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북내면 김원주 작가 작업현장을 찾아가다

 

마을 입구, 혹은 사찰 입구에 보면 부릅뜬 눈에 왕방을 코, 그리고 삐져나온 날카로운 이빨을 하고 있는 기물을 만날 수 있다. 어째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서 있는 장승이라 부르는 이 신표는 지역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장승, 장성, 장신, 벅수, 벅시, 돌하루방. 수살이, 수살목, 수살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이다. 대개는 마을 입구에서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지만, 사찰이나 지역 간의 경계표시나 이정표의 구실도 한다. 장승은 대개 길 양편에 나누어 세우고 있으며, 천지 한 쌍을 세우거나 4방위나 5방위, 또는 경계 표시마다 11곳이나 12곳에도 세우기도 한다. 마을 입구에 선 장승은 동제의 주신으로 섬기는 대상이 된다.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들어 세운다. 나무를 깎아 세우면 목장승이라 하고, 돌을 다듬어 세우면 석장승이라 한다. 장승만 세우는 경우도 있지만, 솟대, 돌무더기, 서낭당, 신목, 선돌등과 함께 동제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이 되기도 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아직 정확하지가 않다. 대개는 고대의 남근숭배설(男根崇拜說)’과 사찰이나 토지의 경계표지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기도 하지만,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일설에는 솟대나 선돌, 서낭당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도 전해진다.

 

 

원래 장승은 절 입구에 세워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경게표시를 하는 표시장승이 시초였다. 그러던 것이 점차 마을을 지키는 수호장승의 역할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장승의 역할은 표시장승, 수호장승, 그리고 길을 안내하는 로표장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승의 복판에는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등 기본적인 대장군이 가장 많지만, 동방청제축귀대장군, 상원주장군 등 마을마다 각기 특징적으로 적기도 한다.

 

장승은 설화나 속담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럴 정도로 우리와는 친숙하다는 것이다. 장승을 잡아다가 치죄를 하여 도둑을 잡았다거나. 판소리 변강쇠타령 등에 보이는 장승에 대한 이야기는, 장승이 민초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척 장승같다거나 벅수같이 서 있다등은 모두 장승의 형태를 빗대어 하는 속담 등이다.

 

<() 강쇠란 놈의 거동봐라 저 강쇠란 놈의 거동봐요. 삼십명 나뭇꾼 앞세우고 납작지게를 걸머지고 도끼는 갈아 꽁무니차고 우줄 우줄 넘어간다. 거들거리며 넘어간다. 이산을 넘고 저산 넘어 산돌아 들고 물돌아 들어 죽림 산천을 돌아들어 원근 산천을 바라보니 오색초목이 무성하다.

마주섰다고 향자목 입마추면 쪽나무요. 방구 꾸며는 뽕나무요. 일편단심에 노간주며 부처님 전에는 회양목 양반은 죽어서 괴목나무 상놈을 불러라 상나무 십리 절반에 오리목 한다리 절뚝 전나무요. 오동지신이 경자로다 원산은 첩첩 태산은 층층 기암은 주춤 낙수는 잔잔 이 골물이 출렁 저 골물이 솰솰 열에 열두골 물이 합수되어 저 건너 병풍석 마주치니 흐르나니 물결이요 뛰노나니 고기로구나. 백구편편 강상비요 낙락장송은 벽상치라>

 

 

변강쇠타령에서 장승이 강쇠에게 굴욕을 당하는 대목이다. 이렇듯 강쇠는 잘 마른 장승만 패다가 불을 놓았다고 한다. 변강쇠의 이런 행동에 전국 장승들이 비상이 걸렸다. 노들 대방장승을 찾아가 하소연을 했더니 장승들이 각각 강쇠녀석의 몸에 병균을 하나씩 심었겠다. 결국 강쇠란 놈은 오만잡동사니 병이 다 들어 죽고 만다.

 

이런 장승이 이제는 우리민초들의 정서에서 마을을 지키고 그 마을에 사는 주민들을 지켜준다는 소석이나, 간절함을 기원하는 신앙물로 자리 잡았다. 14, 여주시 북내면 상교라에 거주하는 김원주 작가를 찾았다. 작업실 앞에서 굵은 나무에 장승을 파고 있다. 험상궂은 눈과 이빨, 금방이라도 나무를 벗어나 호령을 할 것 같은 모습이다.

 

이 장승들이 다음 달 경기도 파주로 옮겨져 통일을 염원하는 장승으로 세워진다고 한다. 김원주 작가는 전국 곳곳에 많은 장승을 세웠다. 그동안 곳곳에 세운 장승만 해도 꽤 많은 양이다. 김원주 작가의 장승은 힘이 넘친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무엇인가 원을 들어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여주에서 조형한 장승이 북과 마주하고 있는 파주로 가서 그곳을 지킨다고 하니 장승이 남달라 보인다. 작업을 마치고 파주로 가서 세워질 장승을 기대한다. 이 장승이 세워지면 남과 북이 마음대로 왕래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장승이 원을 들어줄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