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에 소재한 통도사. 영축산에 자리한 ‘영축총림’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사찰’이다. 우리나라의 삼보 사찰은 ‘법보사찰’인 합천 해인사, ‘승보사찰’인 순천 송광사, 그리고 불보사찰인 통도사이다.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절이다.

통도사를 불보사찰로 부르는 것은,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와 승복의 하나인 가사를 모신 사리탑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을 모시고 창건하였기 때문에, 창건 초기부터 중요한 절로 불보사찰이라는 삼보사찰 중 한 곳으로 이름을 떨쳤다.


용화전 앞에 서 있는 탑의 용도는?

통도사 용화전 앞에 서 있는 ‘봉발탑’이라 하는 이 탑은, 보물 제47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전국 어디를 돌아보아도 이런 형태의 탑은 전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 탑의 용도에 관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그 용도에 관한 정확한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 봉발탑의 용도가 석가모니의 옷과 밥그릇을, 후천세계의 미륵부처가 이어받을 것을 상징한 조형물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미륵부처님은 후천세계의 부처님이다. 불교적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인 ‘미륵불(=Maitreya)’이다.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열반하신 후, 56억 7천만년이 지나서 이 세상에 나타날 부처님을 말한다.



이 미륵부처님은 현재 도솔천 내원궁에서 보살로서 존재해 있으며, 이미 수기를 받은 부처님이다. 현재는 도솔천을 주재하고 설법을 하기 때문에 ‘미륵보살’이라 칭하지만, 인간의 사바세계로 내려오면 ‘미륵불’로 불러지게 된다.

스님들이 사용하는 발우를 닮은 탑

이 봉발탑은 불교를 조금만 알고 절을 드나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스님들의 공양 그릇인 ‘발우’와 같은 모습이다. 탑의 기본 형태는 받침부분 위에 뚜껑이 있는 큰 밥그릇을 얹은 듯한 형태이다. 이 발우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모두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랫부분의 둥근 기단석과 간주석, 그리고 발우를 받치고 있는 윗부분이다.



아래받침부분은 연꽃으로 화려하게 조각이 되어있다. 아래받침에는 둥그런 형태에 기둥이 표현되어 있어, 이것이 땅을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마치 땅과 부처님의 연화세계를 잇는 간주석을 둔 것이란 생각이다. 그 위 부분은 간주석으로 잘록한 형태이다. 이 간주석은 네모나게 조형을 하였으며, 모서리 부분을 다듬어 부드럽게 표현을 하고 있다. 그리고 맨 위 상대석은 앙화가 크게 조각되어 있다.

고려 이전에 조성한 탑으로도 보여

맨 위에 올려놓은 발우는 뚜껑과 높은 굽 받침이 있는 그릇 모양의 석조물이다. 연꽃조각이나 받침부분의 기둥 양식 등으로 보아, 이 봉발탑의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이러한 모형의 탑이 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이전의 작품으로도 보인다. 일반적인 동 시대의 그릇 모양을 한 조각물과는 품격의 차이가 보이기 때문이다.



후천세계의 부처님인 미륵불의 밥그릇이라는 통도사 봉발탑. 7월 11일 통도사에 스님들의 공양을 준비하러 갔다가 용화전 앞에서 만나본다. 벌써 서너 차례나 본 봉발탑이다. 그리고 그 때마다 이 탑을 보면서 생각을 한다. 아마 어느 날 아침 저 봉발탑의 밥 그릇 뚜껑이 열리면, 그 날이 미륵부처님이 이 땅에 나투시는 것은 아니실까 하고.


세상을 돌아다니다가 보면 가끔은 황당한 일도 있다. 하지만 황당을 넘어 요즈음 말로 졸결자로 불리는 사람들도 있게 마련이다. 문화재를 찍으로 다니거나 이런 저런 이유로 세상을 보다가 우연히 주변에서 보이는 것들. 그런 것들이 세상을 사는데 청량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남들이야 그것이 머 대단한 것이냐고 할 수도 있겠으나, 내가 보기에는 이보다 더한 종결자는 없을 것이란 생각이다. 일을보러 다니다가 우연히 마주친 것들. 그러한 것들이 지친 몸과 마음을 조금은 누그러트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수박장사의 종결자

 


수박이라는 것이 둥글다보니 차에 싣고 다니면 굴러 떨어지기 십상이다. 트럭 한 가득 수박을 싣고 팔러다니는 수박장수의 고민을 한 방에 해결한 것. 그것인 바로 스카치테이프였다. 스박을 가득 싣고 스카치테이프로 고정을 시켰다. 우습기도 하지만, 더 많이 싣고 많이 팔아야겠다는 이분, 수박장사의 종결자가 아닐까?

신팻션의 종결자일까?

정말 모르겠다. 이것이 신 팻션인지, 아니면 실수인지. 당당한 걸음걸이로 보면 실수는 아닌 것도 같다. 처음엔 손수건으로 멋을 냈다고 생각을 했다. 당당히 걸음을 걷는 어느 여성의 가슴에 보이는 흰 것. 손수건치고는 두텁다. 멋을 낸 것일까? 그런데 아닌 것도 같다. 보는이의 생각에 맡기자. 

 

 

7월 19일. 아침 일찍 ‘스님짜장’ 준비를 하여 부산으로 향했다. 부산 구서 전철역 옆에 마련한, ‘어르신 무료급식소’로 찾아가는 길이다. 7월 복중에 한 달에 10번 이상을 이렇게 전국을 돌아다녀야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가다가 갑자기 차 안이 더워지기 시작한다. 에어컨까지 고장이 난 것이다.

창문을 열어보아도 찜통이다. 그래도 어찌 할 것인가? 세 시산 이상을 달려 도착했다. 지난 번에 한 번 다녀왔기 때문에, 분위기는 대충 알고 있는 곳이다. 오늘도 역시 배식시간이 아직 멀었는데도, 많은 어르신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계시다. 밖으로는 전과 다름없이 긴 줄이 이어져 있고.



부산 혜일암의 어르신 사랑

부산 혜일암. 그리 크지 않은 절집이다. 주지 우신스님과 자원봉사자들, 그리고 지하철 근무자들과 적십자 자원종사자 등, 30여 명의 봉사자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다. 그 중에는 어린 학생들도 보인다. 혜일암 신도님들은 부모님께 공양을 지어 올리듯, 매주 화요일마다 이곳에서 600~800명의 어르신들께 점심 대접을 하고 있다.

그 비용도 만만치가 않을 듯하다. 아마도 한 번 급식을 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만 해도 작은 암자에서는 벅차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그래도 낯 한번 붉히지 않고, 매주 이곳을 찾는 어르신들께 정성들여 지은 점심 공양을 하고 있다.


점심을 드시기 위해 기다리시는 분들과 준비를 하기에 여념이 없는 혜일암 봉사자들

“할머니, 이곳에 자주 오세요?”
“거의 매주 와요. 저 스님이 화요일이면 맛있는 음식을 해주니까”
“오늘은 멀리 남원에서 짜장면을 해준다고 해서 일부러 나왔어요. 지난번에도 한번 먹었는데 맛이 있어서” 
 

어르신들은 그저 이렇게 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에 대해 고맙고 미안하다고 말씀들을 하신다. 힘들지만 어르신들이 혹여 끼니라도 굶지는 않을까 걱정이 된다는 혜일암 봉사자들. 세상에 보살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다. 세상에는 왜 이렇게 다른 사람들이 많은 것일까? 누구는 무료급식을 반대한다고 생난리를 피우고 있는데.


스님짜장 배식이 시작되었다. 자원봉사자 가운데는 나이어린 학생들도 있다.

급식소의 노악사님들 정말 멋지십니다.

한창 배식이 시작되고 어르신들이 짜장면을 맛있게 드신다. 그런데 그 전부터 음악이 그치지를 않는다. 마이크를 잡고 노래를 하시는 어른도 연세가 70은 넘어 보이신다. 그리고 악기 연주를 하시는 분은 이미 80이 넘으셨다고 한다.


짜장을 드시는 어르신들과 연주를 하시는 노 악사님

“저 어르신들 매번 나오시나요?”
“자주 나오세요. 혜일암에서 무료급식을 하는 날은 꼭 나오시는 것 같아요”
“연세가 꽤 되신 듯 한대요.”
“악기 연주하시는 분은 80이 넘으셨대요. 그래도 정정하세요. 이렇게 당신과 비슷한 또래의 분들에게 음악으로 조금 더 즐겁게 해주시기 위해서 연주를 하신데요”

아름답다. 늙어 주름진 손이 빠르게 선에서 선으로 이동을 하면서 아름다운 음률을 만들어 낸다. 누가 이 분들의 멋진 인생에 대해 왈가왈부할 것인가? 무료급식소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그 어떤 사람들보다도 아름답다.

“어르신 건강하게 오래사세요. 그리고 좋은 음악으로 마음이 아픈 분들을 많이 위로해 주세요.”

괜히 에어컨이 나오질 않는다고 투덜거린 내가 낯이 뜨겁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에 소재한 봉암사 경내, 대웅보전 곁에는 전각이 하나 서 있다. 최근에 새로 지은 듯한 이 전각 안에는 국보 재315호 지증대사탑비와, 보물 제137호인 지증대사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지증대사(824∼882)는 이 절을 창건한 승려로, 17세에 승려가 되어 헌강왕 7년인 881년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봉암사로 돌아와 이듬해인 882년에 입적하였다.

은 ‘지증’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 이름을 ‘적조’라 하도록 하였다. 탑의 명칭을 ‘지증대사 적조탑’이라 부르는 이 탑은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를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다.



온전한 지붕돌의 섬세한 꾸밈

8각으로 꾸며진 지붕돌은 아래에 서까래를 두 겹으로 표현한, 겹처마 지붕으로 아름답다. 서까래까지 세세하게 표현을 한 지붕돌의 처마는 살짝 들려 있다. 낙수면의 각 모서리 선은 굵직하고, 끝에는 귀꽃이 알맞게 돌출되어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연꽃받침 위로 머리장식이 차례로 얹혀 있다. 지붕돌의 일부분이 부서져 있으나, 각 부분의 꾸밈이 아름답고 정교하며 품격이 남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탑신은 8각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다. 앞뒤의 양면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달린 문짝 모양을 조각하였다. 아마도 이 탑이 지증대사의 사리를 보관한 탑이기 때문에 이런 장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양 옆으로는 불교의 법을 지킨다는 사천왕을, 나머지 두 면에는 보살의 모습을 돋을새김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조각들이 지증대사 탑의 전체에 고르게 표현이 되어있다. 전국에 수많은 사리탑을 둘러보았지만, 이처럼 화려하게 장식을 한 탑은 그리 흔치가 않다. 위서부터 아래 기단까지 고르게 조각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많은 조각이 어우러진 탑

기단은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평면 모양은 8각으로 꾸며졌다. 밑단에는 각 면마다 사자를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위단을 괴는 테두리 부분을 구름무늬로 가득 채워, 금방이라도 탑이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 윗단에는 각 모서리마다 구름이 새겨진 기둥조각을 세우고, 사이사이에 천상의 새라는 가릉빈가를 새겨 넣었는데 그 모습이 우아하다.




가릉빈가는 불교에서의 상상의 새로, 상반신은 사람 모습이며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다. 가운데받침돌의 각 면에는 여러 형태의 조각을 새겨 넣었는데, 무릎을 굽힌 천인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공양을 드리고 있는 모습들이 보인다. 이 조각은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꾸며져 탑의 조형이 남다름을 알 수가 있다.

정녕 사람이 만든 탑일까?

윗받침돌은 윗면에 탑신을 고이기 위한 고임대를 두었으며, 모서리마다 작고 둥근 기둥 조각을 세워 입체감 있는 난간을 표현한 것도 이 탑의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잘 어울리는 지증대사 적조탑. 안정감이 있게 조형이 된 탑의 옆에 세워진 비문의 기록으로 보아, 통일신라 헌강왕 9년인 883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다는 문경 봉암사. 선방에서 수행 중인 스님들께 자장을 해 드리기 위해 7월 6일에 찾아간 봉 옛 고찰. 그곳에서 만난 지증대사탑의 모습은 한참이나 눈앞에 아른거리는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었다.

7월 18일 아침부터 부산하게 준비를 하고 난 후 트럭에 대형 솥을 싣고 전주에 있눈 전주초등학교로 항했다. 전날 미리 눌러놓은 밀가루며 면을 삶아 낼 대형 솥 등을 차에 싣고 떠난 것은, 학교 급식소가 수리를 하기 때문이다. 도착하자 마자 준비를 하는데 이런 전기가 들어오질 않는다. 겨우 안으로 옮겨 면을 뽑기 시작한다. 땀을 흘리며 면을 뽑고보니 이번에는 영 가마솥에 물이 끓을 기미가 보이지를 않는다.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나. 기다리고 있는 전주 중앙동장님과 전주초등학교 교감선생님이나 애가 타기는 마찬가지 겨우 면을 끓여 1학년 부터 배식을 시작한다. 처음으로 찾는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이래저래 신경이 많이 쓰인다.

 


면을 뽑고 배식 준비를 마친 봉사단과 중앙동 직원들이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

1학년 어린이들 부터 '스님짜장'을 맛보러 온다. 어린 꼬마들이 식판을 손에 들고 다가와 짜장을 받아들고
"고맙습니다"라고 한다. 아마도 그 말 한 마디를 듣기 위해 이렇게 땀을 흘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이들은 식판에 짜장을 받아 이층 식탁이 있는 곳으로 올라간다. 나란히 줄을 지어 먹고 있는 아이들에게 

"맛있어요?"
"예, 그런데 왜 고기가 없어요?"
"스님이 만든 짜장이라 고기를 넣지 않았어요"
"왜 스님은 고기를 먹지 않아요?"
"....."


어린이들 다운 질문이다. 하지만 어떻게 대답을 해야할까. 무엇이라고 대답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스님들은 원래 고기를 먹지 않아요. 그래서 콩고기를 넣었어요"
"우리들은 스님이 아니라서 고기 먹어도 되는데요"
"아 그렇구나 그걸 몰랐네"



녀석들이 진땀을 빼게 만든다. 한 녀석이 질문을 하면 여러 녀석들이 동시에 질문을 퍼 붓는다. 이럴 때는 빨리 그 자리를 피하는 것이 상책. 밑으로 내려와보니 고학년 학생들이 줄을 지어 서 있다. 300여명의 어린이들에게 처음으로 만들어 준 '스님짜장'.

아마도 애를 탄만큼 더 값진 봉사는 아니었을까? 배식을 다 마치고 난 후, 한 그릇 푸짐하게 비벼 먹으면서 생각을 하고 혼자 키들거린다.

'정말, 고기를 넣으면 더 맛있을 것도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