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 북상면 중산마을에는 지은 지가 150년 정도 되어 보이는 고택 한 채가 있다. 주인인 임종호는 2~3년 전에 세상을 떠났으며, 현재는 구 가옥 곁에 새로 거처를 마련하고 모친이 살고 있다고 한다. 주변 제각 앞에서 만난 마을 어르신은, 그 집에 살고 계신 분이 자신의 질부라고 하시면서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다.

 

이 집은 치목구조나 여러 가지 형태 등으로 보아 조선조 말경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어르신은 120~130년 정도 되었다고 하신다. 솟을대문 안으로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고, 그 뒤편 우측에 광채가 있다. 그리고 사랑채와 나란히 뒤쪽으로 안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돌담으로 집 전체를 둘러놓았다. 집의 형태로 보면 이곳에서 꽤나 잘 살았던 집안이란 생각이다.

 

 

다섯 칸으로 지은 사랑채의 풍취

 

사랑채는 모두 다섯 칸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자연석 주초를 그대로 쓴 집은 기둥을 모두 사각으로 치목을 하였다. 이런 치목의 방법이나 대들보를 받치고 있는 목재들을 보아도, 지방의 목수들이 다듬은 손길이 아니다. 사랑은 바라다보면서 좌측에 아궁이를 두고, 두 칸 마루방을 드렸다. 그리고 안채로 드나들 수 있는 누마루 한 칸과, 온돌방 한 칸을 계속 두고 있다.

 

우측 온돌방 앞으로는 누마루에 난간을 둘러 정자방으로 꾸며 놓았다. 사랑채 뒤편으로 길게 늘어선 광채는 중문채를 겸하고 있는 듯 보인다. 광채 옆으로는 담을 터 바깥으로 출입을 하게 하였는데, 그 문을 통해 제각으로 드나든 듯하다. 광채는 우측 한 칸은 방을 드리고, 가운데는 광채를 그리고 좌측으로는 뒤주를 삼았다.

 

 

그리고 그 끝에는 다시 한 칸의 방을 드린. 네 칸으로 구성이 되어졌다. 아마도 사랑채 쪽의 방은 남자가, 안채 쪽의 방은 여자가 사용한 듯하다. 사랑채 방향의 방이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어, 남은 공간에는 활주를 대고 지붕을 내어 달았다.

 

안채에도 굴뚝이 보이지 않는다.

 

사랑채와 나란히 뒤편에 조성한 안채 역시 다섯 칸이다. 좌측으로부터 한 칸의 부엌과 안방, 윗방 그리고 대청마루 뒤편에 문을 달아 신주방으로 꾸민 듯하다. 맨 오른쪽의 건넌방은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난간을 두르고 높임마루를 달아냈다. 임종호 가옥의 특징은 대청마루 뒤편에 마련한 신주방이다.

 

 

부엌의 뒤편에도 작은 부엌방을 마련해 놓았는데, 이런 구성은 딴 곳에서는 보기가 힘들다. 사랑채와 광채, 그리고 안채의 동선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조성한 임종호 가옥. 전체를 이으면 자 모형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앞으로는, 안마당을 시원하게 만드는 정원이 있다. 그 정원 한 가운데 흙담으로 꾸민 굴뚝이 서 있다.

 

어르신 저 집의 마당 가운데 굴뚝은 사용하는 것인가요?”

얼마 전까지도 사용을 했지. 지금은 살림을 하지 않으니 쓰지 않지만

그런데 왜 마당 가운데에 굴뚝을 마련했나요?”

낸들 아나 여기저기 연기가 나면 안 좋으니까 그랬나보지.”그럼 안채와 사랑채에도 굴뚝이 모두 저 가운데로 빠지나요?”

처음엔 그렇게 만들었지. 지금은 잘 모르겠구먼.”

 

 

왜 모든 연도를 마당 한 가운데로 모아 굴뚝을 낸 것일까? 주인 잃은 집은 휑하기만 하다. 언제가 다시 시간을 내어 후손들이 모인다는 명절 때 찾아보아야겠다. 궁금증을 풀 수 있으려는 가는 모르겠지만.

11월 24일, 아침 일찍 거창으로 ‘스님짜장’ 봉사를 떠났다. 그동안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정이 들었던 짜장이다. 막상 먼 곳으로 간다는 것이 그리 편안하지는 않은지라, 그래도 거창 ‘삶의 쉼터’에 가서 어르신들께 봉사를 하는 것이니 따라나섰다. 짐을 먼저 올려 보내고 간 길이지만, 마음이 조금할 이유가 없다.

일부러 봉사를 마치고 국도로 길을 잡았다. 함양으로 해서 남원 인월, 운봉으로. 오는 길이 함양서부터 지리산 일대에 봉우리마다 눈이 하얗게 쌓인 곳들이 보인다. 운봉에 오니 전날 눈이 많이 내렸는지 지리산 일대가 온통 하얗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눈이 쌓인 것 같지가 않다. 조금 가까이 다가가보니 ‘상고대’가 아름답게 얼어 붙었다.


아름다운 상고대, 멀리서 보아도 장관

여기저기서 상고대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접했다. 정령치로 갈라지는 길로 들어서니 사람들이 길가에 차를 세우고 구경을 하느라 법석이다. 마음 같아서는 정령치를 오르고 싶지만, 이삿짐을 먼저 보낸 사람이 마음이 편안할 리가 없다.

상고대란 영하의 기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방울이라고 한다. 이 작은 물방울들이 영하의 기온에 놓여 있는 어떤 물체와 충돌하여 만들어진다는 것. 이 물방울은 너무나 작기 때문에 충돌과 거의 동시에 동 결되어 상고대층을 형성한다. 이 상고대층은 입자들 사이에 공기를 함유하고 있는 작은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흰색을 띠게 된다는 것.



산을 반쯤 타고 내려온 상고대의 모습이 더욱 아름답다

그저 멀리서만 바라보아도 아름다운 상고대. 같은 산능선을 타고 내리면서도 등성이 일부만 하얗게 얼어붙은 상고대의 모습이 더욱 아름답다. 지나가다 잠시 차를 멈추고 내렸다. 줌 렌즈라도 가져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그래도 이 모습이라도 전해주고 싶다. 도심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기에.


바람도 심하게 불고, 차길에서 찍으려니 거리도 멀고, 엄청 흔들렸네요.
그래도 산 중턱까지 내려온 상고대만 잠시 구경하시라고... 

경남 거창군 상천면 위천리에 소재한 가섭암지. 지금은 보물 제530호 가섭암지 마애삼존입상만 남아있는 이 곳 금원산 지재미골 입구에 서 있는 커다란 바위를 볼 수 있다. 단일 바위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이 바위는 ‘문바위(=門岩)’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 바위가 가섭암의 일주문 역할을 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문바위의 앞으로는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있으며, 지금은 바위 앞으로 등산로가 나 있다. 이 바위는 가섭암, 금달암, 두문암, 기도암, 지우암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 중 가장 신비한 이름은 ‘용의 여의주’라는 명칭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주변에는 가섬암지를 비롯한 많은 절터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옛날부터 이 문바위를 사람들이 신성시했음을 알 수 있다.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기려

바위의 앞면에는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킨, 고려 말의 사람 이원달의 순절동이란 글자를 네모나게 바위를 판 후 음각을 해놓았다. 이원달은 합천사람으로 호는 ‘달암(達岩)’이며 병조참판을 지낸 분이다. 아마도 이 달암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새겨 놓은 듯한데, 언제 누구에 의해서 새겨진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이 문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서 그 모습이 각기 다르다. 커다란 돌고래 같기도 한 이 문바위는 길가에서 보면 그 면이 부드럽게 보이지만, 뒷면으로 돌아가면 칼로 자른 듯하다. 이렇게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바위의 형태가 예사롭지가 않다. 아마도 예전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오르던 사람들은, 이 문바위부터 머리를 숙였을 듯하다.



쐐기돌이 받치고 있는 거대한 바위

문바위 밑으로 들어가 본다. 지금은 돌로 받침 담을 쌓아 놓았다. 그러나 그 담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몇 개의 쐐기돌이 이 커대한 바위를 받치고 있다. 그 쐐기바위들은 그리 크지가 않다. 그런데도 그 오랜 시간을 이 바위를 받치고 있었다는 것이 정말로 놀랍기만 하다.



바위의 끝으로는 쐐기 돌 옆으로 사람이 지나갈 만한 공간이 보인다. 아마도 이 공간이 일주문의 통로가 아니었을까? 지금도 누가 다닌 길의 흔적이 있다.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들어선 후, 마애불까지 통했을 것이다. 주변 경치를 돌아보면서 옛 가섭암을 그려본다. 그리 크지 않은 가섭암의 모습이 떠오른다. 문바위와 하나가되어 자리를 했을 가섭암. 그리고 그 뒤편 바위 안에 새겨진 마애삼존입상.



가섭암은 사라지고 없지만 마애불과 문바위가 자리하고 있어, 가섭암이 그 가운에 있지나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자연의 바위하나가 이렇게 클 수 있다는 것도 놀라운데, 누군가 그 위에 올라가 작은 돌탑을 쌓아놓았다. 어떻게 저 위로 올랐을까? 문바위의 궁금증은 점점 쌓여만 가는데, 빗줄기가 차츰 굵어진다. 다음에 이곳에 들릴 때는 더 많은 것을 알아볼 수 있기를 고대하며, 문바위를 뒤로한다.

경남 거창군 가조면 장기리 772-1번지에는 옛 가산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폐교가 된 이 초등학교 교정 안에는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있다. 경남 기념물 제197호로 1997년 12월 31일자로 지정이 된 이 느티나무는, 수령이 500년 이상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높이 35m 정도에 밑동의 둘레가 8m에 가까운 이 느티나무는, 1480년경에 훈도인 전경륜심었다고 한다. 전경륜이 이 마을에 집터를 잡았는데 풍수지리적으로 마을이 배(=船)와 같다고 하여, 서편 냇가 남북 400m까지 느티나무 숲으로 조성하여 마음의 풍림 겸 배의 돛대로 삼았다고 전한다.



일제 말에 베어버린 숲

2,000평이나 되는 울창한 느티나무 숲. 아마도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런 넓은 장소에 서 있던 느티나무들을 일제 말에 모두 베어버리고, 현재 남아있는 한 그루만이 서 있다는 것이다. 이 마을은 ‘정천, 혹은 ’샘내‘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다가 사후에 대사헌으로 추증이 된 전팔고 선생의 호를 따 ‘원천’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1592년에는 의병들이 이 숲에 모여 회동을 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그런 이유로 일제에 의해 모든 나무를 베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00여 평이나 되는 느티나무는 선비들의 풍류장소로 이용이 되다가, 임진왜란 때 수난을 당했으며, 그 뒤 한일합병의 슬픔까지 간직하고 있는 셈이다. 마을 사람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이 나무에 모여, 매년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홀로 남은 느티나무 한 그루

지난 6월 24일 거창군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가조면 원천리. 옛 가산초등학교 교정에 느티나무가 한 그루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달려갔다. 그러나 문은 굳게 닫혀있고, 주변은 철망으로 울타리를 쳐 놓았다. 폐교가 된지 시간이 흘렀는지, 담장에는 넝쿨이 타올라 을씨년스런 모습이다.

이리저리 들어갈 방법을 찾고 있는데, 철문 옆에 조그마한 공간이 보인다. 그 안으로 들어갔더니 바로 학교 교정 안이다. 느티나무는 옛 학교 건물과 마주한 곳에 서 있다. 낮은 철책으로 보호막을 둘러놓은 느티나무. 나무의 밑동에는 혹처럼 달라붙은 것이 흡사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생명의 원천, 느티나무

오래된 고목에는 정령이 산다고 하더니, 저 혹에 생명이라도 깃든 것일까? 아이들의 재잘거리는 소리를 듣고 자랐을 느티나무가, 소리가 사라진 지금은 왠지 측은해보이기까지 한다. 나무 가까이로 가서 나무를 쓰다듬어 본다. 거친 감촉사이로 온기가 느껴진다. 생육이 좋은 이 원천 느티나무는 홀로 이렇게 폐교가 된 교정에 서 있다.

밑동 근처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달라붙어 있는데, 위를 보니 중간이 잘려있다. 아마 원줄기의 한편이 잘려나간 듯하다. 이것도 일본에 의한 아픔은 아니었을까? 가는 곳마다 만나게 되는 일제의 만행, 그리고 뒤이어 맹목적인 종교적인 훼손. 거기다가 도적 떼들까지. 도대체 이 나라의 문화재가 정말 마음 편하게 그 자리에 서 있을 수는 없는 것일까?


나무를 들러보고 있는데, 작은 벌레 한 마리가 나무의 벌어진 틈 사이에서 기어 나온다. 이것이 바로 생명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자연은 그렇게 모든 생명을 감싸고 있건만, 이제 인적 끊긴 폐교의 안마당에 서 있는 이 느티나무가 온전할 것인지. 교정을 떠나면서 자꾸만 뒤를 돌아다보게 된다. 불안한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아마도 나무 밑동에 검은 자국을 보았기 때문인 듯하다.

거창군 위천면 당산리 331번지, 당산마을 내에 소재하고 있는 고목인 소나무 한 그루. 현재 천연기념물 제41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소나무가 있는 곳을 당산마을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이 나무가 당산제를 지내는 나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거창 당산리의 당송은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가 18m, 밑동의 둘레는 4.1m 정도이다.

6월 24일 거창군 답사를 하면서 찾아간 당산마을 당송. 마을 밖 길에서도 커다란 소나무가 의젓한 모습으로 보인다. 이 나무의 껍질은 거북등과 같이 갈라져 있으며, 밑동 부분에는 도끼자국이 남아있다. 남쪽의 가지 하나가 죽었으나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소나무이다.


도끼자국 누구 짓일까?

도대체 이 거목인 소나무에 누가 도끼질을 한 것일까?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만나게 되는 천연기념물 중에는,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나무둘이 간혹 눈에 띤다. 누군가 나무를 죽이려고 농약을 나무뿌리에 들이부은 경우도 있고, 멀쩡하던 나무가 급작스럽게 고사를 했다는 이야기도 들을 수가 있다.

거창 당송도 누군가 밑동을 도끼질을 했다고 하는데, 이 나무를 땔감으로 여겨 찍을 것은 아닐 터. 도대체 무슨 연유로 이렇게 도끼질을 한 것일까? 마을 주민들에게 물었지만 시원한 대답을 들을 수가 없다. 이 당산리의 당송은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웅~ 웅~’ 소리를 내어 울면서 미리 알려준다고 한다.




나무가 신령스럽다 하여 ‘영송(靈松)’이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아마도 그런 이유로 화를 당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실제로 1910년 국치를 당했을 때와,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에도 몇 달 전부터 밤이 되면 나무가 울었다고 한다. 슬픈 일에만 운 것은 아닌가 보다. 1945년 광복이 될 때에도 울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나무에게는 알지 못할 신비가 있다

나무도 생명을 갖고 있다. 아마도 우리가 모르는 생명의 신비함이 나무에게 있는 것은 아닐까?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 등을 만나보면, 그 나무들이 갖고 있는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가 있다. 특히 당산제나 목신제, 거리제 등을 지내고 있는 나무들은 더 많은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나무가 운다는 것은 기본이다. 그리고 나뭇가지를 잘랐던 사람들이 화를 입었다는 이야기는 얼마든지 들을 수가 있다. 심지어는 떨어진 나뭇가지도 줍지 않는다는 곳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무를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꼭 화를 당해서가 아니라, 나무에 대한 예를 표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아무래도 이런 큰 나무에게는 또 다른 ‘정령(精靈)’이 있는가도 모르겠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두려워하지 않는 무지를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당산나무들은 마을 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보살피게 된다. 당산리 당송 역시 마을 주민들이 모임을 만들어 나무를 보호하고 있을 정도이다. 아마도 매년 정월 보름에 제를 지내고 있는 것도, 이 나무의 영험함 때문일 것이다.

푸른 옷을 입은 당송, 볼수록 장관이다

나무를 둘러본다. 조금은 옆으로 휜 듯한 가지에 보호대를 설치하여 받쳐 놓았다. 일반적으로 본 천연기념물인 소나무들보다는 그렇게 생육이 발달하지는 않은 듯하다. 아마도 한 가지가 부러져 나가고, 밑동을 도끼자국 등이 그렇게 힘이 들게 했는가보다. 무지한 인간들의 심사가 이 나무에도 해를 입힌 것인지.




그래도 나무의 껍질에 가득한 푸른 이끼가, 이 나무의 모습을 한층 신비롭게 만든다. 푸른 옷을 한 벌 걸친 듯하다. 마치 가지마다 춤을 추는 듯하다. 그런 것 하나를 갖고도 장관이라고 표현을 하는 내가 이상한 사람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수 없이 만나는 생명들. 그 생명들은 하나같이 우리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래서 당송 아래서도 난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다.

‘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인간을 위해 서 있었지만, 정작 인간들은 그런 고마움을 알지 못한다. 자연과 더불어 살지 못하는 인간들은 화를 입어 마땅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