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0일 경남에 일을 보고 난 후, 진주에 들렸다. 한 낮의 기온은 가히 머리가 벗겨질 만 하다는 이야기가 날만큼 뜨겁다. 진주시 수곡면에 있는 문화재 답사를 한 후 되돌아 나오는 길에 보니, 주변이 온통 비닐하우스로 덮혀있다. 요즈음은 비닐하우스를 이용해 특작을 하는 농가가 많다보니, 그저 무심코 지나치기가 일쑤이다.

그런데 한 곳에 눈이 머물렀다. 딸기 모종인 듯한데, 어떻게 공중에 떠 있는 듯하다. 자세히 보니 위로는 비닐을 씌울려고 하는지 철골 구조물이 있는데, 그 아래 딸기의 모종판이 철제 사다리를 받쳐 위로 올려놓았다. 그리고 그 아래는 물이 흐르도록 하였다. 그런 모습을 보고 난 후 조금은 의아하다. 왜 저렇게 공중에 모종판을 올려 놓은 것일까?   



딸기의 모종판. 모종을 키우는데 땅에 키우는 것이 아니라 철걸 구조물로 아래를 받치고 위로 올려놓았다. 밑으로는 물이 고이게 시설을 하였다.

농촌생활에서 익힌 생활의 지혜

도대체 왜 저렇게 만들어 놓은 것일까? 내가 농사꾼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이유를 알 수가 없다. 다만 보기에 색다른 모습이기에 사진을 찍어놓고 주변을 살피니, 밭의 주인인 듯한 분이 다가온다.

"혹시 이 밭 주인이세요?"
"예, 그런데요. 왜 그러세요?"
"왜 저렇게 공중에 띄워서 모종을 키우죠?"
"아! 저거요. 허리가 아파서 위로 올린 것이죠"
"예, 그런 이유였군요"

 



그러고 보니 금방 해답을 얻을 수 있는 기구가 하나 있다. 바로 바퀴가 달린 앉은판이다. 바퀴가 달린 앉은판에 앉아 밀면서 자리를 옮기는 것이다. 그리고 다 자란 모종을 비닐하우스로 옮겨 간단다. 예전 같으면 허리를 굽히고 해야하기 때문에, 허리통증을 많이 호소를 하고 했단다. 생활에서 얻어지는 지혜, 이런 것이 바로 전문가가 되는 길은 아닌지. 그저 지나칠 수도 있는 것에서 시골생활의 즐거움을 본다. 물론 농사일이 쉽지는 않지만, 이렇게 조금씩이라도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바퀴가 달린 앉을판. 이곳에 앉아 편안히 밀고다니면서 모종 관리를 한단다. 

사람들은 가끔 이런 이야기를 한다. ‘글을 쓰고 싶어도 잘 못 쓰겠다.’ 이런 말은 공감이 가는 말이다. 사실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란 생각이다. 글은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남에게 전달하는 수단이다. 하기에 그 글을 보는 사람들이 당시의 분위기에 공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남들이 공감을 하는 글을 쓴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글을 써야 하는데 마땅한 소재가 없다’는 것. 이 말에 대해서는 조금은 의아하게 생각한다. 글을 잘 쓰고 못 쓰고는 이해가 되지만, 글을 쓸 소재가 없다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기 때문이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블로거들의 글재간은 참으로 놀랍기만 하다. 그래서 글을 쓰는 모든 블로거들이 존경스럽기도 한 것이고.


파종과 결실의 즐거움

남들이 물어보면 난 ‘문화블로거’라고 서슴없이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가끔은 ‘진정한 문화블로거’인가를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기도 한다. 내 욕심은 언제까지라도 문화블로거로 남고 싶다. 그래도 가끔은 문화가 아닌 글을 쓰기도 한다. 그것은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삼기 때문이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니라고 해도, 그 모든 것이 이야기가 될 수 있다. 때로는 남들이 참 재미없게 느낄 수도 있겠지만, 그 안에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해 절집 마당 뒤편에 양파를 심었다. 겨우내 자란 양파가 잎이 시들해진다. 장마가 곧 닥친다고 하는 소식에, 양파수확을 한다고 서두른다. 절집을 찾은 신도 몇 분이 양파 밭으로 달려가 양파 수확을 시작한다. 단단하게 잘 여문 양파들이 흙속에서 나와, 밭고랑에 늘어서 있다. 그 잎을 잘라내고 손수레에 담는다.



그것을 찍으려고 하니, 양파를 수확하던 사람들이 한마디 한다.

“저 처사님은 날마다 사진만 찍네.”
“제가 원래 하는 일이 그래서요”
“사진은 그만 찍고 얼른 양파부터 날라다 주세요”
“다 담으면 이야기 하세요. 걱정하시지 말고”

손수레에 하나 가득 담겼다. 선원사 운천 주지스님이 직접 그 손수레를 끌어다 양파를 그늘에 펴 놓는다. 그래야 썩지 않고 오래도록 보관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날이 따가운데도 밭고랑을 옮겨 다니면서 양파 수확을 하는 사람들이나, 손수레에 담아 나르는 스님이나 모두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다. 수확의 기쁨이란 것이 그런 것인가 보다.

나는 다음 생애에도 문화블로거이고 싶다.

어떤 것이나 글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남들처럼 화려한 글 솜씨를 갖지 못했기에, 이 이상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은 무리인 듯하다. 문화재에 재한 글을 쓰라고 한다면, 조금은 더 잘 쓸 수 있을 것도 같다. 하지만 그것도 내 생각이다. 평가는 보는 이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나는 내 생애에는 힘자라는데 까지 문화블로거로 살고 싶다. 그리고 할 수만 있다면 다음 생애에서도 문화블로거를 하고 싶다. 그만큼 블로거라는 것이 매력이 있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글 소재는 주변에 얼마든지 있다. 그 소재를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유를 한다는 것 또한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블로거로써 살아온 세월이 벌써 7년이 지났다. 남들처럼 계속하지는 않았지만, 지금도 블로거로써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는 나이다. 때로는 속이 상한 적도 있고, 모든 글을 삭제시켜 버리기도 했다. 문화를 대우하는 것이 허접하기 때문이다. ‘문화연예’를 같은 분류 안에 넣어놓고, 연예가 모든 글의 대부분인 것도 조금은 안타까운 생각이지만, 이제는 그런 것조차 초연해졌다.


그저 내가 좋아 택한 블로거 생활이다. 그리고 ‘바람이 머물 듯’ 전국을 다니다가 문화재가 보이면 그곳에서 발을 멈춘다. 블로그를 운영하기 전부터 돌아다닌 세월이 벌써 30년을 훌쩍 넘겨버렸다. 그런데 아직 전국의 문화재를(개인이나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문화재를 제외하고) 아직 그 절반도 찾아보지 못했다. 그래서 다음 생애에서도 난 문화불로거로 살아가고 싶은 것이다.

누군가 글쓰기가 어렵다고 하기에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보니, 다음 생애까지 들썩여야만 했다. 글을 감칠 맛나게 쓰지 못하는 나로서는 이런 ‘양파’의 소재 하나도 귀하게 여긴다. 그런데 하물며 문화재랴. 그저 글을 이렇게 쓸 수 있고, 남들이 보아준다는 것이 고마울 따름이다.


가끔은 컵라면을 먹을 때가 있다. 일을 하다가 오후 시간에 출출하거나, 저녁을 5시 30분에 먹고 나서 9시가 정도가 되면 허기가 진다. 그럴 때 적당한 것이 작은 컵라면이다. 요즈음은 컵라면도 다양하게 나오기 때문에, 그때그때 적당히 골라서 먹는 재미도 있다. 그렇게 가끔 간식거리로 이용을 하기 때문에, 종종 마을에 있는 슈퍼를 이용하고는 한다.

그동안 컵라면 밑바닥에 찍힌 유효기간을 한 번도 확인해 본적이 없다. 그저 믿거니 하고 사다가 먹었기 때문이다. 오늘 작업을 하다가 우연히 간식으로 컵라면을 먹을 일이 생겼다. 출출하던 차에 작은 컵라면 하나는, 즐거움이기도 하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구입을 한 컵라면. 그런데 날짜가 다르다. 하나는 이미 유통기간이 지난 상품이다.

그런데 물을 부으려고 하다가 보니, 날짜가 이상하다. 처음에는 그저 무심코 넘겨버렸다. 그런데 5개의 컵라면 중에 4개는 유효기간이 7월 9일 까지 인데, 하나가 날짜가 다르다. 5월 24일이라고 찍혀있다. 어째 이런 일이 있나?

다섯 개의 컵라면 중 하나만 유효기간이 지났다.

가만히 컵라면을 샀을 때를 생각해 본다. 그러고 보니 가득 쌓인 컵라면을 하나만 날짜를 보고 다섯 개를 사왔다. 밑바닥에 적힌 날짜는 7월 9일이었다. 그래서 그 상자에 들은 것이 당연히 모두 같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 것이다. 그러나 막상 뒤집어보니 그 안에 내용이 다른 것이 있었다.

이 유효기간을 지난 컵라면이 어떻게 그 박스 안에 들어있었을까? 아마도 물건을 꺼내 쌓아 놓을 때, 날짜가 지난 것이 섞여 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공장에서 출고를 할 때 그렇게 슬쩍 집어넣지는 않았을 테니까. 의도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저 라면 박스를 통채로 열어놓고 파는 곳이니, 남은 것일 수도 있겠지만 왠지 기분이 썩 좋지가 않다. 이미 날짜가 10여일이나 지났으니까 말이다. 그렇다면 출고가 된지가 오래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 안에 섞인 것일까? 만일 일부러 그렇게 섞어서 팔 요량이었다면 묵과할 수가 없는 일이다. 라면을 먹으면서도 내내 기분이 찜찜하다. 정말로 실수로 들어간 것이라고 믿고 싶기는 하지만, 만일 일부러 날짜가 지난 것을 섞어 판 것이라면. 괜한 라면 하나가 사람을 더욱 지치게 만든다.

봉사를 하는 사람들. 그것도 어쩌다 한번 하는 것이 아니다. 한 곳은 한 달에 10여 차례의 스님짜장을 전국을 다니며 봉사를 하는 곳이고, 한 곳은 창원 팔용 민속 5일장에서 장날마다 무료급식을 하는 곳이다. 이 두 곳이 만났다. 거기다가 ‘제9회 우리 마을 경노잔치’까지 곁들여졌다.

한 달에 여섯 차례 민속 5일 장날마다 무료급식을 하는 곳. 남원 선원사를 아침에 출발한 스님짜장의 봉사단 일행은 장에 도착하자마자 짐을 풀고 준비를 시작한다. 이미 이력이 붙은 솜씨들이다. 커다란 가마솥 두 개가 트럭에서 내려지자 바로 자장을 볶기 시작한다. 이미 무료급식소 주변은 어르신들로 만원을 이루고 있다.




몸에 밴 봉사정신

창원의 ‘꽃들에게 희망을’이라는 봉사단체에게서 연락이 왔다. 어르신들께 자장면을 만들어 드리고 싶다는 것이다. 물론 흔쾌히 승낙을 했다. 그리고 6월 4일 민속 5일장 날을 맞아 창원으로 향한 것이다. 중학교 학생부터, 고등학교, 일반 기업의 직업들, 그리고 주부들까지 300여명의 봉사자들이 모여,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모습에서 혀를 내두른다.

스님짜장이 익어갈 무렵, 콩으로 만든 햄을 부어 넣는다.

“스님짜장에도 고기를 집어넣나?”
“아닙니다. 콩으로 만든 햄인데요.”
“암, 그래야지”




자장면을 볶고 있다. 제일 끝으로 고기맛을 내는 콩햄을 넣는다. 

간을 보고 또 본다. 아르신들의 구미에 맞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한편에서는 그릇에 밥을 담고, 한편에서는 스님이 자장을 부어준다. 자원봉사를 하는 학생들과 회사원들이 쟁반 가득 자장밥을 담아 어르신들께로 나른다.

기다리기가 지루했던지 몇 몇 분이 줄은 선다. 금방 줄은 길게 늘어났다. 큰 가마솥으로 두 솥을 자장을 볶았는데 부족하다. 이미 1,300명을 넘게 급식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이 먹을 것을 또 볶는다. 오후 1시 40분에 배식이 끝났다. 그리고 잠시 뒤, 언제 그렇게 많은 어르신들께 급식을 했는지 흔적조차 없다.


선원사 봉사단원들의 손길이 바빠진다. 한편에서 민요 한마당이 선을 보이고

봉사를 하는 손길들을 보니 몸에 밴 듯하다. 아마도 그 마음이 아름다워 표정 하나하나가 모두 밝은가보다. 그렇게 1,500그릇 정도의 자장밥으로 아름다운 봉사를 마쳤다. 스님짜장 버스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생각을 한다.

‘봉사를 하는 사람들은 세상 그 무엇보다도 아름답다’는 것을...


 

자장밥의 배식이 시작이 되었다. 그릇에 밥을 담으면 짜장스님이 자장을 듬뿍 퍼 담아준다


스님짜장밥을 드시기 위해 늘어선 줄, 그리고 밥을 맛잇게 드시는 어르신들
"고거 참 맛있다"를 연발하신다.



봉사는 누가 하는 것이 중요한가? 서로가 팔을 걷어부치고 그릇을 닦고 있다. 어르신들이 맛있게 드실 수 있도록
한 자원봉사자가 '효자손'을 어르신들께 나누어 주고 있다. 모습이 아름답다.
그리고 급식이 끝나고나자, 주변 정리를 하고 있다. 순식간에 주변이 말끔해졌다.

겁나게 더운 날, 어르신들을 위해 기꺼이 고생을 한 자원봉사자들이 '사랑실은 스님짜장'버스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모두가 행복한 표정들이다.   

어제 5월 27일, 하루 종일 준비를 했다. 28일 김제 금산사에서 '모악청소년축제'에 참가하는 청소년 1,000명에게 자장면을 먹이려면, 20kg짜리 밀가루를 자그마치 10포대를 반죽을 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차지게 만들기 위해 15~16번 정도를 기계에 넣고 돌린다. 그리고 난 후에 보관을 했다가 행사장으로 가져가는 것이다. 그것뿐이 아니다. 1,000명분 야채를 준비하려면 손에 물집이 잡힌다.

‘스님짜장’ 버스에는 사람들이 타지만, 커다란 가마솥 두 개를 트럭에 실어 함께 길을 나선다. 봉사를 하는 인원만도 20여명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준비를 해야만 아이들에게 따듯하고 맛있는 자장면을 먹일 수가 있다.

김제 금산사 모악청소년축제에 참가한 청소년들

연이은 강행군으로 녹초가 되어도

‘스님짜장’을 찾는 곳이 점점 많아진다. 매일이라도 나가고 싶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무리이다. 인원이 많을 때는 준비를 하는데 만도 꼬박 하루가 걸리기 때문이다. 행사장으로 가면 자장을 볶으랴 면을 뽑으랴, 그야말로 여기저기서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 한편에서는 물을 데워야 하고, 가마솥에 가득한 자장을 젖느라 팔이 떨어질 지경이란다.

그래도 갈 데는 많다. 이런 축제는 이제 기본이 되어버렸다. 사실 우리가 찾아가는 곳은 어둡고 지친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어려운 사람들이 있는 곳을 항상 먼저 날을 정한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힘들고 지친 사람들에게, 따듯한 자장면 한 그릇을 먹이기 위해 시작을 했기 때문이다. 소외되고 굶주린 사람들에게, 그 자장면 한 그릇은 정말로 소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자장면을 만들기에 앞서 잠시 의논을(위), 열심히 볶고(중) 또 뽑고(아래)

청소년 축제, 끝없이 이어진 줄

불교의 파라미타 청소년들이 전국에서 김제에 있는 금산사로 모여들었다. 말이 1,000명이지, 그 인원을 먹일 준비를 하려면 그야말로 온 봉사단원들 모두가 초비상이 걸린다. 자장을 끓여놓고 면을 뽑아 삶는다. 찬물에 식힌 면이 그릇에 담겨지면, 아이들은 자장을 한 국자씩 받아 자리를 잡는다.

여기저기 아이들이 자리를 잡고 앉아 자장면을 먹는다. 젊은이들이라 아무데나 앉아 음식을 먹어도 그 모습이 아름답다. 한 그릇을 후딱 비운 녀석들은 은근슬쩍 줄 뒤에 달라붙기도 한다. 그래도 제가 먹은 그릇을 들고 오는 녀석은 양심이 있는 녀석들이다. 그릇을 치워놓고 안 먹은 척 줄 뒤에 붙는 녀석들도 보인다. 그것이 다 젊기 때문이다.



또 볶고(위) 그리고 배식이 시작되고(가운데) 줄은 점점 길어지고(아래)

줄은 줄어들지를 않는다. 어림잡아 30m는 넘게 늘어선 듯하다. 삶아내는 면이 속도를 감당하지 못한다. 그렇게 한 시간이 넘게 야단법석을 떤다. 봉사단원들의 얼굴은 상기가 되고, 이마에는 땀이 맺힌다. 그렇게 힘이 들지만 청소년들의 한 마디가 피로를 잊게 한다. 이보다 더 즐거운 말이 있을 것인가?

“스님짜장, 정말로 짱이에요”

줄은 어느새 30m 가까이 길게 늘어섰다

아이들에게 스님찌장을 퍼 주는 운천스님 

여기도 먹고

저기도 먹고

줄을 서서 기다리면서도 예쁜 짓을...

그래도 마무리는 확실히 해야지. 친구들이 먹은 그릇을 닦는 학생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