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행궁은 마치 미로처럼 연결이 되어있다. 문이 여기저기 수도 없이 많이 있어, 문 하나를 잘못 들면 이상한 곳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처음 화성 행궁을 찾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를 하는 말이다. “다 비슷비슷해서 특별한 곳이 없다”는 말이다. 물론 건축의 기법이 비슷하니 다 같게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행궁의 건물 하나하나는 그 용도가 다 다르다.

화성행궁은 처음부터 별도의 독립된 건물로 일시에 축조된 것이 아니다. 행궁과 수원부 신읍치의 관아건물을 확장, 증측한 것이다. 정조 13년 7월부터 현륭원 천봉을 앞두고 대대적인 구읍치의 관아와 민가의 철거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화성행궁은 팔달산 기슭 아래로 신읍치를 이치하기 시작한 지 2개월 뒤인 정조 13년 9월 말에는, 벌써 신읍에 조성된 관아 건물은 424칸이나 되었다.


화성 행궁 안에 자리한 서리청(위)과 비장청(아래)


행궁을 비롯한 전각이 500칸을 넘어

당시에 행궁 27칸을 비롯하여, 삼문 5칸, 좌변익랑 9칸, 우변익랑 6칸, 서변행각 5칸, 서상고 10칸, 중문 5칸, 내아 34칸, 중문 4처, 객사 20칸, 중문 2처, 향교 51칸, 중문 1처, 군수고 19.5칸, 공수 7칸, 관청 5칸, 창사 60칸, 각처 담장 278칸 등에 이르렀다. 그 뒤 공사는 계속되어 정조 20년에는 화성행궁이 모두 576칸의 규모를 갖게 된 것이다.

정조는 왕위를 양위하고 난 후 이곳에서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여생을 보내려고 하였다. 또한 이곳을 자신이 추구하던 강력한 왕권의 구심점으로 삼으려고 했을 것이다. 화성 행궁 곳곳에는 그러한 정조의 구상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아마도 서리청이나 비장청도 그 중 한 곳이었을 것이다.

 

서리청(위)과 비장청(아래)의 현판


수라간으로도 사용한 서리청


서리는 문서의 기록 및 수령, 발급을 담당하는 아전을 말한다. 서리청은 바로 그 아전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비장청 앞에 위치했으며 남향이다. 예전의 ‘금도청(禁盜廳)’ 건물을 이청으로 쓰게 하고, 그 건물을 증축하여 사용하였으며 1795년 을묘원행시에는 수라간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2007년 복원하였다.

서리청은 남군영에서 문을 통해 들어갈 수가 있다. 하지만 서리청의 본 문은 5칸의 전각과 마주하고 있는 솟을삼문에 있다. 솟을삼문은 ㄱ자 형으로 되어있으며 중간에 솟을문을 중심으로 우측에 두 칸의 방을 드리고, 한 칸의 문, 그리고 한 칸의 방과 대청을 두었다. 그리고 꺾어진 부분에는 방과 부엌, 그리고 두 개의 방이 있다. 대문채는 모두 9칸이다.


서리청(위)와 비장청(아래) 전각의 측면. 같ㅇ는 5칸이지만 비장청은 서편 한 칸을 마루를 드렸다


화성유수부의 비장들이 묵는 비장청

비장은 관찰사나 절도사 등 지방관이 데리고 다니던 막료이다. 조선 후기에는 방어사를 겸한 수령까지 모두 비장을 거느리는 것을 관례화하여, 민정 염탐을 시키기도 하였다. 비장청은 화성 유수부의 비장들이 사용하던 건물로, 서리청을 지나 외정리소 앞에 있는 남향 건물이다. 원래는 정조 13년인 1789년에 세웠는데 정조 20년인 1796년에 서리청 건물을 수리하고 비장청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서리청의 솟을대문과(위) 비장청의 솟을디문(아래). 모두 9칸 ㄱ자로 되어있다


비장청의 규모도 서리청과 흡사하다. 하지만 비장청의 다섯 칸의 건물이지만, 서편 한 칸은 마루를 놓았다. 비장은 조선 시대, 감사나 유수, 병사, 수사, 혹은 견외 사신을 따라다니며 일을 돕던 무관을 말한다. 서리청과 비장청은 각각 하나의 기관으로 독단적인 전각을 갖고 있었음도 주시할 만하다.

행궁(行宮)’이란 임금이 지방에 거동할 때 임시로 머물거나, 전란과 휴양, 혹은 능원 등에 참배를 하기 위해, 정궁을 벗어나 지방에 별도의 궁궐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하는 곳을 말한다. 행궁은 그 용도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쟁과 같은 비상시에 위급함을 피하고 국사를 계속 하기 위해 마련된 행궁으로는, 강화행궁, 의주행궁, 남한산성 내의 광주부행궁 등이 있다. 왕의 병의 치료를 위해서 다니던 온양행궁은, 휴양을 목적으로 설치된 행궁이다. 기록에 의하면 온양행궁은 조선 세종 이래 역대 왕이 즐겨 찾던 곳이다.



남군영의 건물과 신풍루에서 바라다본 남군영의 지붕(뒤편 좌측), 그리고 신풍루에서 바라다 본 북군영의 지붕(뒤편 우측. 맨 아래)


능원의 참배와 정조의 힘을 보이기 위한 곳

화성 행궁은 왕이 지방의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행궁이다. 화성 행궁은 단지 능원의 참배뿐이 아니라, 정조대왕이 양위를 하고 난 후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직접 살기 위해 지은 별궁이다. 그만큼 딴 행궁에 비해 정조의 뜻을 이루기 위해 지어진 곳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행궁과는 그 규모와 격이 달랐다고 볼 수 있다.

화성행궁이 자리하고 있는 곳은 명당 중 명당으로 꼽히고 있다. 한남정맥의 중조산인 광교산과 백운산의 계곡에서 발원한 물이 남진하여, 광교저수지에 모이게 된다. 이 물은 다시 화성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수원천으로 남진해 서해로 흘러든다.


남군영의 행각. 장용외영의 기마병들이 묵는 곳으로 방과 광(무기고, 식량창고 등), 100명의 장용외영의 기마부대가 묵었던 곳이다.


산과 물이 일체가 되어 있는, 그 기가 모이는 곳에 행궁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정조는 화성 행궁을 지으면서, 진남루라는 행궁 정문의 이름을 ‘신풍’으로 바꾸어 달게 하였다. '신풍'이란 명칭은 고사에서 인용한 것이다. 한 마디로 제2의 고향으로 화성을 마음속에 둔 것이다.

정조의 위엄은 군영에 있었다.

정조대왕이 화산으로 행차를 할 때보면, 장용외영의 군사들의 위엄을 느낄 수가 있다. 아마도 정조는 강력한 군주가 되길 원했다. 정조는 자신의 금군이었던 장용외영을 화성에 주둔시켰다는 것만 보아도, 정조가 생각한 화성이 남달랐음을 알 수 있다. 장용영은 정조의 즉위 초에 설치된 숙위소를 혁파 한 후, 정조 9년인 1785년에 설치된 금군 조직이다.


남군영의 현판과 남군영 대청에 전시가 되어있는 당시의 갑주들


정조는 호위친병 장용위(壯勇衛)를 확대, 발전시킨 군영을 조직하여, 막강한 군사조직으로 편제를 조성했다. 이 장용영은 내영과 외영으로 구성되며, 외영을 위주로 하였다. 이 장용외영이 바로 화성에 주둔하였다. 화성 행궁의 정문이었던 신풍루 좌우에는 군영이 자리하고 있다. 신풍루를 바라보고 좌, 우측에 자리한 군영은, 장용외영의 기마병이었던 친군위가 좌, 우열로 각 100명씩 입직숙위하는 건물이다.

원래 이 군영은 정조 13년인 1789년에 처음으로 지었으며, 정조 18년인 1794년에는 좌우에 익량을 증축하여 모두 62칸의 규모를 갖추었다. 정조 22년인 1798년에는 장용외영 군영의 일대 개편에 따라 좌, 우열은 파하고, 1, 2, 3번의 입번 순서를 정하여 매년 각 100명씩 양 군영에 나누어 배치하였다.



정조가 이렇게 친위부대인 장용외영의 기마부대를, 화성과 행궁을 위주로 주둔시킨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화성을 거점으로 한 강력한 군주상을 세우겠다는 뜻이었을 것이다. 그것만이 정조가 세우고자 했던 강력한 왕권을 기반으로 한,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구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무엇보다 먼저 충직하고 강력한 군권만이, 강한 군주를 만들기 있었기 때문에.

화성행궁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신풍루(新豊樓)’이다. 신풍루는 화성 행궁의 정문으로,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운 누문이다. 처음에는 6칸으로 된 문을 세우고 조심태가 편액을 써서 ‘진남루(鎭南樓)’라고 하였다. 정조는 1795년에 문의 이름을 ‘신풍루’로 고치라고 명하여, 조윤형으로 하여금 다시 편액을 쓰게 하였다.

'신풍'이란 명칭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 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게 한 것이다. 정조는 이름을 고치고 1795년 을묘 행차시에 신풍루 앞에서 친히 참석하여 화성부의 백성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고, 굶주린 백성에게는 죽을 끊여 먹이는 진휼 행사를 벌리기도 했다.



2월 13일, 신풍루에 오르다

정조 18년인 1794년 가을 행궁을 대대적으로 증축할 때는 누대 양편에 군영을 설치하고, 정조 19년인 1795년에는 누문 앞으로 길이 114척, 넓이 35척의 돌다리를 설치하여 ‘신풍교’라 이름하였다.

2월 13일(월) 화성 행궁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이나 간 곳이지만, 신풍루는 아래에서만 사진을 찍었을 뿐, 위로는 한 번도 올라가지 못했다.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출입을 금한다는 푯말 때문이다. 화성사업소에 들려 신풍루를 촬영하겠다고 허락을 받고 신풍루로 올랐다.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


신풍루는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123번지에 소재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보관중인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에는 신풍루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신풍루 위로 올라보니, 팔달문 밑으로 놓인 행궁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문밖으로는 팔달문에서 장안문으로 가는 도로와, 건너편 창룡문 쪽으로 가는 도로가 보인다.

아마도 이 행궁을 짓고 난 정조 당시에도 이곳 신풍루 앞은 이렇게 길이 나 있었을 것이다. 뒤로는 팔달산을 끼고, 앞으로는 넓은 도로를 볼 수 있는 곳, 이 신풍루의 누각에 올라 정조는 마음속에 담은 큰 뜻을 펼치려고 했을 것이다.




장초석으로 바친 기둥, 장엄함의 상징

6칸 규모의 중층 누각으로 지어진 신풍루는 위로는 누마루를 놓고, 아래는 3개의 얼문을 설치하였다. 정조는 나중에 왕위를 물려주고 이곳에 내려와 살 생각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그 행궁의 정문 또한 남다른 신경을 써서 축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어른 키만한 장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려 이층 누각을 받치게 하였다. 안쪽으로는 바깥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장초석을 사용하여 웅장함을 더했다. 삼문은 판문으로 해서 달았으며, 문의 좌우에도 판벽을 둘렀다. 이층 누각으로 올라가는 누각은 가파르다. 그만큼 누각을 높였다는 것이다. 누마루를 깐 이층에는 사방을 둘러 난간을 달아냈다.


이층 누각으로 오르면 좌우로는 남군영과 북군영의 지붕들이 보이고, 팔달산 쪽으로는 시원하게 공간을 내어 정전의 바깥 출입문인 좌익문을 만나게 하였다. 화성 행궁은 미로처럼 이어져 있다. 그 행궁의 문인 신풍루. 아마도 이 신풍루의 이름을 직접 지은 정조는, 이 누각 위에서 강한 군주가 통치하는 나라를 그렸을 것이다.

옛 임금들의 능원이나 제를 지내는 전각 옆에는 우물이 있기 마련이다. 이 우물은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가 없다. ‘어정(御井)’ 혹은 ‘제정(祭井)’이라고 부르는 이 우물은, 임금의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물을 긷는 곳이다.

사적 제115호인 정조 임금의 어진을 모신 화령전에는, 운한각을 바라보고 좌측 담 너머로 우물이 자리한다. 이 우물은 일반적인 어정이 둥근 형태로 조성을 한데 비해,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려 우물을 조성하였다. 아마도 이 우물은 화령전을 축조할 당시인 1801년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복원이 된 제정과 전사청

2011년 12월 10일 찾아간 화성 행궁. 날이 쌀쌀하긴 해도, 빠른 시간 안에 많은 곳을 돌아보자니 등줄기에 땀이 밴다. 언제나 그렇듯 답사는 늘 발길이 바쁘다. 그저 남들은 사진 하나 찍으려고 있는 대로 폼을 잡고는 하지만, 나 하고는 거리가 멀다.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으려면, 남들보다 더 많이 돌아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원래 제정의 옆에는 전사청을 비롯하여 제기고와 향대청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2005년도에 복원이 된 제정과 전사청만이 있다. 전사청이란 제사를 관리하는 관청을 말하는 것으로, 이곳에서는 젯상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고는 했다. 제기고는 제사에 사용하는 그릇 등을 보관하는 전각으로, 외삼문과 내삼문 사이에 있었다고 한다. 향대청은 전사청 부근에 있었으며, 제사에 사용하는 향과 초 등을 보관하던 곳이다.



조선조 순조 1년인 1801년에 축조된 화령전은, 순조가 아버지인 조선 제22대 임금이었던 정조(재위 1776∼1800)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해마다 제사지내던 건물이다. 23대 임금인 순조는 이곳에서 노인들을 모아놓고 잔치를 베풀기도 하였으며, 직접 정조가 태어난 탄신일과 돌아가신 납향일에 제향을 지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납일(臘日)’이란 동지로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을 말한다,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그 날이 달랐으나,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 이후 세 번째 미일(=양의 날)로 정한 것이다. 이 날은 궁에서는 종묘사직에 제사를 올렸고, 민간에서도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이를 '납향(臘享)'이라고 했다.



납향일은 그 해의 끝에 해당하므로, 일 년을 정리하면서 조상들에게 감사를 드리는 마음으로 제를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순조도 이 납향일에 이곳 화령전에 와서 아버지인 정조에게 제를 지냈으며, 제정의 물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이 제사는 정조의 어진이 화령전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었다고 한다.

우물 하나에도 정성이 깃들어

화령전에서 제를 지낼 때 물을 떠 사용을 하던 제정은, 정방향의 형태로 각 방향에 14개씩 도합 56개의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렸다. 높이는 5.5m이고 바닥에서 물이고인 높이는 약 4m 정도이다. 우물의 밖으로 뻗어 나온 돌은 서로 반을 갈라내어 엇물려 놓았다. 장대석을 쌓아올려 우물을 만들었다는 것도 색다르다.



현재 복원이 된 화령전 안의 제정은 밑에 복원된 전사청 앞으로 물이 흐르도록 되어있다. 전사청은 ㄱ 자형으로 지었는데, 동편 끝이 한 칸 돌출이 되도록 하여 마루를 깔았다. 모두 8칸으로 지어진 전사청은 동편에 방과 툇마루를 놓고, 4칸 째에 문을 두었다. 이 문을 통하여 운한각으로 음식 등을 날랐을 것이다.

좌측 4칸은 한 칸의 광과 세 칸의 방으로 되어있다. 전사청 앞에 굴뚝을 보아 이곳은 온돌방을 꾸몄을 것이다. 납향일이면 추운 동지 때를 지나서이기 때문에, 온돌방이 아니라면 전각 안이라고 해도 추위 때문에 제를 준비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향대청과 제기고가 복원이 되는 날, 사라져버린 역사의 한 조각이 맞춰질 것만 같다. 2011년 12월 10일에 찾아간 행궁 곁 화령전은, 그렇게 하나하나 역사를 되살리고 있었다.

화성행궁은 정조의 효심이 담긴 궁이다. 행궁의 문인 신풍루를 들어가면 좌우로 군영이 있고, 우측 군영을 들어가는 협문 앞에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다. 속을 다 비워버린 수령 600년의 이 느티나무는, 행궁을 세우기 이전부터 있었다고 한다. 높이 30m에 둘레가 6m나 되는 거목이다.

이 나무는 화성 성역 이전부터 서 있던 나무로, 수원을 지키는 신령한 나무라고 한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영목(靈木)’ 또는 ‘규목(槻木)’ 혹은 ‘신목(神木)’이라고 부르며, 이 나무를 해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나뭇가지라도 하나 건드리면 벌을 받는다는 것이다.


화성 행궁 안에 자리한 정자인 미로한정과 수령 600년인 지난 느티나무인 영목(아래)

사람들의 염원을 가득 달고 있는 느티나무

사람들은 항상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고 한다. 이 느티나무는 이미 수령이 600년 이상이 되었지만, 큰 가지는 고사에서 또 다시 가지를 쳐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1982년 경기도 보호수로 지정이 된 이 느티나무는, 화재로 인해 훼손이 되었다. 수원시에서는 2003년 5월에 대대적인 나무살리기로 수술을 감행해,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정월에 행궁을 들린 수많은 사람들은 이 나무에 소원지를 걸어놓는다. 누구는 가족의 건강을, 또 누구는 사업의 번창을, 그리고 어떤 이들은 합격을 빌기도 했다. 결혼을 갈망하는 사람들도 있고. 부를 축적하기를 바라기도 한다. 나무에 손을 대고 간절히 빌면, 그 모든 것이 다 이루어진다는 나무이다. 아마 이산 정조도 이 나무에다 손을 대고 강력한 왕권을 이루기를 빌지는 않았을까?

늙어서 쉴만한 정자, 미로한정

미로한정(未老閒亭), 행궁의 뒤편 팔달산에 자리하고 있는 작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육면정(六面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작은 정자가 육각형으로 생겼기 때문이다. ‘미로한정’이란 뜻은 나중에 늙어 한적하게 쉴만한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정조 14년인 1790년에 단 칸으로 지은 정자이다.



미로한정은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 뒤편에 나 있는 득한문을 통해서 접근을 할 수가 있다. 득한문을 나서 팔달산으로 조금 오르면, 우측에는 초병들이 지키고 있는 내포사가 있고, 그보다 약간 높은 곳 남쪽방향에 자리한다. 단 한 칸으로 된 정자는 그렇게 홀로 한가롭게 서 있다. 이 정자를 돌아보면, 정조 이산이 화성행궁에 얼마나 많은 애착을 갖고 있었는가를 알 수가 있다.

노후를 생각한 정조의 뜻이 담긴 정자

미로한정의 뒤편으로는 팔달산으로 오를 수 있는 작은 협문이 담장에 나 있다. 그 위로 비탈이 진 길을 오르면, 바로 서장대로 오를 수가 있다. 그런 자리에 미로한정을 지은 정자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아마도 정자의 이름을 보아도 알 수 있듯, 정조는 노후에 이곳에 자리를 잡고 싶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궁에 있는 정자들은 화려하다. 그러나 이 미로한정은 앞쪽을 댓돌을 놓아 트고, 남은 부분은 모두 난간을 둘렀다. 난간도 화려하지가 않다. 마루를 깐 한 칸의 작은 정자. 그 협소한 모습에서 정조 이산의 마음을 읽어내려 힘쓴다. 아마도 시종도 거느리지 않고 이곳에 올라, 홀로 상념에라도 잠기고 싶었을 것이다. 자신이 이루어야할 강한 왕권에 대한 깊은 마음을 이곳에서 정리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미로한정은 그런 정조가 자신만의 공간으로 마련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작지만 훤히 트인 앞을 내다볼 수가 있고, 팔달산의 기운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곳. 복원 된 미로한정에 사용 된 옛 주춧돌이, 더욱 마음을 아프게 만든다. 끝내 이루지 못한 정조의 깊은 뜻 때문인지. 1월 29일 찾은 미로한정. 주변으로는 찬 바람을 맞으며, 철모르는 풀들이 벌써 땅을 밀고 올라오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