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산(麗岐山)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농촌 진흥청 내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104.8m의 산이다. '화성성역의궤'에는 '여기산(如岐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산세가 크지 않고 산의 모습이 기생의 자태와 같이 아름다워서 '여기산(麗岐山)'으로 불렀다고 한다. 산의 정상부에는 토축산성이 조성되어 있는데, 해발 104.8m로부터 10m 아래에 쌓여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전형적인 머리띠 모양의 테뫼식으로 성 길이는 약 453m이다.

 

전철 화서역에서 구운동 방향에 있는 여기산 공원은 축구장, 게이트볼장, 익스트림 스포츠 연습장 등 체육시설과 산책로가 조성돼 있는데, 경기도는 팔달구 화서동 436 일대 서호저수지 332997, 여기산 선사유적지 225828를 경기도 기념물 제200호와 201호로 지정하였다. 여기산 서호방면에는 우장춘 박사의 묘와 그의 석상이 위치해 있다.

 

 

땀을 흘리며 돌아 본 여기산

 

8일 오후 2. e수원뉴스의 김우영 주간과 함께 여기산에 올랐다. 여기산에는 화성을 축성할 때 돌을 뜨던 부석소와 토축산성이 있어, 직접 눈으로 확인을 해보고 싶어서였다. 여기산 입구에서 확인을 받은 후 천천히 산으로 난 소로로 접어들었다. 주변에 서 있는 나무들에게서 숲이 주는 향이 짙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잎들이 유난히 푸르다.

 

천천히 걸어 오른 길 우편에는 우장춘 박사의 석상이 자리하고, 좌측에는 묘가 있다. 그곳을 지나 높지 않은 산 정상으로 오르다가 숲길로 접어들었다. 산성을 확인하고 싶어서였다. 이곳 여기산은 수원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길목이다. 산성이 이곳에 있다는 것은 예부터 이곳이 중요한 거점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연녹지인 여기산은 1979~1984년에 숭실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한 곳이다. 이곳에서는 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전기에 사용했던 토기종류들이 상당수가 발굴이 되었으며, 생활용구인 철기류 등도 꽤 조사되었다. 또한 주거지 내부에서 검게 탄 볍씨들이 발견이 되어, 서호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었음도 확인되었다.

 

 

화성 축성 때 돌을 뜬 곳 발견

 

숲을 지그재그로 돌면서 옛 토축산성의 흔적을 찾아보고 있는 중에 거대한 암벽을 만났다. 여기산은 화성 축성 당시에 돌을 뜬 곳으로 알려지고 있었으나, 그동안 소개된 돌은 길가에 보이는 작은 바위였다. 이렇게 큰 암벽은 아직 소개되지가 않았는데, 주변에는 큰 바위덩어리들이 놓여있는 것으로 보아 돌을 뜬 곳임을 알 수 있다.

 

절개된 바위를 자세히 살펴보니 나란히 난 쐐기구멍이 보인다. 이렇게 바위에 쐐기구멍을 내고 그 안에 나무를 집어넣은 후 물을 부어놓으면 나무가 부풀어지면서 바위를 쪼개는 것이다. 커다란 암벽이 마치 칼로 자른 듯하다. 어떻게 이 큰 바위덩어리를 이렇게 반듯하게 쪼갤 수가 있을까? 선인들의 지혜가 놀랍기만 하다.

 

 

천년 세월을 지키고 있는 토축산성

 

산을 한 바퀴 돌아 정상부근으로 오르다 보니, 한 눈에도 토축산성임을 일 수 있는 흙더미가 나란히 뻗어있다. 이 토축산성은 아마도 삼한시대나 삼국시대 때 쌓은 것으로 보인다. 높지 않은 산이지만 이곳은 주변에 광활한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군사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곳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축산성을 따라 걷다보니 산 정상이 나타난다. 그 위가 평평하게 조성되어 있는 곳이 군사지휘소가 있었을 듯하다. 두 시간 남짓 돌아본 여기산. 여기산을 돌아 내려오는 길에 시원한 바람이 땀을 식혀준다. 농촌진흥청이 이곳에 자리한 것도 우연히 아니란 생각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농사를 지었던 곳이었기 때문에.

사적 제5호인 부소산성은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토석혼축산성이다. 이 산성은 지금은 사적화하여 잘 정비가 되어있고, 산성 내에는 망월루를 비롯한 정자와, 사비루 등을 복원해 놓았다. 이 산성 안으로 들어가면 군창지를 만날 수가 있다. 군창지란 군사들의 군량미를 쓰일 쌀을 저장해 둔 장고를 말한다.

 

이 성 안에는 1915년 불에 탄 쌀이 발견된 군창 자리를 발견을 했는데, 이 군창터는 백제시대 때 지은 것과 조선시대에 지어진 창고 터까지 발견이 되어 중요한 군사기점이었던 것을 알 수가 있다. 이곳에서 발견한 곡물은 조산시대의 것으로 추정하는데, 이곳이 중요한 군사적 요새이거나 피신시설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부소산성은 복합 산성형태

 

군창터 건너편에는 또 하나의 표지판이 있는데, 이곳이 부소산성 자리였음을 알려준다. 부소산성은 둘레 2,200m에 면적 약 74만㎡로, 부여 서쪽을 반달 모양으로 휘어 감으며 흐르는 백마강에 접해 있다. 백제 때에는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테뫼식 산성을 1차로 축조하고, 다시 그 주위에 포곡식 산성을 축조한 복합식 산성으로 밝혀졌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사비성이나 소부리성으로 기록되어 있는 이 산성은, 백제 성왕 16년인 538년에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천도하여 멸망할 때까지 123년 동안 국도를 수호한 중심산성이었다. 부소산성은 성왕의 천도를 전후해 쌓은 것으로 보인다.

 

 

모르면 알 때까지 배워야

 

얼핏 지나치기에 적당한 높이로 쌓여져 있는 부소산성. 눈여겨보지 않거나, 안내판이 없다고 하면 그냥 지나치기가 쉬울 듯하다. 어디를 가거나 이곳저곳 두리번거리는 버릇이 생긴 것도, 바로 이렇게 소중한 문화유산 하나를 놓치고 싶지 않아서이다. 그 오랜 시간을 숨죽이며, 사람들의 발길을 가다리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있기 때문에 답사는 즐거운 것이 아닐까?

 

가끔은 아주 무식하게 그 소중한 문화재를 놓치고 마는 때가 있다. 나중에 그곳을 지났으면서도 찾아가지 못했음을 늘 한탄하고는 하지만, 이미 늦은 것을 어찌 할 것인가? 마음이 바빠지기 시작하면서 한 번 지나친 곳을 다시 가기가 어려워진다. 하나라도 더 보아야겠다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 공부를 한 것 같다. 모르고 지나쳤기 때문에, 더 꼼꼼하게 검색을 하고 일일이 기억을 했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그 다음에 그와 비슷한 유형의 문화재를 만나게 되면, 더 반갑기도 하거니와 새로운 것을 하나 알아갔기 때문이다.

 

결국 문화재란 전문가가 아니면, 더 많이 공부를 하고 더 많이 보아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물론 그것도 알지 못하는 무지에서 스스로를 위로하는 생각이겠지만. 길에 서서 마음만 바쁜 사람의 넋두리 정도로 알아두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