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제(告由祭)’란 개인의 집이나 나라에서, 큰일을 치를 때나 치른 뒤에 그 사정을 신명이나 사당에 모신 조상에게 고하는 제사를 말한다. 11일 오전 10시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 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수원 향교에서는 100여 명의 향교 남녀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민선 6기를 열어갈 염태영 수원지장의 고유제가 열렸다.

 

염태영 시장의 고유제를 주관하기 위해 수원향교의 관련자 70여 명과 일반인 들 100여 명이 수원시 팔달구 항교로 137번길 43(교동)에 모였다. 건과 도포를 입은 유림들은 고유재가 시작되기 전 먼저 성균관으로 올랐다. 이곳에서 사배를 한 후, 대성전으로 올라 문을 열고 제관을 맞아들이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수원 향교 명륜당 뒤편 대성전을 오르는 게단 밑에 모인 향교 관계자들은 염태영 시장이 도착을 하자, 대성전으로 오르는 계단의 우측문을 사용한다. 향교의 모든 의식은 반드시 우측문으로 들어가서 좌측문으로 나오는 것이 원칙이다. 사람들은 일렬로 줄을 지어 우측문으로 대성전 아래 단에 도열을 했다.

 

 

앞으로 4년 동안 수원을 변화시키겠다.

 

고유제를 지내기 전에 미리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에게 인사말을 한 염태영 시장은

지난 5기 때 이곳을 들렸다가 이 자리에서 여러분들과 약속을 하고 혼이 난 적이 있다. 이제 4년 만에 다시 이 자리에 서게 됐다 오늘 이 자리이서 나는 수원을 변화시키겠다는 다짐을 하겠다. 사람 중심의 도시 수원, 사람이 먼저인 도시 수원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고유제를 시작하기 전 마음을 전했다.

 

유림들과 관계자들이 모두 대성전을 행해 4배를 한 후 염태영 시장은 손을 씻은 후 대성전으로 올랐다 이 곳 대성전에 모셔 놓은 공자의 신 위 앞에서 향을 사른 후 고유축을 낭독했다. 그런 다음 대성전이 서편 문으로 나와 제단 아래서 4배를 하는 것으로 모든 행사는 끝이 났다.

 

수원향교는 원래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소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조 13년인 1789년 수원읍치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남쪽 기슭에 자리를 잡았다. 향교의 전형적 베치 형태인 전학후묘의 형태로 구성한 수원향교는 이곳의 지형을 고려하여 건물마다 장대석으로 층을 쌓아 건물을 짓게 하였다.

 

현재 수원향교에는 공자와 맹자를 비롯해 우리나라의 성현 18위를 함께 봉안하고 있다. 수원 향교는 1795년에는 성 밖에 조성하였으니 정조가 친히 이곳까지 행차한 유서 깊은 건물이기도 하다.

 

 

고유제 성신사에서 지내는 것이 맞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71일 민선 제6기가 새롭게 출발하던 날 아침 일찍 현충탑에 참배를 한 후 화성 행궁 화령전으로 찾아갔다. 화령전은 정조의 어진을 모셔놓은 곳으로 이곳에서 6기 시장으로서 책무를 시작할 것을 알리는 고유제 의식을 가졌다. 그리고 11일 오전 수원향교에서 공맹과 우리나라 선영들에게 고유를 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반드시 짚고 가야할 일이 하나 있다. 염태영시장은 반드시 팔달산에 있는 성신사를 찾아가 팔달산 성신에게 고유제를 지내야 옳다고 생각한다. 팔달산은 수원의 안산이다. 수원은 모든 기운은 팔달산에서 시작이 되며, 팔달산의 중심은 바로 화성의 성신을 모셔놓은 성신사이다.

 

정조대왕은 화성 성역이 완료되는 시기에 맞추어 특별지시를 내렸다. 바로 성신사를 지으라는 것이었다. 성신사는 화성을 지키는 신이기는 하지만, 당시로 보면 수원전역을 보호하는 신이기도 하다. 팔달산 중턱 서장대 아래 성신사를 축조했다는 것은, 그만큼 이 성신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는 것이다.

 

 

정조대왕은 우리고장을 바다처럼 평안하고, 강물처럼 맑게 하소서라며 화성과 화성 백성들을 사랑하는 축문을 직접 지어 하사를 하기도 했다. 성신사는 정조 20년인 1796711일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약 한달 만에 완공이 되었다. 사당이 완성된 후에는 화성 성신의 위패를 만들고 길일을 기려, 1796919일에 사당 안 정면에 봉안하였다

 

이런 점으로 본다면 정작 수원시장으로 업무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고유제를 지내야 할 곳은 바로 성신사라야 한다는 생각이다. 성신사는 정조대왕의 지시에 의해 팔달산 중턱에 신령을 모신 진정한 화성의 사당이기 때문이다. 성신사는 그야말로 수원과 화성, 그 모든 곳의 안녕을 관장하는 화성의 성신이 좌정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향교란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조까지 계승된 지방 교육기관으로, 나라에서 운영하는 국립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교궁(校宮)' 또는 '재궁(齋宮)'이라고도 불렀으며, 고려시대에는 향학이라고 했다. 향교는 전학후묘의 구성으로 앞에는 교육을 하는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고, 뒤편으로는 공자를 비롯한 명현들을 모시는 대성전인 문묘가 있다.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516-2에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32호인 ‘정산향교 (定山鄕校)’가 소재한다. 정산향교를 세운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기록에 따르면 조선 전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독특한 향교 입구인 청아루

 

정산향교의 구성은 배우는 공간으로 강당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였던 동재와 서재를 비롯하여 청아루와 전사청이 있고, 제사 공간으로 공자와 우리나라 성현 27명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 안에는 공자와 그의 제자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정산향교는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많이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사라졌다. 현재는 봄, 가을에 제향을 지내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정산향교의 특별한 구성은 입구에 있는 누각인 청아루이다. 목조건물로 된 향교 입구인 청아루는 아래로는 삼문을 내고, 그 위에 누각을 올린 형태이다. 이 청아루는 밖으로만 문이 있는 것이 아니고, 안쪽으로도 또 문이 있는 이중문으로 꾸며져 있다.

 

 

장맛비 속에 찾아간 정산향교

 

벌써 정산향교를 다녀온 지가 20여일이 지났다. 문화재 답사란 그 특성상 다녀왔다고 바로 글을 올릴 수가 없다. 한 번 답사를 나가면 꽤 많은 양의 문화재를 조사하고 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지역과 종류가 다른 문화재들을 한꺼번에 소개한다는 것도 무리가 따른다. 결국 한 번 답사를 다녀오면, 누구 말마따나 곶감 빼 먹듯 할 수밖에.

 

7월 14일 돌아본 충남 청양군. 정산향교는 답사의 끄트머리에 있었다. 장맛비가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저 들이붓는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였다. 그런 날 잠시 비가 소강상태가 되었을 때 정산향교 입구에 도착했다. 아무리 여름날이라고는 하지만, 비가 오는 날은 일찍 날이 저문다. 오후 5시 경이었지만, 벌써 어둑한 기운이 감돈다.

 

 

향교는 대개 그 담장 외곽에 붙어있거나, 가까운 곳에 관리를 하는 집들이 있다. 하지만 이곳은 주변을 돌아보아도 그럴만한 집이 보이지를 않는다. 이 빗속에서 사람들을 만나 묻는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포기를 해야 하나? 하지만 이 빗길에 멀리 달려온 향교가 아닌가. 그냥 돌아갈 수가 없다. 할 수없이 담장 밖으로 돌아보는 수밖에.

 

수령 640년의 은행나무에게 묻다

 

전국에 있는 향교를 찾아가면 대개 고목이 된 은행나무가 서 있다. 이 은행나무들은 향교와 그 역사를 같이한다. 은행나무는 향교의 경내에 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정산향교의 경우에는 주변 높은 곳에 은행나무가 서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이 은행나무는 수령이 640년에 높이는 18m, 밑동의 둘레가 5.2m가 넘는 거목이다.

 

 

은행나무 쪽으로 올라가면 정산향교가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그 은행나무와 정산향교의 관계는 무엇일까? 다시 비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향교의 문을 열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다. 할 수 없이 밖에서나마 향교를 살펴보는 수밖에. 담장 가까이 다가가려니 자라난 풀들이 엄청나다. 풀 더미를 헤치고 담장 가까이 가서 향교를 살펴본다.

 

정산향교는 딴 곳과는 달리 특이하게 조성을 하였다.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대성전의 경우 외담 안에 다시 내담을 쌓아 놓았다. 또 측면 담벼락에도 격자창을 내어 놓았다. 다행히 향교의 관리자가 대성전 위편 담장 밖의 풀을 깎아놓아 주변을 돌아보기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장맛비 속에서 찾아간 청양 정산향교. 비록 안을 자세히 살펴 볼 수는 없었지만, 밖으로 돌면서도 향교의 곳곳을 살펴보기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향교 담장 밖을 한 바퀴 돈 다음에 차에 오르자, 다시 비가 퍼붓기 시작한다. 가을에 저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이 들었을 때, 다시 한 번 이곳을 찾아오리라 마음을 먹는다.

이천시 창천동 현 이천시립도서관 앞에 자리를 하고 있는 이천향교. 그 역사만큼이나 고풍스런 멋을 지니고 있는 향교이다. 향교란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조까지 계승된 지방 교육기관으로, 나라에서 운영하는 국립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교궁(校宮)' 또는 '재궁(齋宮)'이라고도 불렀으며, 고려시대에는 향학이라고 했다.

 

향교의 구성은 전학후묘(前學後廟)의 구성으로 앞에는 교육을 하는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고, 뒤편으로는 공자를 비롯한 명현들을 모시는 대성전인 문묘 가있다. 이천향교는 조선조 태종 2년인 1402년에 세워진 유서 깊은 곳으로, 망현산 밑에 자리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이 망현산을 아리산 혹은 위후산이라고도 부른다.

 

 

변인달이 처음 신축한지 600년이 지나

 

이천향교는 감무 변인달이 신축을 했다고 한다. 그 후 이천이 도호부로 승격이 된 세종 26년인 1444년에는, 관헌인 교수 1인을 두고 학생은 90명이나 되는 큰 교육기관이었다. 권근이 지은 <이천신치향교지>에 의하면 1401년인 신사년 봄에 감무로 부임한 변인달이, 안흥정사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것을 보고,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직접 향교 터를 물색하고 지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변인달은 공무를 보면서도 틈을 내어 직접 관리감독을 하였다고 한다.

 

향교의 홍살문을 지나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 3, 측면 2칸의 명륜당이 있다. 명륜당의 옆에 있어야 하는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와 없는 것으로 보아, 그동안 처음의 형태에서 많이 축소가 된 것으로 보인다. 명륜당의 뒤로 돌아가면 대성전으로 올라가는 돌계단이 있는데, 계단 우측에는 <동계승서계강(東階升西階降)>이란 비석이 보인다.

 

 

즉 대성전으로 올라가려면 3단으로 구분이 되어있는 계단의 동쪽으로 올라가서, 내려올 때는 서쪽 계단을 이용하라는 뜻이다. 향교의 대성전을 드나들 때는 반드시 이 예의를 지켜야만 한다. 우리는 어딜 가나 이런 길이나 계단의 의미를 남다르게 부여하고 있다. 즉 길이나 문도 중앙의 것은 일반인이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활짝 열린 이천향교 대성전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경사진 곳에 터를 잡은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모두 3단으로 축대를 쌓았으며, 맨 위에 정면 3, 측면 2칸 반의 대성전이 자리하고 있다. 그 한단 밑으로는 동무와 서무가 자리를 하고 있다. 대성전으로 오르는 축대를 보면, 600년이 지난 이천향교의 역사가 한 눈에 보인다.

 

 

큰 화강암을 이용해 쌓은 축대는 보는 것만으로도 그 세월을 짐작할 수가 있다. 장대석으로 쌓아올린 계단이며, 축대, 그리고 기단 등이 고풍스럽다. 계단을 오르면 동무와 서무 앞에는 각각 '헌관위(獻官位)' '집사위(執事位)'라고 쓴 비석이 서있다. 즉 문묘제향을 지낼 때 헌관과 집사들의 자리를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세세한 것까지 배울 수 있는 곳이 이천향교다.

 

44일 이천에 볼일이 있어 들렸다가 향교를 찾아갔다. 처음으로 간 것은 아니지만, 문화재란 그곳을 지날 일이 있으면 곡 잊지 않고 들어다 본다. 그것은 아무리 사람들이 관리를 잘 한다고 해도, 어느 순간 훼손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항상 마음을 다하지 않으면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것이 문화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까이 가서 보니 대성전 문이 활짝 열려있다. 전국에 있는 향교를 수없이 다녀보았지만 아직 대성전의 문이 열려있는 것은, 제향을 지낼 때를 빼고는 단 한 번도 본적이 없었다. 걸음을 재촉해 관리를 하는 분에게 촬영을 하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먼저 대성전으로 걸음을 옮겼다. 이런 좋은 기회를 놓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천 향교 대성전에는 모두 25명의 성현을 모시고 있다. 대성전 정면에는 중앙에 공자를 비롯해. 맹자와 증자 등을 좌우에 모시고 있다. 우측 벽에는 문정공 동춘당 송준길을 비롯해 10분을, 좌측 벽에는 문순공 남계 박세채 등 10분을 모시고 있다. 처음으로 들어가 본 이천향교의 대성전. 아마도 퍽이나 운이 좋았던 날이었다는 생각이다.

 

 

어디를 가나 문화재란 일부만 보아서는 제대로 알 수가 없다. 그저 속속들이 살펴보아야 비로소 그 진면목이 보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본 이천향교 대성전. 이런 일이 있어 문화재 답사가 즐거운 것이 아니겠는가?

김세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성종 4년인 1473년에 태어나, 중종 28년인 1533년에 세상을 떠났다. 본관은 경주이며 자는 공석, 호는 십청헌(十淸軒), 지비옹이라 했다. 벼슬을 그만 둔 김세필은 이곳 말머리에 입향하여 공자당을 세우고, 후학을 양성한 것이 시초가 되어 지천서원이 창건되었다고 한다.

 

서원은 비탈에 세웠는데, 아마 이 공자당은 십청헌이 정자로 삼아 후학들을 양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서원과는 앉은 자리부터가 다르다. 돌계단 위에는 노송 한 그루가 자리하고 있고, 좌측으로는 솟을대문이 서 있는데 앞에는 경모문(景慕門)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다. 안으로는 1936년에 건립한 사우가 자리한다.

 


충북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팔성리 고가를 지나 조금 더 안으로 들어가면, 지천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살문이 향교나 서원의 대문 앞에 자리하는데 비해, 이 지천서원은 홍살문을 지나 사우까지 꽤 떨어져 있다. 홍살문 좌측으로는 비들이 줄지어 서 있고, 안으로 들어가면 서원 앞에 기념관이 자리하고 있다.

 

심청헌 김세필이 세운 공자당

  

우측으로는 작은 일각문이 서 있고, 그 뒤편에 공자당이 자리하고 있다. 이 공자당은 그 형태가 '공(工 )'자와 같이 생겼다고 하나, 문이 잠겨 있어 안을 확인할 수가 없다. 공자당이 서원으로서의 기능을 갖기 시작한 것은 조선조 영조 10년인 1740년이라고 하니, 심청헌이 세상을 떠난 지 200년이 지난 후의 일이다.  

 



앞에서 보면 평범한 공자당

 

낮은 울타리 안에 자리한 공자당. 비탈진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정면 네 칸으로 꾸며진 공자당은 양편에 방을 놓고, 가운데 두 칸의 마루 대청이 있다. 대청의 뒷벽에는 중수기 등이 걸려있는데, 멀어서 확인을 할 수가 없다. 공자당의 우측 벽 밑으로는 한데 아궁이가 나 있어 이곳에서 불을 때고 겨울에도 이용을 한 듯하다. 아궁이 위 벽이 시커멓게 그을린 것으로 보아, 요즈음에도 불을 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천서원은 정조 24년인 1800년에 중건하였으며, 대원군 때인 1868년에 내린 서원 철폐령으로 헐리기도 했다. 그 후 1893년에 제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내오다, 1898년 공자당을 중건했다.


8현을 모신 사우

 

지천서원의 사우에는 십청헌 김세필을 비롯해 모두 8분을 모시고 있다. 동문선에 시문이 실린 고려 말기의 문신인 상촌 김자수는, 고려 말기에 안동에 은거하다가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마다하고 자결을 하였다. 충민공 김저는 중종 7년인 1512에 태어나, 명종 2년인 1547년에 세상을 떠났다. 김저는 흉년이 들자 암행어사로 경상도에 파견이 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큰 벼슬을 하지 않았으나 시문에 능한 눌재 박상. 『눌재집』을 남긴 박상은 이행과 함께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이 외에도 남곡 김의, 추곡 김정현, 학주 김흥욱, 성남 김종현 등을 제향하고 있다. 좁은 터에 자리를 한 때문인지 공자당과 담으로 구분을 한 사우. 일반 서원과는 달리 단 두 채뿐인 전각이 자리한다.

 


바람에 흔들리는 늙은 소나무에서 잎들이 떨어진다. 몇 곳을 돌아다니느라 발도 손도 꽁꽁 얼었지만, 이렇게 운치있는 서원 하나를 만나면 그런 추위도 잊고 만다. 사람들은 그렇게 날 추울 때 다니는 것을 보고, '날이나 풀리면 다니라'고 하지만, 틈만 나면 다녀와야 직성이 풀린다. 아마 역마살이 끼어도 단단히 끼었나보다. 작은 서원 하나를 주변을 맴돌며 떠나지 못함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서운함 때문이다.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지방에 세운 사학을 말한다. 16세기 후반부터 세워지기 시작한 서원은 려말선초에 존재하던 서재의 전통을 잇는 것이었다. 서재와 달라진 것이 있다면 서재는 학문을 연마하던 곳인 데 비해, 서원은 학문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선현을 모시는 사묘로서의 기능을 함께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향교에 비해서 서원은 그 규모 등에서 작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각처에 산재한 서원에는 어린 학동들이 학문의 터득을 위해 모여들었다. 서원은 대원군 때 전국에 있는 것들이 대부분 헐리게 된다. 아마도 서원철폐령이 내리지 않았다고 하면, 지금보다 몇 배나 되는 서원이 남아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계절이 배어있는 곳, 거북이와 대면하다.


정읍시 북면 보림리에 위치한 남고서원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그저 별다르지 않은 이 남고서원은 가을이 배어 있는 곳이다. 남고서원은 호남의 성리학자인 이항과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천일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조선조 선조 10년인 1577년 처음으로 세워져 숙종 11년인 1685년에는 사액서원으로 선정이 되었다.


사액서원이긴 하지만 여느 서원과 마찬가지로, 고종 8년인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헐리고 말았다. 그 후 김천일의 후손들이 1899년에 다시 세웠다. 이항의 문집목판을 소장하고 있는 남고서원은 현재는 이항, 김천일을 비롯하여 김점, 김복억, 김승적, 소산복 등의 위패를 추가로 모시고 있다.


손을 맞는 두 마리의 거북이가 반기다.


가을이 되면 서원의 담 안에 가을빛이 아름답다는 남고서원. 외삼문을 들어서 뒤를 돌아보면 괜한 웃음을 짓는다. 문을 잠구는 빗장걸이가 두 마리의 거북이가 대신하고 있다. 그저 '별것이 아니다'라고 돌아설 수도 있겠지만 괜히 눈길을 끌고 싶은 것인지. 좌측 거북이는 머리를 쥐어박았는지 무엇이 보기 싫었는지 머리를 졸아들었다.

 

 


외삼문 곁 작은 쪽문도 재미있다. 돌담 사이에 난 쪽문은 그저 어른 한 사람이 통과할 만하다. 마음을 넉넉히 먹지 않으면 짜증이라도 날만한 그런 크기다. 왜 이렇게 작은 협문을 통해서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을까? 아마도 자신을 이렇게 작게 내려놓으란 소리인가 보다. 남고서원이 재미있는 모습들이다.


가을빛이 아름다운 남고서원


올봄과 지난가을 두 차례 남고서원을 찾았다. 서원 안으로 들어가면 서원 강당건물이 있고, 뒤로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서 있다. 서원의 뒤로는 이항 등의 위패를 모신 문경사가 자리하고 있다. 봄에 찾아갔을 때는 그리 아름답지는 않았다고 기억을 한다. 하지만 가을에 찾아가는 남고서원의 멋은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들이다.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우수수 떨어지는 노랑 은행잎들이 하늘거리며 떨어지는 것이 마치 춤을 추는 듯하다. 그런 가을 정취를 느끼며 글을 읽는 학동들의 모습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작은 시골에 소재한 서원이지만 이 남고서원이 왜 철폐령에서까지 제외가 되었는지, 나름대로 수긍이 간다.


유난히 서원이 많은 정읍이다. 아마 그만큼 이곳은 양반들이 선호하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곡창지대인 이곳에 모여들어 자녀들을 교육시키려다보니 그만큼 많은 서원이 있었지만.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서원의 존폐를 떠나 노랑 가을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를 찾아본다는 것은 어느 때 찾아갈 것인가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남고서원이야 말로 가을 은행잎이 물드는 시기에 찾아가는 것이 가장 좋을 듯하다. 올 가을, 서원에 은행 빛이 아름답게 물이 들 때, 다시 한 번 여정을 잡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