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잔뜩 흐렸다. 하늘에는 검은 구름이 몰려와, 금방이라도 한 줄기 비를 쏟아부을 듯한 기세이다. 이런 날 문화재 답사를 한다는 것은, 평소보다 두 배는 어렵다. 그것도 포장이 되어있는 도로로 다니는 것이 아니다. 질퍽한 맨 땅을 밝고 다녀야 하니, 그 고통은 답사를 해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아무리 설명을 해도, 선뜻 이해하기가 힘들다.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5-2에 소재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경주구황동당간지주 (慶州九黃洞幢竿支柱)’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꽂는 높이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받침돌을 거북이인 당간지주, 이런 받침돌 처음이야

 

당간이야 절마다 볼 수가 있다. 대개는 절 입구에 세워 절에 큰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을 걸어둔다. 그런 당간은 특별한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 거의 보편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나 지역에 따라서 조형하는 방법은 약간씩 차이가 난다. 구황동 벌판에 외롭게 서 있는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의 것으로 보이는 이 당간지주는,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을 두지 않은 간결한 모습이다. 그런데 이 당간지주는 다른 면이 있다. 훼손이 되어 처음에는 무엇인지 잘 몰랐다. 그러나 기둥사이에 놓인 당간의 받침돌을 들여다보니 특이하게도 거북모양이다. 동편을 바라보고 있는 당간지주 사이의 간대가 돌거북이라니 놀랍다.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당간지주를 보았지만, 이렇게 받침돌이 거북의 형상을 한 것은 처음 만났다.

 

하긴 아직 우리나라에 있는 문화재의 10% 정도나 보았을까? 20년이 넘는 세월을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였지만, 이제 겨우 눈을 떠가고 있는 정도이다. 그리고 그 많은 문화재들의 아주 작은 일부분을 보았을 뿐이다. 마음이 바빠진다는 것은 바로 이렇게 많은 문화재들이 아직도 기다리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분황사 것으로 추정되는 당간

 

분황사 바로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당간지주. 기둥의 안쪽 면에는 아래와 중간, 윗부분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놓았다. 이 구멍은 당간지주를 관통해 당간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밋밋한 형태로 조성을 한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서 있었을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당간지주는 아마도 숱한 신라의 역사를 지켜보았을 것이다.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만나게 되는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문화재들이 발길을 붙들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런 문화재들이 안고 있을 이야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화를 할 수만 있다면 우리의 한 맺힌 역사를 더 많이 들을 수 있으련만.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걸음을 재촉해 당간지주를 떠난다.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걸음을 옮기면서도 뒤를 자꾸만 돌아보게 되는 것은, 그 오랜 세월 저렇게 비바람에 씻기면서도, 그 자리를 지키기 있다는 굳건함 때문이다. 오늘 따라 조금만 더워도 답사를 미루고 있는 나 자신이 무척이나 초라하게 느껴진다.


당간은 절 입구에 세워놓는 깃대의 일종이다. 이 당간은 절에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것으로 장간, 찰간, 기간, 번간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당간은 목재나 철, 동, 석재 등으로 간대를 만들며, 지주는 대개 석재로 만들었다.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당간지주가 남아있으나, 당간의 간대가 남아있는 경우는 흔치가 않다.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솟을삼문 입구 하천변에 세워져 있는 당간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403호이다. 통도사 경내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지만, 통도사를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 당간이다. 당간은 어느 절이나 절 입구에 세워놓기 때문에, 절이 폐사가 되었어도 당간의 위치를 보면 그 절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탑처럼 꾸민 높이 7.5m의 석당간

석당간은 우리나라에는 몇 기만이 남아있다. 고려 말에서 조선조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통도사 석당간은, 기단부 전체가 후대에 와서 중수된 것이다. 기단부는 전반적으로 후대에 중수를 하면서 개보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도사 당간이 특별한 것은 마치 탑의 기단부와 같이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장대석으로 사방 하대의 윤곽을 잡고, 다시 짧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석 남북 양편으로는 지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유구를 두었다. 지주의 상하에는 타원형으로 두 개의 간공을 내고, 동서방향으로 장대석을 보완하였다.




성호를 새긴 당간의 간대석

중앙에 간대는 옛 간대 그대로라고 하는데, 중앙에는 성호인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통도사 석당간은 후대에 이르러 보수를 하면서 약간 그 형태가 달라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석당간이 남아있는 것만으로도 그 가치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7월 11일 이른 새벽부터 날이 우중충하다. 금방이라도 비가 퍼 부을 것만 같은 날씨에 양산 통도사로 향했다. 영축총림이라는 통도사는 벌써 10여 차례나 둘러본 곳이다. 하지만 갈 때마다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통도사처럼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절을 찾아간다는 것은 늘 마음이 설렌다. 아마도 한 곳에서 다양한 문화재를 접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불편한 몸으로 답사를 한 통도사

3시간 넘게 차를 달려 도착한 통도사. 떠날 때와는 달리 날이 뜨겁다. 몸이 편치가 않은데도 주차장에 도착을 해 바로 당간이 있는 곳을 찾았다. 냇가 옆에 서 있는 당간을 돌아본다. 통도사 석당간은 지금까지 보아오던 당간과는 그 형태가 판이하다. 사방에 네 개의 장대석으로 두른 후 그 안에 3층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 양편으로는 당간을 고정시키는 지주를 양편에 놓고, 상하로 당간을 고정시키는 구멍을 뚫어 석재로 만든 비녀를 꽂았다. 당간은 원형의 돌로 세웠는데, 몇 개의 석재를 이은 듯하다.



당간을 둘러 본 후 솟을삼문을 지나 안으로 향한다. 무더운 날씨에 땀이 비 오듯 한다. 천천히 걷는다고 하지만, 그래도 숨이 턱에 찬다. 찬물이라도 마시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들어 마음이 더욱 바빠지는 것은, 갈 곳은 많고 시간은 자꾸만 촉박하다는 느낌이 들어서인가 보다. 그래도 이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천근이나 되는 몸을 버티며 걷는다. 마치 내가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