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는 번암면 소재지에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남노령이 주산을 이룬 대성산의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이다. 조선조 중엽에 홍성 장씨들이 이주해 집단마을로 취락이 형상되었다. ‘노단이란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의 집터와 같은 명당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 노단 마을 도로변 대성산 자락에는 겹처마 우진각으로 지은 육각형의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정자는 길에서 보면 조금 위편에 자리하고 있으며, 낮은 담장에 일각문을 내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를 오르는 길 한편에는 반계정(磻溪亭)’이라 음각한 돌이 있다. 그리고 그 옆에도 깨어진 바위에 반계정이란 글이 쓰여 있다.

 

 

 

바위에 새겨져 있던 반계정 표석

 

원래 이 깨어진 바위에 새겨진 반계정이란 글씨는, 느티나무 숲이 우거진 우측 도랑끝의 암벽에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1978 ~ 198019번 도로의 개설로 인하여 방치되어 오던 것이라고 한다. 2007년 반계정 아래에 있는 우물을 정비하던 중, 본 표석이 발견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글씨가 새겨져 있는 바위를 원 상태로 복원을 하고자 했으나, 오랜 시간 풍화로 인해 보존하기가 어렵자, 탁본을 하여 현재의 돌에 그대로 새겨 넣었다고 한다. 200710월의 일이다. 계단을 올라 일각문 안으로 들어선다. 안에는 육각형으로 지은 누정이 있다. 정자로 오르는 계단은 장대석을 겹쳐 놓았다.

 

 

 

취헌의 정자 반계정

 

취헌 장안택 선생은 자는 사유이고 아호는 취헌이다. 선생은 만인을 구제하는 제세구휼을 일생의 업으로 삼고 몸소 실천을 하였다고 한다. 취헌 선생의 이러한 마음은 전국 각처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렇게 구제를 하던 장안택 선생은 급변하는 세태의 변천을 개탄하며, 세상을 등지고 자연에 몸을 묻고자 생각했다.

 

그래서 지은 것이 대성산 바위 암벽 아래에 반계정이다. 지금이야 앞으로 도로가 나 있지만, 아마 이 정자를 지었을 때는 바위와 앞으로 흐르는 내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정자였을 것이다. 선생은 이 정자에서 자손들을 교육시키며 여생을 보냈다. 반계정이란 바위와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을 상징하는 뜻이다.

 

 

취헌 장안택 선생은 조선조 철종 14년인 1863년에 태어났다. 선생은 조선 후기의 경제학자이자 사회사업가이다. 부친은 동몽교관인 장석룡이며, 조부는 남요 장홍규이다. 선생은 조부로 부터 예의범절과 학문을 닦았다. 선생의 집은 장부자집으로 통했다. 종손인 선생은 적선을 많이 하였다.

 

고종 31년인 1894년 갑오농민혁명 때는, 관군에 쫓긴 농민들이 장수 번암까지 피신해 이곳 번암면이 농민군들의 집결장소가 되었다. 선생은 농민군으로 인해 민폐가 일어나자, 이들에게 술과 고기 등 음식을 베풀어 민폐를 줄였다. 관군에게도 같은 방법으로 음식을 베풀어 민폐를 줄이기도 했다.

 

 

자손들이 기억하는 반계정

 

반계정 뒤편 암벽에는 장안택, 반계정이라고 음각한 글이 있다. 그 밑에는 작은 글씨로 자 병준이라 새개 넣었다. 조상의 정자를 기리기 위해 후손이 새겨넣은 글씨이다. 이 반계정은 1800년에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장수군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최근에 보수를 한 듯하다.

 

정자는 육각의 모든 면에 문을 달았다. 아직은 보수 중인 듯 문은 모두 떼어내 한 편에 쌓아놓았다. 정자 안에는 반계정 운이란 선생이 지은 편액이 걸려 있고. 그 옆에는 취헌이란 편액이 있다. 정자는 입구를 뺀 전면에 난간을 둘렀다.

 

 

우진각으로 지은 정자는 밑 안으로는 장초석으로 된 석주를 세우고, 그 위에 원형의 기둥을 세운 뒤 누마루를 깐 정자를 올렸다. 그리고 겹처마를 받치기 위해 활주를 세웠는데, 아래편은 육각형의 장초석을 세운 후, 그 위에 육각형의 기둥을 받쳤다.

 

취헌 장안택 선생. 평생을 자선사업가로 살다간 마음을 담고 있는 반계정. 아직은 주변이 부산스럽기는 해도, 그 위에 올라 선생의 마음을 담아간다. 세상이란 작은 것 하나라도 나누는 것이,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이다.

정자(亭子)는 아름답다. 정자라는 것은 대개가 세도하는 사람들이나, 동계(洞契)모임 등에서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곳에다가 짓기 때문에, 주변과 어우러진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나라의 절경에는 많은 정자가 있고, 그 정자에는 이런저런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몇 년간 정자 기행을 하면서 참으로 아픈 역사를 가진 정자를 만났다. 갑오농민혁명의 현장을 취재하면서 보니 두 곳의 정자가 있다. 그 외에도 많은 정자가 있으나, 이곳은 오래전에 세운 것이 아니라고 해도 뜻이 깊은 곳이기에 더욱 마음에 닿는다.

 

 

그저 그곳에 있어야 할 만석정

 

그 중 하나는 이평면 예평마을에 있는 만석정이다. 만석정은 갑오농민혁명을 일으키는 불씨가 되었던 곳이다. 만석보터에서 조금 더 들어가면 좌측으로 안길수의 만석보혁파비가 서 있다. 만석보혁파비는 1892년 고부군수로 부임을 한 조병갑이 만석보를 만들고, 농민들에게 무리한 조세를 수취한 장소이다.

 

배들평야의 농민들은 이것에 불만을 품고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는데, 이것이 갑오농민혁명의 발단이 되었다. 그 후 광무 2년인 1898년 고부군수로 부임한 안길수가 만석보를 완전히 혁파시켰다. 농민들은 그 뜻을 감사히 여겨 9월에 만석보혁파비를 세웠다.

 

만석정은 그 혁파비 바로 곁에 서 있다. 그저 단청도 하지 않은 정자. 그리고 지은지 얼마 되지 않은 듯 수수히 서 있는 모습이지만, 그 안에는 농민들의 정감어린 마음이 있다. 그리고, 그 정감어린 마음속에는, 1894년 갑오농민혁명을 일으킨 끓는 피가 있어 더욱 애틋한 마음이 드는가 보다.

 

 

갑오농민혁명의 장서에 선 말목정

 

또 하나의 정자는 바로 정읍시 이평면 면사무소 곁에 있는 말목정이다. 말목정은 만석정과는 달리 단청이 되어 있고, 잘 가꾸어진 모습이다. 말목정은 원래 현재 전라북도 기념물 110호인 말목장터와 감나무 곁에 서 있었던 것을, 70m 정도를 옮겨 현재의 자리에 지어 놓았다. 말목정은 삼강오륜의 정신 계승과 실천으로, 살기 좋은 고장을 만들기 위한 뜻을 갖고 세워졌다고 한다. 현재의 말목정은 원형 그대로를 옮겨놓은 것으로, 2002년 7월에 이전하였다.

 

말목정은 옮겨지기 전에 감나무 곁에 서 있었다. 이곳은 1894년 1월 전봉준 선생이 농민군수 천명을 모아 놓고, 고부군수 조병갑의 비리와 포악한 실상에 관해 일장 연설을 한 곳이다. 전봉준 선생은 이곳에서 농민봉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다. 말목정은 그러한 곳에 1994년 지어진 정자이다.

 

전봉준 생가

 

고부농민혁명의 자리에 선 두 곳의 정자. 아름다운 곳에 서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말목정과 만석정은 깊은 뜻을 갖고 있다. 비록 그 서 있는 곳이 장터 앞과 만석보터 앞이긴 하지만, 어느 정자보다도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갑오농민혁명을 찾아 떠난 길에 만나 두 곳의 정자. 정자 위에 오르니 감회가 새롭다.

 

지난날의 피의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어린 아이 두서넛이 모여 맴을 돌며 뛰어다닌다. 그래, 그곳에서 너희 선조들은 피를 흘리며 이 땅과 삶을 지켜내었으니, 너희들이야 말로 그렇게 뛰놀 자격이 충분하지 않겠느냐? 앞으로 또 너희 중에 누가 이곳에서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이곳을 근거지로 농민운동을 할지도 모르는 일이니 말이다. 한 해의 끝자락이 가까워 오는 날에 만난 정자, 높다란 하늘에 뭉게구름 한 덩이가 한가로운 날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