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 간성읍에서 건봉사를 항해 가다가 보면, 해상 2리 마을이 있다. 이곳에서 개울 건너에 보면 커다란 노송 두 그루가 서 있는 곳에 작은 전각 한 동이 보인다. 개울 건너편에는 간성향교 기적비란 돌 표지석 한 기가 서 있다. 간성항교 기적비란 말에 개울에 놓인 징검다리를 건넜다.

 

다리를 건너면 맞배지붕으로 지은 비각을 만난다. 비각은 정면과 측면 각 한 칸으로 지어졌으며, 높이 70cm 정도의 장초석 위에 기둥을 올렸다. 내부에는 홍살을 두른 안에 비 한 기가 서 있다. 이 비가 바로 간성형교 기적비이다. 이 비를 세우게 된 내력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임진왜란에 성인의 위패를 모신 곳

 

조선조 선조 25년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병들이 간성항교로 들이닥쳤다. 왜병들은 간성향교를 점령하고 갖은 만행을 저질렀다. 이 때 향교의 재임이었던 김자발과 박응열 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성인의 위패를 거두어 정결한 곳에 봉안을 했다는 것이다. 간성항교는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왜병들은 위패를 두 사람이 거두어 간 뒤 간성항교에 불을 질렀다. 전소한 향교는 위패를 피신시켰던 김자발과 박응열의 발의로, 임진왜란 때인 1592년에 10월에 중건을 시작하여 이듬 해 2월에 공사를 마쳤다고 한다. 이 기적비는 순조 5년인 1805년에 향교 유림인 김, 박 등 공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나를 부끄럽게 만든 비각

 

소나무 두 그루가 전각을 내려다보듯 서 있다. 그 아래 맞배집 한 칸으로 서 있는 비각. 그저 시골 길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그런 비각이다. 내 앞에 서 있는 향교 기적비란 표지석이 아니라면 누구의 열부각이나 효자각 쯤으로 여겼을 것이다. 몇 년 전에 이곳을 몇 번이나 지나면서도 그리 생각이 들어 들리지 않았던 곳이다.

 

새삼스레 세워 놓은 표지석 하나 때문에 이 비각의 남다름을 알아낼 수 있었다니. 더구나 지정문화재가 아니기 때문에 그저 홀대를 하고 지나쳤던 것이 조금은 부끄럽기도 하다. 매번 떠들어대는 것이 문화재의 가치는 지정, 비지정, 혹은 그 품격을 갖고 논하지 말라던 나였기 때문이다.

 

 

형조판서 서영보의 글씨

 

비각은 단출하다. 정면과 측면 한 칸이지만, 정면이 측면보다 약간 넓게 조성하였다. 홍살을 띤 안에는 비가 한 기 서 있다. 비의 대좌와 머리에 놓은 개석은 화강암으로 하였으며, 개석의 앞뒤로는 당초문과 꽃 봉우리가 새겨져 있다.

 

몸돌은 섬록화강암으로 조성하였으며, 높이는 142cm이다. 붉은색의 비문으로 써 있는데, 비문은 영의정이던 이병모가 찬하고 형조판서 서영보의 글씨라고 한다. 조선후기의 문신인 서영보는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니, 당대 최고의 명필이 글을 쓴 셈이다. 글을 전각한 것은 유한지이다.

 

그저 모르고 지나쳤던 비각 하나. 문화재 지정이 되지 않아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이라고 일축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작은 비 하나에도 큰 뜻이 있기에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건봉사의 문화재를 답사하러 가다가 만난 이 비 하나로, 다시 한 번 문화재답사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전북 장수군에는 ‘3(三節)’이라 불리는 분들이 있다. 그 첫째는 의암에서 왜장을 끌어안고 장렬하게 죽음을 택한 주논개를 말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장수향교 교리인 정경손이다. 임진왜란 때 죽음으로 장수향교를 지켜 낸 인물이다. 정경손의 기념비는 장수항교 안에 서 있다. 그리고 세 번째는 타루비의 순의리(殉義吏) 를 일컫는다.

 

오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바로 타루비의 주인공인 백씨이다. 이름이 전하지 않는 이 백씨라는 인물이 당당하게 장수 삼절에 거론이 되는 것은, 그 의가 후세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타루(墮淚)’란 피눈물을 흘렸다는 뜻이니, 그 마음의 아픔이 어떠했는지 짐작이 간다.

 

 

 

타루각 안에 서 있는 두 개의 비

 

전북 장수군 천천면 장판리 도로변에는 타루비라는 문화재 안내판이 큼지막하게 걸려있다. 장수군 어디를 가나 이렇게 문화재 안내판을 곳곳에 걸어두고 있어, 문화재를 찾기에 편안하다. 이런 것 하나를 보더라도 장수군의 문화재보호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 안내판 길 건너에는 담으로 둘러쌓은 안에 비각 두 개가 서 있다.

 

문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에 서 있는 작은 비각 안에는 백씨의 뜻을 기리는 비이고, 그 안쪽우측으로 보이는 비각에는 타루각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바로 타루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이다. 타루각 안에는 바라다보는 왼쪽에 장수이순의비(長水吏殉義碑)’라 적혀있다. ‘장수의 벼슬아치가 죽음으로 의를 지켰다는 뜻이다.

 

 

그리고 오른편에는 돌을 삼단처럼 깎아 세운 후 그 위에 타루비(墮漏碑)’라 적힌 비가 서 있다. 바로 장수 3절 중 한분인 백씨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도대체 이 백씨라는 분은 어떤 일을 했으며, 왜 이렇게 그를 칭송하는 것일까?

 

피로 암벽에 쓴 글씨 타루

 

조선조 숙종 4년인 16783, 장수현감이 전주감영에 가기 위하여 말을 타고 이 곳 타루비가 서 있는 곳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숲속에서 장끼 한 마리가 소리를 내며 하늘로 날았고, 그 소리에 말도 놀라 날뛰었다. 말의 고삐를 잡고 있던 통인이 말을 추스르기도 전에, 현감은 말과 함께 절벽 아래로 흐르는 송탄천(松灘川)’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통인은 말이 빠진 주변을 맴돌며 현감을 구하려고 애를 썼으나, 말과 함께 빠진 현감은 다시는 물 위로 떠오르지를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못해 현감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죄책감에, 통인은 울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었다. 송탄천이 흐르는 암벽에 말과 꿩을 그린 통인은 타루라는 글씨를 피로 쓴 후, 스스로 물로 뛰어들어 자결을 하였다.

 

그리고 124년이란 세월이 흐르고 난 후인 순조 2년인 1802, 장수현감 최수형이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 그곳에 타루비를 세워 물에 빠진 현감과 통인을 위로하였다. 현재 이 타루비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통인의 이름은 백씨라고만 전해진다.

 

 

암벽에 쓰인 타루애

 

타루각 우측으로는 깎아지른 듯한 암벽이 있다. 그 밑에는 물이 고였던 흔적이 보인다. 아마도 이곳이 예전 그 송탄천의 물이 흘렀던 곳이었는가 보다. 그 암벽에는 타루애(墮漏崖)’라는 글씨를 음각하였다. 지금 쓰인 글씨의 우측으로는 예전에 쓰인 글씨가 남아있다. 그리고 암벽에는 말과 꿩을 돋을새김 한 것처럼 조성하였다.

 

스스로의 책무를 다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이 모시던 윗사람을 따라 목숨을 끊은 백씨. 아마도 이 시대의 귀감이 되라는 뜻으로 세운 타루비일 것이다. 세월이 흐르고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고 하여서, 본분을 지키고자 했던 그 뜻을 논할 필요는 없다. 오늘 암벽에 새겨진 말과 꿩, 그리고 타루애라는 글씨와 타루비 안에는, 장수현의 통인 백씨의 충정이 그대로 배어있기 때문이다.

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에는 수열마을이 있다. 이 마을의 이름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으니, 바로 열녀 해주오씨 부인의 이야기에서 비롯한 이름이다. 수열마을 입구에는 작은 구능 위에 비각이 서 있다.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으로 된 이 비각은, 장수군의 여인들이 얼마나 절개가 곧고 충정스러운가를 잘 알려주고 있다.

 

장수는 의녀(義女)’의 고장이다. 1593729, 임진왜란 때 진주 촉석루 아래 의암에서 왜장을 안고 남강 푸른 물로 뛰어든 의녀 주논개를 비롯하여, 많은 여인들이 꿋꿋하게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택한 고장이다. 장수군을 답사하면서 보면 이러한 열녀들의 이야기를 수도 없이 들을 수가 있다.

 

 

 

의녀의 고장 장수를 가다.

 

전주를 출발해 장수로 향했다. 20번 고속도로를 이용해 장수IC 나들목을 나서, 장수읍 방향으로 19번 도로를 타고가다 보면 수열비란 문화재 안내판이 보인다. 길을 따라 마을 안으로 조금 들어서면 멋진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는 곳에 비각이 서 있다. 이 비각은 최근에 세운 것이며, 그 비각 안에는 수열평(樹烈坪)’이라 쓴 비석 한 기가 서 있다.

 

이 비를 수열비라고 하는데, 그 뒤편에는 세임진위양사순처오씨열행립(歲壬辰爲梁思舜妻吳氏烈行立)’이라고 내리쓰기로 하였다. 임진년에 양사순의 처 열녀 오씨의 덕행을 세운다는 뜻이다. 앞에 쓴 수열평이라는 글씨는 조선조 선조의 손자인, 낭선군 우가 쓴 것이다. 이 비를 세우고 마을 이름을 수열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놈들 더러운 이 유방을 가져가라

 

조선조 선조 30년인 1597년은 정유재란이 일어난 해이다. 전라도로 침입한 왜병들은 남원성을 무너트리고, 금산, 장수 등 내륙으로 들어와 갖은 만행을 저질렀다. 이곳 수열마을에도 왜병들이 들어와 마을에서 온갖 만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산 중에 있던 이 마을에는 아마도 그런 난리가 났다는 것도 모르고 있었는가 보다.

 

방에서 삼베를 짜고 있던 양사순의 처 해주오씨는, 갑자기 들이닥친 왜병들을 보고 놀랐을 것이다. 왜병들은 양사순의 집 방으로 들어와 해주오씨의 유방을 강제로 만지며 희롱을 하였다. 이에 격분한 양사순의 처 해주오씨는 부엌으로 들어가, 왜병들이 만진 유방을 부엌칼로 잘라내었다.

 

더러운 놈들이 만진 이 유방을 가지고 가라

 

고 일갈을 하는 해주오씨의 호령에, 왜병들은 혼이 나가 문 밖으로 달아나버렸다. 그 길로 해주오씨는 스스로 자결을 하고 말았다. 이러한 해주오씨의 행동이 그 마을에 위엄 있는 정신을 심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수열(樹烈)’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수열평에 부는 바람

 

마을에서는 지금도 수열비가 서 있는 앞뜰을 수열평이라 부른다. 전각 앞에 서서 비를 바라다본다. 단 석자의 글씨가 쓰여 있는 비석이지만, 그 안에 얼마나 장한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 감히 누가 그 기세등등한 왜병들 앞에서, 스스로 유방을 도려내고 호통을 칠 수 있을 것인가? 지금의 여인들 중에도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수열평에 바람이 분다. 아침에는 쌀쌀하던 날씨가 오후가 되면서 기온이 올랐다. 수열비 앞에 서서 고개를 숙인다. 어느 누가 감히 이런 장한 행동을 할 수가 있었을까? 이렇게 죽음으로 자신을 지킨 해주오씨의 행동에, 어떠한 말로 위로를 할 수가 있을까? 비록 장중하지 않고 초라한 비이기는 하지만, 그 비석 안에 담긴 뜻은 어떤 화려한 것들보다도 더 아름답지 않은가? 오늘 여인이긴 하나, 해주오씨의 당당함을 배워 돌아간다.

풍아의 깁흔 뜻을 뎐하나니 긔 뉘신고(風雅深意 傳者其誰)

고됴를 됴하하나 아나니 전혀 업내(古調雖自 愛知者少)

졍셩이 하 미망하니 다시 블너 보리라(正聲何微 茫欲更吟)

 

내 말이 긔 어니 몰고 또 모라라(我馬維騏 載馳載驅)

질고를 믈을지니 원습을 갈힐소냐(詢其疾苦 奚憚原濕)

셩은이 지듕하시니 못갑흘가 하노라(聖恩至重 惟恐不能酬)

 

위의도 거룩하고 녜모도 너를시니(威儀盛大 禮貌寬兮)

희학을 됴하하나 학하미 되올쇼냐(善戱謔兮 不爲虐兮)

아마도 성덕지션을 못니즐가 하노라(盛德至善 終不可諼兮)(하략 김광섭 역)

 

 

권익륭이란 고성군수가 지은 연작시이다. 권익륭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시조작가이며, 본관은 안동 자는 대숙이다. 호는 하처산인으로 숙종 34년인 1708년에 양성(안성시) 현감을 지낸 후, 1710년 간성군수로 부임을 했다. 이 시는 <풍아별곡>이라고 하는 권익륭이 1710년 간성군수로 있을 때 지은 모두 6수의 연작시이다.

 

교주가곡집에 실린 권익륭의 풍아별곡

 

이 내용은 고성군 현내면을 답사하고 난 뒤, 고성향토사연구회 연구위원인 김광섭 선생의 논문과 자료에서 취합한 글이다. 김광섭 선생은 고성지역의 향토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향토사를 정리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김광섭 선생이 보내 준 자료에는 1710년 간성군수를 지낸 권익륭에 대한 자료와 <고성화진포의 팔경과 시문학 고찰> 이란 선생의 논문이었다.

 

풍아별곡은 이 작품은 작가가 교방(敎坊)에서 손님을 맞이하여 즐길 때, 기존의 노래만 갖고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부르도록 하기 위해 지은 노래라고 한다. 풍아별곡의 첫 수에서는 고조(古調)와 정성(正聲)이 전하지 않음을 한탄하면서 이를 재현하여 보려는 의지를 표방하였다. 그 다음부터 다섯째 수까지는 사람이 주연(酒宴)에서 갖추어야 마음 자세와 도리를 밝힌 다음, 마지막 수에서 인생은 무상하므로 생전에 후회 없이 놀고 즐기자는 뜻을 말하였다고 한다.

 

논두렁에 서 있는 소나무와 불망비

 

이렇게 권익륭에 대해 김광섭 선생을 통해 자세한 자료를 얻게 된 것은 다 이유가 있다. 고성군 현내면 산학리를 답사하고 있는데, 마을 앞 논가에 멋진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나무가 하도 아름다워 쫒아갔더니, 옆에 영세불망비가 한 기 서 있다. 하지만 불망비라는 각자는 보이는데, 그 위의 글씨가 지워져 알아볼 수가 없다.

 

 

할 수 없이 여기저기 수소문을 하던 차에 김광섭 선생을 소개를 받기에 이르렀고, 선생은 자신이 연구를 한 자료를 선뜻 보내주었다. 논가에 자리하고 있는 소나무 주변은 펜스를 쳐놓았고, 안내판에는 이 소나무가 수령이 150년 이상이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나무의 모습을 보니 3~400년 가까이 된 나무처럼 보인다.

 

그 옆에 세워놓은 영세불망비. 군수였던 권익륭이 선정을 베푼 것에 대해 잊지 않겠다고 주민들이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세운 비이다. 1711년에 이 불망비를 소나무 곁에 세웠다고 치면, 이 소나무의 수령은 이미 3백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결국 불망비 때문에 이 소나무의 수령이 우리가 짐작한대로 맞아 떨어진 셈이다.

 

 

 

왜 이곳에 불망비를 세워놓았던 것일까? 이곳 현내면 산학리는 바로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였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이 불망비 앞을 지나쳐 금강산으로 오갈 때, 이 불망비를 보고 이곳에 선정을 베푼 권익륭 군수가 있었음을 알아달라는 뜻이었다는 것. 이 불망비와 동일한 불망비가 안성시 양성면사무소 뒤편에도 한 기가 서 있다고 한다. 결국 권익륭은 지역의 방백으로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었음을 알 수 있다.

 

300년이 지난 소나무 가지 밑에 서 있는 권익륭 군수의 영세불망비. 각자는 다 흐려져 알 수가 없지만, 당시 주민들의 정성이 그 곳에 깃들어 있다. 이곳 산학리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300년 세월 그렇게 의지를 하면서 자리를 지켜 온 소나무 한 그루와 영세불망비 한 기. 그 모습에서 아주 오래 전의 역사 한 자락을 만난다.

 

국립부여박물관 경내에는 보물로 지정이 된 두 기의 비가 서 있다. 그 하나는 보물 제107호인 <보광사대보광선사비>이교, 또 한 기는 당나라 장수인 <당유인원기공비>이다. 이 두 기의 비는 층이 진 곳에 서 있으며, 두 기의 비 모두가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가 따로 있지 않다는 점이다.

 

원명국사의 유언에 의해 몸돌만 세우다.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보광사 터에 소재하고 있던 비를 옮겨 국립부여박물관 경내에 세워 놓은 보물 제107호인 <보광사대보광선사비>는, 고려시대에 보광사를 크게 부흥시킨 원명국사의 공적을 기록한 비이다. ‘보광사 중창비’라고도 부르는 이 비는 부여 성주산 보광사 터에 서 있던 것을, 1963년 박물관으로 옮겼다. 현재 비는 몸돌인 비만 남아있다.

 

이 비문의 앞면은 건립당시인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뒷면에는 조선 영조 26년인 1750년에 비문을 새겼다. 이 비에 적힌 비문에 의하면 원명국사는 19세에 등과하여 선원사에서 뜻을 펴오다가, 공민왕 원년인 1351년에 입적을 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기의 단조로운 비

 

원명국사는 죽으면서 제자들에게 비나 탑을 세우지 말 것을 당부하였는데, 이 비는 국사가 세상을 떠난 지 7년이 지난 후에야 세워졌다. 이 비는 고려시대 후기의 간략한 석비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편마암으로 조성한 대보광선사비는 여기저기 금이 가 있다. 비의 가장자리에는 넝쿨문양을 띠 모양으로 둘러놓았다.

 

머릿돌인 이수가 없는 비는 몸돌만 남아있는데, 윗면은 양편을 비스듬히 깎아내었다. 비의 위편에는 고려시대 대보광선사비임을 적고 있으며, 앞면과 뒷면에 원명국사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뒷면의 기록에는 임진왜란 때 비를 모셔놓은 전각이 모두 불타 없어지고, 기록을 적은 비도 알아볼 수 없으므로 주지인 석능일이 고쳐 새긴다고 되어있다.

 

 

당나라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비

 

대보광선사비 아래쪽에는 전각 안에 또 하나의 보물로 지정된 비가 서 있다. 이 비는 보물 제21호인 유인원기공비이다. 당나라 장수인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비로, 원래는 부여 부소산성 안에 세 있었던 것이다. 부소산에 세 조각으로 깨진 채 흩어져 있던 것을, 그 자리에 비각을 세워 복원해두었다가 해방 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놓았다.

 

비는 비 몸돌의 앞면이 조금 깨어져 나갔고, 머릿돌도 부분적으로 깨어져 있으며, 비문은 몸돌 앞·뒷면에 새겨져 있으나 심하게 닳아 있어서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신높이 3.35m, 이수높이1.14m이며 해서체로 몸돌의 앞뒷면에 글자를 새겼으나, 뒷면은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의 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 부분은 각이 없이 둥글다.

 

당나라 전기의 조각수법을 보이는 유인원기공비

 

이 비는 유인원의 출생과 가문, 생애에 대해서 적고 있는데, 당태종에게 유인원이 발탁이 되어 645년 고구려를 공격할 때 뛰어난 공을 새웠으며, 660년에는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킨 후 유민들의 백제부흥운동을 평정하였다는 내용들이 적혀있다. 이 비가 세워진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인 문무왕 3년인 663년으로 밝혀졌다.

 

 

이 비는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아픔을 안고 있는 비이다. 그러나 그 비문 중에는 백제의 의자왕과 태자 및 신하 700여명이 당으로 압송된 사실과, 부흥운동에 고나한 내용, 그리고 폐허가 된 당시 부여 도성의 모습들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에 소중한 문화적인 사료로 평가를 받고 있다.

 

몸돌과 머릿돌을 하나의 돌로 꾸미고, 여섯 마리의 용이 세 마리씩 양편에서 올라오면서 여의주를 다투고 있는 유인원기공비. 그러나 이런 해설이 없었다고 하면 머릿돌 부분에 조각이 되어있는 것이 용이란 사실조차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마모가 되었다. 이 두 점의 비에 얽힌 부분적인 사연에 마음이 아프다. 전쟁 통에 지워진 기록과 외침에 의해 망가져버린 국토를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런 역사의 아픔도 서러운데, 거기다가 수많은 문화재들이 개발이라는 허울을 쓰거나, 종교적인 이질감 등으로 훼손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이래저래 마음만 미어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