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낮에 길을 가다가 용을 만난다면, 그 기분은 어떠할까? 아마 이런 이야기를 하면, 남들은 혹 정신이 이상해진 것은 아니냐고 할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답사 중에 도로에서 용을 만났다. 그것도 아주 거대한 용을. 백주 대낮에 용이라니. 도로 옆으로는 보성강이 흐르고 있으니 강물 속에서 솟아나와, 승천이라도 하려는 것일까?

전남 곡성군 죽곡면에 있는 태안사 답사를 마치고, 18번 도로를 따라 오산면 가곡리 오층석탑을 찾아가는 길이다. 18번 도로는 좌측으로 보성강을 끼고 도로가 이어진다. 그런데 저만큼 이상한 바위가 서 있다. 흡사 용과 같은 모습이다. 왜 이곳에 이렇게 돌을 쌓아 용처럼 만든 것일까?


돌을 쌓아 만든 ‘석룡(石龍)’

곡성군 죽곡면 남양리. 마을입구로 들어가기 전 좌측으로 운동장이 있고, 그 운동장 입구에 돌을 쌓아 용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이해가 가질 않았다. 새머리 형상을 닮은 것 같기도 하고, 그저 돌을 쌓아 놓은 것도 같았다. 그러나 자세히 보니, 뿔이 나 있고 입에는 여의주도 물고 있다. 왜 이곳에 이런 용을 만들어 놓은 것일까? 흡사 강물에서 나온 용이 승천을 하기 위해, 고개를 들고 엎드려 있는 모습이다.

길가로 머리를 들고 있는 돌로 만든 용의 형상을 찍으려다가, 그 뒤를 보고는 소리를 내어 웃고 말았다. 용의 꼬리가 뒤편 보성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돌담으로 용꼬리를 만들어 길게 늘어놓았다. 그것도 뒤로 갈수록 담이 좁아지면서, 완연한 용의 형상을 하고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서 앞으로 보니, 머리를 들고 승천이라도 할 것 같은 모습이다.



돌을 쌓아만든 석룡의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위) 뒤편으로 꼬리가 보인다(가운데, 아래)

와룡체육공원의 상징, 용의 형상

와룡체육공원은 곡성군 죽곡면 남양리 마을길 조금 전에 있다. 남양리는 양동과 박용동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마을이 남쪽을 향하고 있다 하여 남향동이라 하였단다. 이것이 변하여 남양리라 칭하게 되었으며, 박용동은 6.25당시 남양리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이곳에 왜 와룡체육공원이 들어섰는가는 자세히 알아보지를 못했다.

하지만 용머리는 남양리를 향하고 있고 용의 꼬리는 뒤편 보성강 쪽으로 길게 이어져 있으니, 그야말로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질 것이란 생각이다. 아마도 남양리에 걸출한 인물이 난다면, 후세 사람들은 이 돌을 쌓아 만든 ‘석룡(石龍)’의 기운 때문이라고 하지 않을까? 설화라도 한마디 나올법한 광경이다.


석룡은 와룡체육공원을 상징하고 있다. 뒤편으로는 돌담이 꼬리가 된다.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이런 재미있는 모습을 만나게 된다. 그저 지나치면 그만이다. 아무 생각 없이 다닌다면 그저 돌이 쌓였는가보다 하고 지나칠 것이다. 사물을 보고 훌쩍 그 앞을 지나칠 수 없음은, 답사에서 꼼꼼히 따지는 습관이 들어서인지. 2월 26일 토요일 오후, 답사 길이 괜히 즐거워진다. 다음에 이 길을 지날 때는, 돌로 용을 만든 사연이라도 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