을 밝히는 화사석, 맨 위에는 지붕돌을 얻는 형태가 석등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논산시 관촉동 254번지 관촉사 경내에 자리한 석등은 보물 제232호로, 고려시대에 조성이 된 석등이다.


거대한 석등 은진미륵과 어우러져

관촉사 미륵보살입상 앞에 서 있는 석등은 그 높이가 5,45m나 되는 거대한 석등이다. 이 석등은 남한에서는 화엄사 각황전 앞에 있는 석등 다음으로 거대 석등으로 본다. 이 석등은 석조미륵입상이 세워진 해인, 고려 광종 19년인 968년에 조성한 것으로 기록에 보인다. 이 석등은 4각의 석등으로 화사석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이 관촉사 석등은 여러모로 특이하다. 우선 화사석이 2층으로 되어있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창이 넓고 기둥이 가늘어 조금은 불안한 감을 주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석등의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으로, 아래 받침돌과 위 받침돌에 새겨진 굵직한 연꽃무늬가 두터움을 드러내고 있다.





중앙에 둥근 기둥으로 조형을 한 기둥은 굵고 조금은 투박하게 제작이 되었으며, 위아래 양끝에는 두 줄기의 띠를 두르고 중간에는 세 줄기의 띠를 둘렀다. 특히 중간의 세 줄기 중에서 가장 굵게 두른 가운데 띠에는 여덟 송이의 꽃을 조각하여 뛰어난 조각미를 자랑하고 있다. 아마 이러한 꽃이 조각되어 있지 않았다면, 그저 평범한 석등으로 제작이 되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귀꽃이 아름다운 지붕돌

화사석이 2층으로 이루어진 관촉사 석등은 화사석 1층에 4개의 기둥을 세웠다. 이 기둥은 지붕돌을 받치도록 하였는데, 지붕돌의 이랫부분은 다듬지를 않은 듯하다. 각 층의 지붕돌은 처마 끝을 가볍게 올린 듯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네 귀퉁이에는 큼직하게 귀꽃을 조각하여 생명이 없는 찬 돌에 부드러움을 주었다. 화사석 위에 올린 머릿돌 꼭대기는 불꽃무늬가 새겨진 큼직한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을 두었다.




이렇게 거대한 석등을 조각하면서도 그 하나하나에 많은 공을 들인 관촉사 석등. 고려 시대 최고의 걸작품으로 꼽히는 이 석등은 벌써 천년이라는 시간을 훌쩍 넘겨 오랜 시간을 풍상을 겪었으면서도, 저리도 장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아마 또 앞으로 얼마의 시간을 저리 서 있을지, 오늘 그 석등 앞에서 고개를 숙인다.

논산 관촉사에는 보물 제218호인 거대한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어 유명한 절이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을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부르는데, 이 미륵보살입상이 있는 곳에서 20m 정도 앞에는 배례석이 놓여있다.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배례석은, 우리나라의 석조물 중에서도 그리 흔하지 않은 문화재다.

배례석은 절을 찾은 불자들이 부처님께 합장하고, 예를 갖추는 장소로 사용했다고 한다. 아마 이 배례석에서 예를 올린 것은 아니고, 이 배례석 앞에 자리를 마련하고 그곳에서 부처님께 예를 올렸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뒤편에 석탑이 1기가 서 있고, 그 앞으로는 미륵전이 있다.


논산 관촉사 경내에 있는 문화재인 배례석(위)와 석문(아래)

뛰어난 조각술이 엿보이는 관촉사 배례석

관촉사 미륵전 뒤편에 놓인 배려석은 장방형의 대석이다. 바닥에서 2단으로 직각고임을 해서 올려놓고, 그 위의 면석에는 사방에 안상을 새겨 넣었다. 안상은 고려 때의 석조물에서 흔히 보이는 문양으로, 전면에는 3개를 새겨 넣고 단면에는 2개가 새겨져 있다. 가운데는 버섯구름 모양의 문양을 돋을새김하고, 여울진 모양으로 주변을 장식했다.

배례석의 윗면에는 중앙에 커다란 연꽃을 중심으로, 좌우에 그보다 약간 작은 연꽃 두 송이를 돋을새김 하였다. 가운데 연꽃이 양쪽의 것보다 약 3㎝ 정도가 크며, 연꽃잎은 모두 8잎으로 연꽃 한 잎의 중앙부가 갈라져 두개의 잎으로 나누어진 것으로 표현되었다. 이렇게 섬세하게 조각을 해 놓은 배례석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원형이 잘 보존이 되어있다.





사찰의 중문 역할을 한 석문(石門)

미륵전을 조금 비켜선 계단위에는 돌로 만든 석문이 보인다. 예전에는 이 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갔을 것이다. 이 석조물은 일주문과 천왕문을 거쳐 경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했던 문이다. 석문의 한쪽 기둥에는 ‘해탈문’이라고 새겨 놓았다. 문 입구에는 넓이가 48cm 정도의 돌기둥을 양편에 세우고, 윗면 천정에는 길게 장대석으로 잘 다듬은 돌을 다섯 장 올려놓았다.

전체적인 석문의 모습은 4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터널과 같은 형태로 꾸며졌다. 지금은 일부만 남아있지만 문의 양편에는, 성문을 연결하여 경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석벽으로 둘러놓았다. 이러한 형태의 석문은 다른 사찰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든 예이다. 이 석문은 석조미륵입상과 같은 연대에 제작된 것은 아니고, 그 후에 필요에 의해 축조되었을 것으로 본다.




기둥 좌측에는 해탈문이라 적었다(맨위) 석문 안으로 은진미륵이 보인다. 그리고 문에 연결한 석벽괌(위에서 세 번째) 바위와 어우러진 석문(아래)

은진미륵이 자리하고 있는 논산 관촉사. 2기의 희귀한 석조물이 있어 남다른 곳이다. 전국에 있는 수많은 절에는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지만, 관촉사는 또 다른 형태의 문화재로 찾아드는 이들을 들뜨게 만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