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 중에는 양양송이를 제일로 친다.’고 사람들은 그렇게 이야기를 한다. 송이버섯이야 어디서 채취를 하나 그 향이 독특해, 이 계절에는 산을 오르면 송이가 날만한 곳은 송이를 따러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는 한다. 그만큼 자연산 송이버섯은 향이 특이하고 좋다고 한다, 일설에는 ‘1능이 2송이 3표고’라고도 한다. 아마 그 향으로 순위를 따지는 것인가 보다.

우리나라의 문헌에 송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인로(1152~1220)의 시에서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우리나라 각처의 명산물로 송이를 들고, 『동의보감』에는 “송이는 맛과 향이 매우 뛰어나고, 소나무의 기운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산중 고송 밑에서 자라기 때문에 소나무의 기운을 빌려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무에서 나는 버섯 가운데서 으뜸가는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송이는 양양, 봉화, 남원, 구례 등에서 자생한다.

양양 황금송이 한 상자로 선물로 받았다.

이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송이

송이버섯은 위와 장 기능을 도와주고 기운의 순환을 촉진해서, 손발이 저리고 힘이 없거나 허리와 무릎이 시릴 때 좋다고 한다. 송이버섯에 있는 다당체는 항암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송이는 해마다 그 수확량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지난해에는 천정부지로 뛰어오른 송이 값이, 서민들은 아예 꿈도 꾸지 못할 정도로 고가이기도 했다.

이러한 송이를 한 상자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면 어떨까? 물론 나에게 온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양양산 황금송이 한 상자를 선물로 받고 보니, 고민이 되었다. 이 송이를 어떻게 요리를 해먹을까 하는 고민에서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모아 함께 맛을 보자고 한 뒤에, 산을 다니면서 채취를 해놓은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으로 된장국을 끓였다.

큰 것은 휴대폰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황금송이버섯으로 지은 밥, 정말 일품이네.

송이는 물로 씻지 않는다. 그만큼 향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대개는 겉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데도 조심을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부드러운 칫솔 같은 것으로 살살 닦아내면 흙을 털 수가 있어 좋단다. 이나저나 이 귀한 양양 황금송이를 어떻게 할까 망설이다가, 여러 명이 먹을 수 있도록 송이를 잘게 찢어서 밥을 하는데 집어넣었다.

일명 ‘황금송이버섯 밥’을 한 것이다. 그리고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을 이용해 된장국을 끓였다. 송이 향이 빠질까봐 뚜껑도 열지 못하고 기다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밥이 다 된 것 같아 뚜껑을 열고 보니, 세상에 밥에서 나는 송이향이 말로 설명할 수가 없을 정도다. 따듯한 밥 한 그릇에 버섯된장국 한 대접. 누구 부러운 사람이 없다.


송이를 넣어 밥을 하고, 채취해 놓았던 능이와 싸리버섯을 넣어 된장을 끓였다. 진시황도 이런 음식은 못 먹어보았을 것이란 생각이다.

생각이나 해보았을까? 황금송이버섯 밥이라니. 향이 풍기는 밥을 한 그릇 후딱 비우고, 다시 한 그릇을 담아 먹는다. 이런 특별식이라면 살이 좀 찐다 해도 괜찮을 듯. 양양송이 몇 개가 그렇게 행복을 줄줄 몰랐다. 먹는 것에 그리 탐을 하는 사람이 아니건만, 이렇게 식탐을 하는 사람이 되어버렸으니. 그래도 그 귀한 송이버섯 밥을 먹었다는 생각으로 며칠은 즐거운 날이 될 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