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 중턱에 소재한 대원사는, 백제 의자왕 20년인 660년에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대원사 대웅전에는 전북 유형문화재 제215호로 지정된 대웅전 삼존불이 있다.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비롯하여 왼쪽에는 아미타부처님, 그리고 오른쪽에는 약사여래부처님이 자리한다. 목조로 조성된 이 삼존불은 조선후기의 불상 양식을 따른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삼존불은 1670년에 조성된 것으로, 회감 보혜스님 계보의 맥을 잇고 있는 스님들이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 약사여래부처님은 중생의 병을 치료해주고, 생명을 연장해주는 의왕부처님이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의 안락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모악산 대원사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 좌측부터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이다 

약사여래부처님 손은 약손

어제(9, 17) 오후 모악산 산사에 볼일이 있어 산을 올랐다. 잠시 밖을 나가기만 해도 카메라 하나는 꼭 지참을 한다. 지난 번 산에 오르다가 렌즈를 박살내고 나서, 가급적이면 산에 오를 때는 작은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지참한다.

산을 올라 산사에 도착을 했는데, 대웅전 지붕 위에 벌떼가 까맣게 날고 있다. 무슨 일일까? 올 해는 한봉을 치는 분들이 모두 망했다는 소리를 한다. 날이 너무 뜨거워 벌들이 다 날아가 버렸다는 것이다. 절집에도 10여개의 벌통이 있었는데, 모두 다 비인 상태였다. 그런 차에 저렇게 벌이 날아왔으니 반갑기도 하다.

약사여래불 오른손 목안으로 벌떼들이 까맣게 드나들고 있다.

그런데 그 벌들이 연신 대웅전 안으로 날아 들어간다. 궁금하여 따라 들어갔더니, 이게 무슨 일일까? 세분의 부처님 중 오른쪽에 좌정한 약사여래 좌상의 오른편 손의, 손 목안으로 벌들이 들락거린다. 그 안에 새롭게 집을 지은 것인가 보다. 이런 일이 있을까? 그런 모습을 보면서 얼른 카메라를 들이댔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몇 놈이 공격을 한다.

벌침은 약이라는데, 따갑기는 해도 동영상으로 촬영을 하였다. 예전 어릴 때 배가 아프다고 하면 어머니가 손으로 배를 쓰다듬어 주시면서 ‘엄마 손은 약손, ○○배는 똥배’라고 하시던 생각이 난다. 그렇게 하면 희한하게도 살살 아프던 배가 가시고는 했다. 약사여래 부처님 손 목안으로 들어가는 벌들을 보면서 그 생각이 난다.



저 벌들도 올해 무더위에 많이 아팠던 것일까? 그래서 약사여래부처님 손 안으로 들어가 치료를 받으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괜한 생각을 하면서 키득거리고 웃고 있는데, 갑자기 뒷덜미가 따끔하다. 헛된 망상 버리고 정신 차리라고 벌이 한 대 쏘았나보다. 이래저래 약사부처님한테 머리를 조아려야 할 것만 같다.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날이 되면 모악산 중턱 대원사 일원에는 세 가지의 꽃이 핀다고 한다. 첫째는 대원사 주변에 피는 산벚꽃과 진달래 등이요. 둘째는 찹쌀을 이용해 진달래꽃을 더해 기름에 부치는 화전이다. 그리고 세 번째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마치 꽃이 핀 듯 울긋불긋하다는 것이다. 올해는 시기적으로 벚꽃은 피지를 않아 조금은 서운하지만, 대원사 주변의 진달래는 만개를 해서, 진달래 화전축제의 분위기를 돋우고 있다.

 

몰려드는 사람들, 산길을 메워

 

▲ 축제장으로 오르는 사람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많은 사람들이 축제장으로 모여들고 있다.

 

축제 시작 시간이 되면서 축제장으로 몰려드는 사람들로, 산길은 온통 가득 찬다. 미리 산행을 하기 위해 산을 올랐다가 하산을 하는 사람들은, 올라오는 사람들로 인해서 내려가기가 힘들 지경이라고 한다. 9시가 넘기 시작하면서 축제장으로 올라오는 사람들로 길은 점점 좁아지기 시작한다. 10시가 넘으면 길은 사람들이 빈틈이 없을 정도로 가득 차는 것이 화전축제의 또 다른 볼거리이기도 하다.

 

9시를 넘기면서 여기저기 부모님들과 함께 축제장을 찾은 학생들이 자리를 잡고 앉기 시작한다. 글짓기 등의 접수대에는 접수를 하기 위해 줄을 선 학생들이 점차 많아진다. 10시 30분에 축제가 시작이 될 때쯤이면, 대원사 앞마당은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들어찬다.

 

전통과 젊음이 어우러지는 축제

 

▲ 점차 많아진 사람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많은 사람들도 북적이기 시작한다

 

모악산 진달래화전축제는 젊음과 전통이 어우러지는 축제이다. 봄날 진달래꽃이 피는 계절이 되면 경향의 유생들은 들이나 냇가로 나가, 화전을 부치고 화면을 먹고는 했다. 이것을 '화류놀이' 또는 '화전놀이'라고 하는데,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는 이러한 화전을 부치면서 하루를 보내는 축제이다.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에는 전북 등지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의 공연이 하루 종일 이루어진다. 팝핀을 비롯한 재즈댄스, 사물놀이를 비롯해, 각종 공연이 이루어져 참가한 학생들이 마음껏 젊음을 발산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준다.

 

하루 종일 베풀어지는 각종 공연은 축제장에 모여든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어준다. 공연을 하는 학생들이나, 관람을 하는 관객이나 모두가 주인이다. 모두가 하나가 되어 즐거워하고, 박수를 치고 함께 소리를 지르며 축제장을 열기 속으로 끌어간다. 그래서 화전축제는 모두가 주인이 되는 축제라고 한다.

 

국민들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축제

 

▲ 줄을 선 학생들 글짓기 그림그리기 등을 신청하기 위해 접수대에 줄을 선 학생들과 학부모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는 전시적인 축제가 아니다. 하루 종일 즐겁게 지내도 피로한 줄을 모른다. 그것은 바로 사람들이 움직이는 동선을 최대한으로 줄였기 때문이다. 대원사 일원에서 벗어나지 않고 모든 공연 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장 짧은 동선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그것이 모악산 화전축제의 특징이기도 하다.

 

누구나 축제의 주인이 되어 하루를 즐길 수 있는 축제.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많은 사람들로 들어찬다. 그리고 모두가 흥겨움에 젖어 하루를 보낸다.(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4, 11)


모악산에 자리한 대원사는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997번지에 소재한다. 대원사는  모악산 동쪽 중턱 어머니 품속 같은 형태에 자리잡고 있으며, 삼국유사 권제3 <보장봉로 보덕이암> 조애는 '백제 의자왕 20년인 660년에 열반종 개산조 보덕의 제자인 대원, 일승, 심정 등의 고승이 창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조 인종 8년인 1130년에 원명국사 징엄 스님(1090~1141)이 중창 하고, 이어서 공민왕 23년인 1374년에는 나옹 혜근스님(1320~1376)이 중창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서는 태종 15년인 1415년에 중창 흔적의 기록이 있으며, 그 뒤 선조 30년인 1597년의 정유재란 때 대부분 건물이 불타 없어졌으나, 선조 39년인 1606년 진묵스님(1562~1633)이 다시 중창하였다.

 

어머니의 절 대원사

 

▲ 벚꽃이 만개한 경내 모악산 대원사 주변에는 수령이 300년 이상이 되었다는 산 벚꽃나무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운다.


대원사 주변에는 300년 이상 되었다는 산 벚꽃이 둘러쌓고 있어, 봄철에는 흐드러지게 피는 벚꽃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으며, 가을이면 온통 불이 타는 듯한 붉은색이 절을 뒤덮는다. 대원사에서는 2001년부터 매년 1월1일 촛불기원 해맞이 타종축제와 4월 둘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모악산진달래 화전축제로 이미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고찰이다.

 

모악산 대원사는 어머니 품속 같은 터전에 자리 잡아, 천하대복지 최길상지 명당이라고 한다. 대원사를 어머니의 절, 효의 절이라고 부르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주말과 휴일이 되면 등산객들로 늘 경내가 붐비고 있는 대원사는, 전국 각지에서 예를 갖추고 찾는 이가 끊이지 않는 창건 1350년의 유서 깊은 전통사찰이다.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의 이변

 

▲ 방치된 옛 안내판 문화재를 분실하고 나서 그대로 방치된 목각사자상 안내판

▲ 안내판 목각사자상을 도난 당한 사연을 적은 현 안내판


어느 절이나 사찰에 문화재가 있으면, 그 앞에 문화재 안내판을 설치해 놓는다. 모악산 대원사에는 대웅전에 모셔진 전북 유형문화재 제215호인 삼존불과 전북 유형문화재 제71호인 용각부도가 있다. 그런데 대원사 안내판에 보면 현재는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문화재가 있었음을 적고 있다. 바로 진묵 스님이 만든 것으로 전해지는 목각사자상이다. 전북 민속자료 제9호로 지정이 되어 있었다는 목각사자상은 어떤 것일까?

 

대원사 경내 한편에는 예전 목각사자상을 설명한 문화재 안내판이 아직도 남아있다. 그 내용을 보니 다음과 같다. 

 

이 목각사자상은 조각한 시기와 조각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전하는 바에 의하면 진묵대사가 만들었다고 하며, 이 위에 북을 올려놓고 가축을 하늘로 인도하는 제사를 지낼 때 북을 쳤다고 한다. 크기는 높이 90cm, 길이 135cm이며 괴목나무로 섬세하게 조각한 사자상이다. 다리는 다른 나무로 만들었으며 현재 다리부분이 약간 떨어져 나갔다. 이 사자상의 등에 경전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만들었다.

 

위와 같은 설명으로 보아 이 목각사자상은 상당히 소중한 문화재임이 틀림이 없다. 더구나 제를 지낼 때 사용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신물(神物)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대체 이 목각사자상은 어디로 간 것일까? 현재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에는 목각사자상이 사라진데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대원사의 문화재인 사자상은 돌아와야

 

 
▲ 도난단한 목각사자상 도난 당한 목각사자상. 뛰어난 조각솜씨를 보이고 있다. 안내판 사진


어떤 연유로 목각사자상이 대원사를 떠났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안내문에는 1988년 12월 1일에 도난을 당한 것으로 적고 있다. 그리고 1989년에는 완주군에서 속성으로 문화재지정을 해제했다는 것이다. 문화재가 도난을 당할 경우 해당 부처에서는 문화재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빨리 문화재해제를 한 것일까? 그 이유가 궁금하다.

 

그 뒤 목각사자상은 1999년 10월 27일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거주하는 이모씨가 소유를 하고 있었는데, 공소시효를 주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문화재법은 어떠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이미 문화재 지정이 해제돼 있었다. 그리고 이 목각사자상은 다시 종로구 인사동 거주 이 아무개에게 팔렸다는 내용이다.

 

문화재란 개인의 것이 아니다. 더구나 진묵 스님이 만들었다고 하면 이미 그 제작연대가 500년 가까이 되었다는 것이다. 대원사는 진묵 스님께서 가장 오래 묵으신 절이기도 하다. 그만큼 진묵 스님의 체취가 배어있는 고찰이다. 그리고 목각사자상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이 될 만큼 소중한 문화재란 생각이다.

 

문화재법도 중요하지만 소중한 모악산의 문화재인 목각사자상은 반드시 대원사로 돌아와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제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에는 목각사자상이 돌아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얼마나 간절한 바람이었으면, 안내판에 그러한 사연을 기록을 했을까? 어떤 경로를 통해 문화재를 취득하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이라도 목각사자상은 대원사로 돌아와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4, 19)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