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117번지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팽성읍 객사. 팽성 객사는 조선 성종 19년인 1488년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객사란 공무를 보는 관원들이 묵어가는 곳이며, 일반적인 형태는 중앙에 중대청을 놓고, 양편으로 동, 서헌을 둔다.

팽성객사는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그 후 주택으로도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1994년 해체, 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다. 대문간채는 중앙에 솟을문을 두고, 양편으로 방과 광 등을 드렸으며, 동편을 꺾어 ㄱ 자형으로 마련하였다.



관리청으로서 위엄을 보이는 팽성객사

본채는 전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중대청, 양 옆에 동, 서헌이 각각 3칸씩 있다. 객사 본 건물의 중앙에 마련한 중대청은 안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 달에 두 번 절을 하던 곳이다. 절은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행해진다. 중대청의 지붕은 양 옆에 마련한 동, 서헌보다 높여 건물의 격식을 높였다.

동. 서헌은 각각 중대청과 가까이에 한 칸의 온돌방을 마련하고 나머지는 모두 누마루를 깔았다. 이 동 서헌은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하던 곳이다. 팽성객사의 중대청과 대문의 지붕 꼭대기 양끝에는, 용머리조각을 놓아 관리청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팽성읍 객사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 팽성객사는 원래는 작은 규모였으나, 조선조 현종 때 크게 중창을 하였고, 영조 36년인 1760년과, 순조 1년인 1801년에 다시 중수를 했다고 한다.

문은 잠가놓고, 쓰레기는 쌓이고

2월 12일 오후 팽성객사를 찾았다.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다. 처음 팽성객사를 방문한 것은 2007년 10월 21일이었다. 그 때도 문은 굳게 잠겨있고, 관리사에는 사람이 있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도 역시 객사의 대문은 잠을 통으로 굳게 잠겨있다. 그리고 관리인이 묵는 관리동과 심지어 화장실까지 잠겨 있다.



화장실 앞에는 지저분하게 담배꽁초와 쓰레기들이 나뒹굴고 있으며, 담장 밑에도 담배꽁초와 누군가 버리고 간 쓰레기를 담은 비닐봉지들이 나뒹굴고 있다.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동까지 지어놓고 정작 관리는 하지 않는 문화재. 관리동과 화장실이 붙어있는 이 건물은 벽도 떨어져 나가 흉물로 변하고 있다.

주말과 일요일이 되면 문화재를 답사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곳이 소중한 문화재인 것은 알고 있지만, 이렇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잠가만 두면 된다는 발상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전주객사의 경우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지만, 누구나 들어가 동, 서헌 마루에 앉아 쉴 수가 있다.





문화재란 더 많은 사람들이 가까이하고 그것의 소중함을 인식할 때 지켜지는 것이다. 무조건 문을 걸어놓고 출입을 시키지 않는다고 보존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돈을 들여 관리사를 짓고 사용도 하지 않을 것 같으면, 도대체 왜 혈세를 낭비하면서 문화재보존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일까? 해당 지자체의 반성이 있기를 바란다.


2월 5일, 포천시 소흘읍 산 64번지 노고산에 있는 포천시 향토유적 제43호인 ‘고모리산성지’를 다녀와, 다시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올립니다. 아마도 좀 더 실감이 날 것 같다는 생각에. 겨울철 산행이 만만치는 않지만 산 정상까지 올라갔는데, 정작 산성의 흔적이 보이질 않아 급 실망을 하기도.

그래도 이곳에서 만난 지역의 답사가들로 인해, 고모리산성에 대해 조금 더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있을 듯도 합니다. 문화재는 역시 사진보다 동영상이 있어야 더 좋은 듯합니다.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26호 김영구 가옥은, 조선 영조 29년인 1753년에 지어졌다. 이 김영구 가옥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김영구 옹이 40여년 전에 구입을 하여 살고 있다. 원래는 풍양 조씨들이 살고 있던 집으로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조석우가 지은 집이라고 한다.

김영구 가옥은 세 번째나 방문을 했다. 김영구 가옥은 볼수록 폐쇄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집이다. 마치 철옹성 같다고나 할까?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으로 구성된 본채는 앞에 누마루로 달아 만든 누정이 달린 시랑채가 있고, 사랑채의 서쪽에 붙여 대문을 만들었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가면 길게 ㅡ 자로 늘어선 안채와, 양편에 날개채를 달았다. 안채의 지붕이 높여 날개채와 구분을 한 것도 이집의 재미있는 모습이다.


철저하게 안채 출입이 통제된 가옥

날개채에는 양편 모두 광을 달았고, 서쪽 날개채는 부엌과 연이어져 있다. 동쪽의 날개채의 끝은 일각문과 연결이 되어 사랑채와 연결되고, 서쪽의 대문은 사랑채와 날개채를 연결하고 있다. 결국 두 곳의 문을 통하지 않고는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50년 전만 해도 마을사람 반도 이 집을 드나들 수가 없었다'는 김영구옹의 설명대로 이 집은 어느 누구도 안채를 마음대로 출입할 수 없는 집이었다. 그만큼 외부와 철저하게 차단이 되어 있다. 경기지방의 보기 드문 가옥의 구조로 되어있다.

"우리 집은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온 집이여"

집을 여기저기 꼼꼼히 들여다보고 있는데 집 주인인 김영구옹이 말씀을 하신다.



"여기 이 집은 신문 방송에서 많이 촬영해갔어. 이집에서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왔거든."
"어르신은 어떻게 이 집에 살게 되셨어요?"
"우리 선대부터 이 마을에 살았는데, 이 집이 판다고 나왔어. 나도 자식들을 키우고 있으니 이집을 사면 아이들이 잘 될 것 같아서."
"그래서 자녀분들은 다들 잘되셨나요?"
"탈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들 살고 있으니 그 정도면 됐지."

김영구 가옥의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 과연 이 집에서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왔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하지만 마을중앙에 조금 높게 앉아있는 이 집은, 얼핏 보기에도 명당자리라는 생각이 든다. 김영구옹의 말씀대로 이 집에서 그렇게 많은 정승 판서가 나왔을까? 좀 더 세세하게 이 집을 돌아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집을 지은 석재나 기둥, 처마 등을 보면 이 집은 지방의 공인이 지은 집이 아니다. 석재는 모두 잘 다듬어져 있다, 계단을 쌓은 석재나 주추로 사용한 석재들이 모두 일반적인 자연석을 주추로 사용을 한 것이 아니다. 잘 다듬어진 석재와 누마루를 놓은 형태. 그리고 처마 등을 살펴보면 한양에서 집을 짓던 경장(京匠) 등을 데려다가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해시계가 왜 여기 있을까?

김영구 가옥의 안채로 들어가면 사랑채 뒤에 붙은 높은 굴뚝이 있다. 그 굴뚝 앞에는 문화재 안내판이 서 있고, 경기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된 해시계가 있다. 별 장식이 없이 화강암으로 만든 이 해시계는 높이 0.76m에, 위 평면의 넓이는 25cm 정도가 된다. 가운데는 깊이 1cm 정도의 구멍 흔적이 있다. 아마 이곳에 나무 같은 것을 꽂아, 태양의 일주운동에 따라 그 그림자로 시간을 쟀을 것이다.

이 해시계에는 명문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읽을 수가 없다. 이 해시계는 왜 이곳에 있는 것일까? 조선 세종 16년인 1434년 세종의 명에 의해 장영실이 해시계를 만들어, 흠경각에 처음으로 설치를 하였다. 그리고 서울 혜정교와 종묘 앞에도 설치를 했다고 하는데, 이 집에 있는 해시계는 언제 제작된 것일까? 명문이 없어 제작 년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아쉽다. 다만 이 집을 지었다는 조석우는 고종 때 판서를 지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해시계도 당시에 이집에 두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랑채에 달아낸 누정이 압권

김영구 가옥의 사랑채 서쪽에는 누정이 붙어있다. 마루로 놓인 이 누정은 김영구 가옥의 모습을 뛰어나게 만든다. 누정은 밑을 잘 다듬은 돌로 주추를 하고 그 위에 정자를 올렸다. 정자는 삼면이 모두 들창으로 되어있으며, ㅡ 자로 되어있는 사랑채에서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다.


그 누구도 집안의 허락을 받지 않고는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도록 구조가 되어있다. 대문을 열어놓아도 안을 들여다보기가 힘든 것도 이집의 특징이다. 대문 안은 바로 서쪽날개채의 벽이기 때문이다. 대문을 열어도 외부에서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날개채의 벽이 바람을 막는 방풍의 역할도 하고 있다. 둘러볼수록 빠져드는 집이다.

김영구 가옥의 또 하나 특징은 바로 작은 사랑채다. 사랑채와 동편 날개채가 붙은 일각문 옆으로 사랑채와 같이 ㅡ 자로 붙어있는 작은 사랑채. 이곳도 방과 마루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작은 사랑채도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사람들을 접대하기도 하고, 이곳에서 손들이 묵기도 했다고 한다. 그런 점으로 보아 이집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작은 사랑채도 일각문을 열어야 안으로 출입을 할 수가 있어, 결국 이집은 밖에서 외부인들이 안으로 들어가기는 쉽지가 않다.



행랑채 앞에 솟을대문이 있었다고 하는 여주 김영구 가옥. 그 안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또 안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 밖에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이제 열린 대문 안을 들여다보면 그 집 하나하나에 참으로 대단한 정성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티스토리 초대장을 드립니다
조건 없습니다
열심히 블을 하실 분만 신청하세요
선착순입니다

필요하신분은 이메일 주소 남겨 주세요

농진청, 외국인 대상 한식의 관능적 기호도 조사결과 발표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식맛은 무엇일까?’ 외국 소비자를 상대로 현지에서 직접 한식을 조리해 맛보인 결과, 달콤 짭짤한 맛의 불고기, 약간 새콤한 맛의 초간장 생채양념, 고추장이나 건고추가 들어간 매운맛의 닭볶음탕 등 외국인 입맛을 사로잡는 맛을 찾아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이화여대, 서울여대, 경희대와 공동으로 한식 세계화를 위해 지난 2009∼2011년까지 3년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현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에 대한 관능적 기호도’ 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발표했다.


<외국인 한식 관능 기호도 조사개요>

연 도

조사대상 국가

조사대상 품목

2009

미국

불고기 양념 4종, 생채 양념 4종, 음료 5종

2010

프랑스, 일본, 중국, 한국

나물류 5종, 약과류 6종

2011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한국

닭볶음탕 4종, 부침개 6종, 쇠고기무국 6종


이번 조사는 여러 가지 한식 품목 가운데 선호하는 것을 고르는 기존의 조사와는 달리 다양한 레시피의 조합을 통해 외국인의 입맛에 맞는 맞춤형 조리법을 찾아내기 위해 진행됐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 한식도 양념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음식, 나물의 익힌 정도에 따라 질감이 차이가 나는 음식, 닭볶음탕이나 부침개처럼 복합적 맛을 지닌 음식 등으로 선정됐다.


위는 불고기 시료준비, 아래는 생채류시료준비


조사결과를 보면 미국 소비자는 불고기 기본 양념에 설탕과 간장을 30%씩 더한 달콤하면서 짭짤한 맛의 불고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채(샐러드) 양념은 식초와 간장을 섞은 약간 새콤한 초간장 맛을 가장 선호했다.

비빔밥 나물은 익힌 정도에 따라 좋아하는 질감을 비교한 결과, 프랑스·일본·중국·한국 소비자 모두 숙주는 충분히 데친 것, 당근과 호박은 오래 볶지 않은 것을 선호했다. 다만 시금치는 일본·한국 소비자는 살짝 데친 것을 선호한 반면 프랑스·중국 소비자는 충분히 데친 것을 좋아했다.

닭볶음탕은 간장양념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고추장과 건고추를 넣어 매운맛을 다르게 냈다. 미국·프랑스·중국·한국 소비자는 간장양념에 고추장이나 건고추를 더한 매운맛을 좋아했다. 반면 일본 소비자는 매운맛보다 간장양념을 선호했다.

부침개는 반죽에 쓰이는 밀가루·감자전분·메밀가루 등 전분 배합비를 다르게 한 결과, 미국·프랑스·일본·한국 소비자는 밀가루 100%로 반죽한 부침개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중국 소비자는 밀가루와 감자전분이 각각 50%씩 들어간 부침개를 좋아했다.

우리 간장을 세계화하고자 간장의 종류에 따른 쇠고기무국을 평가한 결과, 시각적인 요소도 기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일본·한국 소비자는 진간장보다 국간장을 넣은 국을 선호한 반면, 미국·프랑스 소비자는 국물 색이 진한 진간장을 넣은 것을 좋아했다.

관능검사


한편, 이번 조사내용 가운데 불고기 양념에 따른 맛 선호도 연구결과는 식품분야 세계적 학술지인「저널 오브 푸드 사이언스 (Journal of Food Science)」76권 5호(2011)에 ‘불고기의 비교문화적 소비자 수용가능성’이란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농촌진흥청 전통한식과 이진영 연구사는 “이번 조사가 일부 도시에서 진행돼 조사대상 국가의 소비자 입맛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관능검사 방법론과 통계적 타당성에서 적합하고,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수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는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보도자료 정리)

 ○ 연구대상 선정
- 조사국가 :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한국
- 조사품목 : 닭볶음탕 4종, 부침개 6종, 쇠고기무국 6종

품목

시 료

닭볶음탕

(4종)

(매운맛의 정도)

①간장base ②간장+건고추 ③간장+고추장

④간장+고추장+건고추

부침개

(6종)

(반죽과 토핑)

반죽의 차 : ①밀100% ②감자100%

③감자50%+밀50% ④메밀100%

⑤메밀50%+밀50%+토핑(실파와 새우)

토핑의 차 : ⑥밀가루100%+현지화 재료

*현지 식재료 : 미국(옥수수, 브로콜리), 일본(양배추, 우엉)

프랑스(양송이, 아스파라거스), 중국(청경채, 표고버섯)

쇠고기무국

(6종)

(간장의 종류)

①기꼬만진간장 ②샘표진간장 ③샘표조선간장

④청정원국간장 ⑤한살림조선간장 ⑥한주조금(대조군)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