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정월의 우리민속 ‘두레싸움’
두레조직이 만나 상대방 기 꿩장목 뺏어
서구화된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조선조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의 강압적인 ‘우리문화 말살정책’으로 인해 수없이 사라져간 우리의 풍속들. 그 안에는 상원일이라고 하는 정월 대보름의 놀이들이 있었다. 공동체를 창출하고 마을과 마을 간의 단합을 일구어 낸 수많은 놀이들이 단지 옛것이나 미신이라는 폄하로 인해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사실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인 상원일까지 수많은 놀이들이 있었지만 이제는 거의다 소실되고 몇몇 가지가 겨우 명맥을 잇고 있을 뿐이다. 대보름은 우리민족에게는 4대 명절 증 하나였다. 설날, 추석, 동지와 함께 정월대보름을 큰 명절로 꼽은 것이다. 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큰 명절로 잡은 이유는 정월 초사흘부터 시작한 각종 공동체놀이들이가 정월 대보름을 기해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정월 초하루에 설을 쇤 사람들은 초이틀은 ‘귀신 날’이라고 해서 근신을 하다가, 하늘에서 평신(平神)이 하강한다는 초사흘부터 지신밟기 등 각종 놀이를 즐기기 시작한다.
음력 초3일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지신밟기는 마을마다 한 집도 빠짐없이 다니면서 ‘고사덕담(告祀德談)’인 축원을 해주는데 문굿서 부터 시작을 해 우물, 마구간, 부엌, 장독대 등을 돈 후 대청에 마련해 놓은 고사상 앞에서 덕담을 한다.
고사덕담은 그 집이 일 년 동안 안과태평하기를 바라는 축원굿으로 일 년 간의 액을 막아내는 홍수풀이부터 농사가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농사풀이 등 창자의 능력을 따라 다양한 소리를 한다. 지신밟기를 마치면 대청에 마련한 술과 떡을 나누고 난 뒤 고사상에 올려 진 쌀과 돈을 갖고 다음 집으로 향한다. 그 쌀과 돈은 마을의 기금으로 사용을 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집집마다 먼저 지신밟기를 하기 위해 풍물패를 집안으로 끌어들였다고 하니 우리민족은 정월에 하는 놀이가 풍농과 안과태평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 같다. 이렇게 마을을 돌면서 지신밟기를 하던 두레패들이 길에서 만나게 되면 상대방에게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라고 소리를 친다. 그러다가 급기야 상대 두레기의 상단에 꽂힌 꿩장목을 뽑게 되는데 이것이 정월에 열리는 '두레싸움'이다.
두례싸움에서 먼저 꿩 장목을 빼앗긴 마을은 상대방의 마을을 '형님마을'로 일 년간 대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긴 마을에서는 빼앗은 꿩장목을 기에 함께 달고 다니기도 했다. 진 마을에서는 일 년 동안 장목이 없는 두레기를 들고 다녀야 했으며 다음해 다시 두레싸움을 벌여야 찾아오거나 장목을 빼앗아간 상대마을을 푸짐하게 차려먹인 후 장목을 찾아오곤 했다.
원래 기싸움이란 마을마다 <두레기>가 있어, 그 두레기들이 농사일을 하러 길을 나가다가 서로 꿩장목을 빼앗는데서 유래를 한 것이다. 예전에 마을에는 농사를 지을 때 품앗이를 하던 두레조직이 있었다. 이 두레조직에는 두레를 상징하는 기(旗)인 '두레기'가 있었다. 공동으로 농사를 짓기 위해 두레패들이 길을 가다보면 이웃의 두레패들과 길에서 서로 마주치게 된다.
길에서 마주친 두레패들은 서로가 자신들이 '형님'이라며 상대방에서 먼저 기수를 숙이거니 길을 비켜서라고 난리들을 친다. 그러다가 기싸움을 벌이게 된다. 기싸움은 상대방의 두레기 위에 꽂힌 꿩장목을 먼저 빼앗는 마을이 형님 노릇을 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놀이, 그 많던 음력 정월의 놀이가 이제는 거의 사라지고 남아있지 않다. 공동체를 창출하고 서로간의 화합과 결속을 다지던 놀이가 사라지면서 우리는 이웃을 잃어버리고, 나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적인 사람들로 변했다. 작금에 들어 우리 전통민속을 다시금 찾아가려는 운동이 번지고는 있지만 허울뿐인 전통, 내실이 사라진 민속을 버젓이 연희하면서 전통을 지켜간다는 낯간지러운 말들을 한다. 우리민속은 겉으로 치장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사고가 더 중요한 것인데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