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은 우리 민족에게는 참 큰 명절입니다. 설날과 추석, 동지와 함께 4대 명절로 정하기도 하죠. 그런 대보름에 기억나는 아름다운 행사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생각하면 참 안타까운 이런 행사를 다시 볼 수 없다는 것에, 늘 마음이 허전하기도 합니다. 한 지역의 문화는 사실 그 지역의 지자체장에 의해서 살기도 하고 죽기도 합니다. 지자체장이 문화적인 마인드가 있으면 그 지역의 문화는 아름답게 꽃을 피울 수가 있지만, 지자체의 장이 문화를 잘 모른다거나 편협 된 사고를 갖고 있다면 그 지역의 문화는 그저 멍멍하니 끝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아름다운 남한강 대보름 한 마당

 

벌써 한 3년이나 지났나봅니다. 4대강 정비인가 무엇인가를 한다고 아름다운 남한강을 공룡과 같은 중장비들이 한창 파헤치고 있을 때, 남한강 둔치에서는 대보름 한마당이 열렸습니다. 민예총 여주지부에서 준비를 한 대보름 한마당. 사람들은 그때까지 대보름의 많은 행사가 이렇게 아름답게 행해진다는 것을 모르고 참가를 했습니다.

 

여주 흔암리에서는 보름에 줄을 당기고 난 뒤, 그 줄을 얼어붙은 강에 갖다 놓습니다. 그것이 해동이 되면 남한강으로 떠내려가죠. 그런데 이 줄에는 액송기(厄送旗)’라는 것이 꽂혀 있습니다. 마을 주민들이 자신의 모든 액을 적은 작은 깃발이죠. 이 액송기를 꽂은 줄이 강물을 따라 떠내려가면, 자신의 우환 등도 함께 사라진다는 것이죠.

 

이렇게 아름다운 의식이 3년 전, 대보름날에 남한강 둔치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행사는 우리민족의 대보름 때 보이던 많은 놀이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행사였습니다. 날이 추웠지만 많은 사진작가들이 횡재를 했다고 즐거워 한 행사였죠. 두레싸움, 줄다리기, 장치기, 다리밟기, 액송의식, 강고사, 달집태우기 등, 우리민족의 대보름에 행해지던 놀이가 총 망라된 복합적인 놀이였기 때문입니다.

 

 

대보름의 놀이 중 압권은 액송 줄 띄워 보내기

 

그랬습니다. 수많은 사진작가들이 탄성을 지르며 연신 셔터를 누른 것은, 바로 액송기를 꽂은 줄을 강물에 띄워 보내는 의식이었습니다. 액송기에 이름과 나이, 그리고 자신에게서 사라졌으면 하는 나쁜 것을 적어 기에 꽂고, 그것을 강물에 떠내려 보내는 의식이죠. 이런 아름다운 전통이 3년 전 대보름날에 남한강에서 행해진 뒤, 그 다음에 끝나고 말았습니다.

 

정말 아름다운 우리만의 대보름 놀이였지만, 어째서인지 이런 행사가 멈추어진 것이죠. 이런 아름다운 대보름의 놀이는 지자체에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데도 일조를 합니다. 그런 대보름 놀이가 사라진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죠. 대보름 놀이 자료를 정리하다가 찾은 자료입니다. 사진으로 설명을 해볼까요.

 

액송기를 꽂은 줄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습니다.

줄다리기를 하고 난 후 줄은 남한강가로 옮겨집니다. 줄에 꽂힌 액송기들입니다

 

액송기를 꽂은 줄을 보내기 위해 살풀이 춤을.  

 

춤을 추다가 강으로 뛰어들었습니다. 대단한 퍼포먼스죠. 그 추운 정월 보름에 

 

액송을 하기 위해 작은 볏집에 불이 붙였습니다. 그리고 강물에 떠내려 보냅니다.

 

액송기를 꽂은 줄도 함께 강물에 띄워보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