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강씨성을 가진 분들이다. 한 분은 이미 세상을 떠난 예인이요, 또 한 사람은 현재 대단한 인기를 눌고 있는 연예인이다. 한 분은 제자들이 주는 용채까지 꼼꼼히 기록한 분이시고, 한 사람은 탈세의 용의자가 된 사람이다. 왜 강호동씨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돌아가신 강도근 명창의 생각이 나는 것일까?

강도근 명창. 남원이 마지막 판소리 보루라고 인정을 받게 만든 장본인이다 이 시대에 수많은 기교를 부리는 많은 창자들이 있었다면, 강도근 명창은 그저 우직하게 판소리 본바탕을 그대로 이어 온 명창이다. 강도근은 농사꾼 아버지인 강원중과 어머니 이판녀 사이에서 9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1918년 지금의 남원시 향교동에서 태어났다.

국악의 성지 이층 전시실에는 강도근 명창의 관련자료들이 전시가 되어 있다.


강도근의 호적명은 강맹근이다. 그의 집안에는 음악가들이 많았는데, 대금산조의 무형문화재 강백천(1898∼1982)이 그의 사촌형이고, 판소리와 창극으로 이름을 날렸던 강산홍과 가야금의 명인 강정열은 당질이며, 가야금산조로 남원과 진주에서 활동했던 강순영 또한 그와 사촌간이다.

만들어지는 소리를 거부한 강도근 명창

강도근 명창은 동편제 판소리 <흥보가>의 전통을 가장 충실하게 지킨 판소리 소리꾼이라고 한다. 그는 항상 ‘자작은 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했다. 그 말은 전통기법을 그대로 지켜간다는 이야기이다. 소리꾼들은 조금 소리를 익히면 나름대로의 목을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강도근 명창은 통성 위주의 목으로, 소리 끝을 짧게 끊어내는 대마디대장단을 충실하게 구사했다.



강도근 명창의 주변에는 늘 많은 전통예술인들이 있어, 명창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강도근 명창의 소리는 전형적인 동편제 판소리라는 평가를 받았다. 강도근 명창의 목소리는 철성이다. 철성이란 쇳소리와 같이 조금은 탁한 듯한 소리로 웅장하고 남성적인 호탕함이 있다. 송만갑, 김정문으로 이어진 동편제 판소리의 특징적인 목이다.

현대 판소리 명창 중에서는 유일하게 강도근 명창만이 철성을 가졌다고 한다. 강도근 명창은 판소리가 쇠퇴기에 잡어 든 1970~80년대에 남원국악원의 창악 강사로, 후진들을 양성했다. 강도근 명창은 동편제 판소리를 지켜냈을 뿐만 아니라, 남원이 우리나라 판소리의 최후 보루라는 평가를 받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강도근 명창이 살아생전 정리한 수강료 납부장. 제자들이 주고 간 용채까지 일일이 기록을 해두었다.
아래편 출석부는 날마다 수기로 출석자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적고 있다.


꼼꼼하게 수기로 적은 출석부, 눈물이 나다

남원시 운봉을 가면 ‘가왕’이란 칭호로 한 세대를 풍미한 명창 송흥록의 생가가 있다. 그리고 그 조금 아래에는 여류명창 박초월의 생가도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 커다란 건물이 바로 ‘남원 국악의 성지’이다. 이 건물 안에는 전시관과 함께 남원시립국악단의 연습실 등이 자리하고 있다.

1층에는 사무실과 민속국악실 1관과, 판소리 전수관이 있고, 2층에는 민속국악실 2관과 공연장 등이 자리한다. 이 2층 전시실 한편으로는 남원국악원에서 창악강사로 후배들을 가르치던 강도근 명창의 일대기를 볼 수 있는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그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바로 강도근 명창이 직접 수기로 쓴, 수강료 납부 장부와 출석부가 전시되어 있다. 수강료 장부에는 제자들이 강도근 명창을 찾아 용채를 쓰시라고 주고 간 돈까지 세세하게 기록을 하고 있다. '생각해서 준 돈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출석부에는 그날그날 출석을 한 사람들의 이름을 빼곡하게 적어 놓았다.

이러한 것을 보면서 강도근 명창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온전히 판소리를 제대로 부르다가 가신 명창 한 분. 이 분이야말로 세상에 흐트러짐이 없이 살다간 진정한 예인(藝人)이 아닐까? 정말 좋아하는 연예인이었다. 그리고 우직하게 자신만의 길을 걸어 온 그를 화면을 통해서 만나는 것을 무엇보다 즐겨했다. 무슨 이유가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언제가는 진위가 밝혀지겠지만. 그런데 그런 소문이 났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마음이 이프다. 그런데 왜 명창의 그 수강료 납부장이 생각이 난 것일까?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 말사인 남원 선원사에서는, 경내에 있던 구 연꽃유치원 건물을 ‘선원문화관’으로 지난 7월 9일 개관식을 가진 후, 대나무 솟대전을 연바 있습니다. 선원문화관은 7월 25일자로 전라북도에서 사단법인으로 승인을 받은 후, 이번에는 새로운 기획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8월 6일 오후 2시에 개막전을 하는 <김원주의 도자전 - 찻그릇과 항아리>전은 그동안 여주 등에서 꾸준히 장작가마에서 찻그릇을 구워낸, 작가의 혼이 들어있는 작품전입니다.


‘김원주의 도예소’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김원주씨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달항아리 등 다양한 도자들이 선을 보일 것으로 보여 기대를 하게 만듭니다. 선원문화관에서는 매번 전시회를 여는 ‘작가와의 만남’이란 제목으로 전시된 작품들을 배우는 시간을 갖고 있는데, 이번 만남은 8월 8일 오전 10시부터 <털보아저씨와 하는 흙장난>이란 제목으로 유치원생 80여명과 선생님들 등 100여명이 흙을 갖고 만들기를 배우게 됩니다.

선원문화관 이사장인 운천스님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작가들을 섭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만큼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문화적 향수를 선원문화관에서 충족시키기를 바라고 있다. 이번 김원주 작가의 도예전은 지난번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인근에 계신 블로거님들은 이번 개막 오프닝 때 찾아오시면 좋은 만남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멀리까지 달려와 전시를 준비해 주시는 김원주님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앞으로 저희 사단법인 선원문화관이 더 한층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출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날이 무지 덥습니다. 모두 건강들 하세요.

일시 : 2011년 8월 6일(토) ~ 15일(화)
개막 : 2011년 8월 6일 오후 2시
작가와의 만남 : ‘털보아저씨와 함께하는 흙장난’ (8월 8일 10:00 ~ 12:30)


(사진) 위 사진은 김원주님의 블로그에 소개한 사진입니다. 맨 위는 '다기' 가운데는 찻그릇을 진열 한 모습. 맨 아래는 가마에 불을 때기 위해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20대 젊은이들. 그들은 ‘열정대학’이라는 곳에서 1박 2일간 남원으로 무전여행을 왔다고 한다. 20대의 소중한 시간을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자신 안에 내재한 것을 깨우치기 위해 길을 나섰다는 것이다. 여학생 3명과 남학생 2명이 한 조가 되어, 1박 2일 동안 차비만 달랑 받아들고 남원으로 길을 나섰단다.

지난 토요일(16일) 남원에 있는 103연대 장병들에게 짜장면을 만들어주고 선원사로 돌아왔더니, 문화관 안에 젊은 학생들이 보인다. 그저 관람을 온 학생인가 보다고 생각을 했는데, 무전여행을 온 학생들이라는 것이다. 요즈음에 무슨 무전여행이냐고 물었더니, 20대에 자기개발을 하기 위해 길을 나섰다는 것이다.

1박 2일동안 고찰에 젊은 웃음을 남기고 간 열정대학의 학생들

이 젊은이들에게 과연 열정은 무엇일까?

다섯 명의 젊은이는 학교도 학과도 다르다. 그러나 자격증으로 전락해 버린 기존 대학들의 모습과 달리, 대안 대학으로 20대에 꼭 해야 할 것들을 일들을 하는 학습 커뮤니티인 ‘열정대학’의 학생들이다.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것을 찾아 무전여행을 떠났다는 것이다.

밥은 먹었느냐는 질문에 점심도 못 먹었다고 한다. 말이 ‘무전여행’이지만 이 무더위에 과연 밥도 제 때 먹지 못하면서 버틸 수가 있을까? 우선 공양간에 부탁을 해 라면을 끓여달라고 했다. 절집에 공짜는 없다. 그만큼 ‘울력’이라는 노동을 해야만 한다.

때 늦은 점심으로 라면을 먹는 젊은이들. 한 사람은 사진을 찍고 있겠지.

면을 먹고 나온 학생들이 잘 먹었다고 인사를 한다. 아마도 라면 한 그릇으로 배가 차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더 이상은 없다. 밭에서 풀을 뽑는 댓가로 저녁에 삽겹살을 사주겠다는 약속을 한다. 젊은이들의 생각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또한 나의 20대 때와 무엇이 다른가도 궁금하다.

지난날의 나와는 또 다른 젊음을 보다

마침 가까운 곳에 막걸리집이 있어 그 집으로 발길을 돌렸다. 그리고 안주를 시켜 놓고 막걸리 몇 순배가 돌았다. 젊은이들답게 막걸리를 마시는 모습들도 아름답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주고받으면서 담소를 하기를 두어 시간.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 때와는 또 다른 젊음을 본다.

막걸리를 마시며 젊음을 논하다. 먹기 바쁜 녀석, 그러다가 체할라

사를 밝히는 젊은 친구들. 그리고 자신을 스스로 개발하기 위해 어려운 일을 마다않고 선택했다는 젊음. 그 용기 하나만으로도, 이미 이 젊은이들이 앞으로 다 많은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는 것은 아닐까?

다음 날 아침 6시를 조금 넘겨 잠자리를 제공한 곳으로 가보니, 한 명도 보이지 않는다. 이미 다 밭으로 나가 풀을 뽑고 있다. 벌레가 싫다고 하면서도 풀을 뽑는 친구가 있는가 하면, 모기한테 물렸다고 엄살을 피우기도 한다.





끝임없이 샘솟는 젊음. 그것이 부럽다

아침을 먹고도 일은 계속됐다. 양파를 까고 스님짜장에 사용할 춘장을 볶고. 그러면서도 당당히 밥값을 하겠다고 이야기를 하는 모습들이 아름답다. 1박 2일 동안 절집에 머물러 있으면서, 어려운 일은 아니었지만 웃음으로 일을 마치고 떠난 ‘열정대학’의 젊은 친구들. 자주 찾아오겠다는 말이 반갑기만 하다. 60대 블로거의 어쭙잖은 불안감이 기우였던가?

그들은 젊은이들답게 무엇 하나를 해도 당당하다. 그리고 작은 일에도, 말 한 마디에도 웃음이 그치지를 않는다. 생각보다 더 밝은 모습을 보여준 20대의 열정. 아마도 그들에게서 좀 더 적극적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배운 것이나 아니었는지. 고찰을 찾아 모처럼 젊은 웃음을 남기고 간 그들에게 참다운 ‘열정’이 지속되기를 바란다.

(후기)
열정대학의 김재석, 박수진, 신지현, 양혜지, 유태수 늘 젊음이 보이지 않아 조금은 답답하던 고찰에 젊은 웃음을 많이 남기고 가 주어 고맙다.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가작리. 마을 앞으로 흐르는 오수천을 바라보며 한 소리꾼이 춘향가 한 대목을 불러 젖히고 있다.

자시에 생천(生天)하니 불언행사시(不言行四時) 유유창창(悠悠蒼蒼) 하늘 천(天)
축시에 생지(生地)하여 금목수화를 맡었으니 양생만물(養生萬物) 따 지(地)
유현미묘(幽玄微妙) 흑적색(黑赤色) 북방현무(北方玄武) 검을 현(玄)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 동서남북 중앙토색 누루 황(黃)
천지사방이 몇 만리 하루광활(廈樓廣闊) 집 우(宇)
연대국조(年代國祖) 흥망성쇠 왕고래금(往古來今) 집 주(宙)
우치홍수(禹治洪水) 기자추연(箕子推衍) 홍범구주(洪範九疇) 넓을 홍(洪)
제제군생(濟濟群生) 수역중(壽域中)에 화급팔황 (化及八荒) 거칠 황(荒)

(생략)
조강지처(糟糠之妻)는 박대(薄待) 못하느니 대전통편(大典通編)의 법중율(法重律) 춘향과 나와 단 둘이 앉어 법중 여(呂)자로 놀아보자. 이리 한참 읽어가더니마는,
"보고지고 보고지고 우리 춘향 보고지고 추천하든 그 맵시를 어서어서 보고지고."


조선 후기에 8명창 중 한 사람인 김세종(1835 ~ 1906)은 순창군 동계면 가작리 마을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소리꾼의 내력이 있었다고 전하며, 김세종은 송우룡 등과 함께 고창의 신재효에게 판소리의 이론을 익혀, 신재효의 소리를 가장 충실하게 표현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세종의 이론은 소리꾼의 지침

김세종이 언제부터 소리를 했는지는 정확하게 전해지지지 않는다. 다만 정노식의 『조선창극사』를 통해서 본 김세종의 판소리에 대한 이론은, 오늘날까지 소리의 정형처럼 전해지고 있다. 그 이론을 보면


가작마을 안내비와 마을 안길(아래) 우측으로 김세종 명창의 생가 터를 알리는 안내판이 서 있다

첫째, 판소리 발림을 극적인 내용과 같게 해야 하며, 얼굴 표정과 몸의 모든 동작이 극적인 내용 및 절주가 같아야 한다.
둘째, 음악은 사설의 극적인 내용과 융합되어야 한다.
셋째, 장면이 긴박하지 않은 곳에서는 느린 장단을 쓰고, 긴박한 장면에는 빠른 장단으로 몰아야 한다.
넷째, 슬픈 장면에는 계면조를 쓰고 웅장한 장면에는 우조로 소리를 해, 조와 장단이 판소리 사설의 극적인 내용과 어울러야 하며 가사의 뜻에 따라 선율 또한 일치되어야 한다.
다섯째, 가사는 짧게 붙이고, 소리는 길게 부르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이치에 맞아야 한다. 등이다.

김세종의 자취를 찾아 가작리를 가다

흥선대원군조차 그 소리에 반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고 하는 김세종 명창. 그 자취를 찾아 순창군 동계면 가작리를 찾았다. 면 소재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마을이지만 찾기는 수월치가 않았다. 마을 앞으로는 내가 흐르고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으로 매실나무들이 빼곡 차 있다. 그 한편에 ‘김세종 명창 생가 터’라는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마침 밭에서 일을 하고 나오는 마을 분들을 만났다.

“김세종 명창 생가 터가 이 안내판이 서 있는 곳인가요?”
“아닙니다. 그걸 왜 거기 세워 놓았나 모르겠네요. 저 안에 보이는 저 집이 명창이 살던 집 터라고 하는데”
“저기 길가에 집 말인가요?”
“예, 거기가면 마을 공동 우물이 있고 그 앞 집이예요. 며칠 전에도 버스로 사람들이 한 차가 와서 둘러보고 갔는데, 그 양반이 대단한 사람이었나 보네요.”

마을에서조차 이젠 기억에 남아있지 않은 명창의 일생이다. 마음 한 편이 허전해진다. 소릿광대 쯤으로 여김을 받던 세월을, 그렇게 노력을 하면서 살아왔던 명창의 대우가 씁쓰레해서이다. 괜히 생가 터 안내판만 보고 아무것도 없다는 것에 돌아설 뻔 했다. 마을 안으로 조금 들어가니 우측으로 공동 우물이 보인다.


그 앞에 앞마당이 너른 집이 있다. 바로 김세종 명창이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집터라고 한다. 지금의 집이 당시의 집은 아니다. 그러나 그 주변을 돌아보니 명창이 나옴직도 하단 생각을 하게 만든다. 집 앞으로는 산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잠시 그길로 걸음을 옮겨본다. 조금 나아가니 잡풀이 우거져 더 이상 갈 수가 없다. 아마도 명창은 이 길을 따라 산으로 오르며 소리를 하지는 않았을까?

장자백, 이동백, 유성준, 이선유 등 당대를 울린 명창들을 제자로 둔 김세종 명창. 대문 앞에 놓인 풍구에서 옛 흔적을 찾아본다. 괜히 부질없음을 알고 멋쩍은 웃음을 남기며 뒤로 돌아선다. 어디선가 천자뒤풀이 한 대목이 들리는 듯하다.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는 여주에서도 외진 곳이다. 바로 옆에는 고달사지가 있어 주변 관광지로는 최고이긴 하지만, 이곳은 그런 호사를 누리고 살지를 못한다. 그 상교라에서도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지우재' 이곳의 주인은 이제 중반에 들어선 부부화가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도자기에 더 심취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이 두 사람을 보고 있노라면 '참 아름답다' 라는 생각이 든다. 모습도 그렇거니와 그 사는 모습이 정말로 아름답다. 세상은 열심히 사는 사람이 가장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조금은 물질적으로 부족하다고 해도,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모습들을 보면서 늘 부끄럽기도 하다.


비에젖은 꽃들이 아름다운 집
 
이 집의 전시실 앞에 홍매화 한 그루가 서 있다. 비를 맞아 잎이 떨어질까 염려를 했는데, 오히려 더 깨끗해진 모습으로 아침에 사람을 반긴다. 그래서 더욱 아름답다. 이 집에는 화단이 좋다. 금낭화며 보라색 꽃을 피우는 무스카리 등, 그리고 한 철 내내 야생화가 피어있기 때문이다.

 

비에 젖은 홍매화 한 그루가 유난히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있다.

이 집 주변을 돌아보면 먹을 것 천지다. 그냥 먹을 것이 아니라 자연에서 채취를 할 수 있는 먹거리이다. 도자기 그릇에 담긴 자연에서 채위한 먹거리. 이보다 더한 호사가 있을까 싶다. 그런 자연의 먹거리를 채취해 상을 차릴 줄 아는 안주인의 마음도 아름답다는 생각이다.

 

전시실 앞에 아름답게 보라색 꽃은 이 집에서 볼 수 있는 많은 꽃들 중 하나이다.

고택에 마련한 전시실. 땀이 배어있어

꽃 구경에 넋을 잃다가 잔시실 안으로 들어가면 바깥주인이 만든 각종 도자기와 안주인이 그린 그림들이 벽면을 채우고 있다. 이 집에 들릴 때마다 들어가보는 전시실이다. '지우재'란 이름은 바로 이 전시실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전시실에서는 땀 냄새가 난다. 그래서 더욱 좋다.

 

 

 

 

전시실인 지우재를 채우고 있는 각종 도자기들과 벽에 걸린 그림. 부부의 살아가는 모습이다.

사람이 살아간다는 것이 돈으로 가치를 따질 수가 없는 것이 바로 지우재의 주인들이다. 조금은 힘이 들 수도, 조금은 짜증이 날 수도 있지만, 그런 것을 자연 속에 묻어버리고 사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이곳을 들릴 때면 일부러 하루를 묵고 가기도 한다. 

아름답게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 그 곳엔 늘 우리가 미쳐 바라보지 못한 무엇인가가 있는 듯하다. 아마도 그것은 자연의 닮은 마음이려니 생각이 든다. 그 자연을 닮은 부부의 모습에서 그들이 바로 자연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