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금곡동)에 소재한 사적 제207호인 홍, 유릉은 고종황제와 순종황제의 능침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어있는 홍릉은, 조선 26대 고종과 그의 부인인 명성황후의 무덤이다. 고종은 재위기간 중에 외세의 침략에 대처하지 못하고, 내부에서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임오군란, 갑신정변, 을미사변 등을 겪었다.

 

명성황후는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무참히 살해당한 비운의 왕비이다. 명성황후의 무덤은 처음에 청량리에 있었으나, 풍수지리상 불길하다 하여 고종의 무덤에 합장하였다. 광무 원년인 1897년 대한제국 선포로, 홍릉은 지금까지의 무덤 제도와 다르게 명나라 태조 효릉의 무덤 제도를 본뜨게 되었다.

 

 

기존의 역대 어제실과는 다르게 조성해

 

고종황제의 능침인 홍릉을 바라보고 그 좌측에 보면 어제실이 있다. 어제실이란 홍릉에 제를 모실 때 제관들의 제사 준비와 휴식을 하기 위한 공간이다. 고급스런 사대부가의 살림집처럼 마련한 제실은 행랑채와 그 밖의 부속건물로 마련하였다. 이곳은 능참봉을 파견해 능을 관리하게도 했다.

 

고종이 대한제국의 황제로 등극함에 따라 모든 제도를 혁신하였다. 이에 따라 능의 구조와 돌로 만든 석물의 배치 등도 달라졌으며, 재실의 건축 또한 많이 달라졌다. 하기에 홍릉과 유릉의 어제실은 기존의 왕릉에 딸린 재실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유릉의 경우에는 홍릉의 재실보다 더 웅장하게 조성하였다.

 

 

석물을 많이 사용한 어제실

 

어제실의 문을 들어서면 앞에 7칸의 전각이 보인다. 이 전각을 장대석을 이용해 세 칸의 축대를 쌓고 그 위에 7칸으로 된 건물을 마련하였다. 전각을 바라보고 좌측에 두 칸의 방을 드리고, 중앙에 두 칸은 대청을 꾸몄다. 우측으로는 세 칸의 방이 마련되어 있는데 맨 우측의 방은 마루방인 듯하다.

 

이 건물은 벽을 돌과 벽돌을 이용해 꾸몄다. 대문이 달린 행랑채는 대문을 들어서면서 양편으로 모두 자로 꺾어지었는데, 좌측은 두 칸의 광과 방, 대청, 안방, 부엌 순으로 나열했다. 우측 역시 좌측과 똑 같은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리고 우측의 담장에는 작은 문을 내어 제관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였다.

 

 

뒤편에도 9칸의 건물이 있어

 

중앙에 제관들이 사용하는 전각 뒤편으로도 9칸으로 된 또 하나의 건물이 있다. 이 전각 역시 한 칸의 장대석을 쌓고 그 위에 집을 지었다. 자로 지은 이 집은 좌측에 두칸을 내달아 부엌과 방을 드렸으며, 이어서 두 칸의 부엌과 두 칸의 방, 그리고 두 칸의 대청과 한 칸의 방이 있다.

 

이 건물 역시 외벽은 돌과 벽돌로 조성하였다. 일반적인 역대의 재실보다 그 규모가 더 커졌음은 물론 장대석으로 높이 쌓아올린 후에 맞배지붕의 전각을 지어 황제로서의 위용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많은 왕들의 능침에서 보아오던 제실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꾸며진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의 어제실. 보기에는 더 웅장하게 지어진 어제실이지만, 그 안에 고종황제의 슬픔과 일본의 낭인들에 의해 시해된 명성황후의 아픔이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역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지만, 역사의 아픔은 아직도 가시지를 않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