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에 소재한 통도사. 영축산에 자리한 ‘영축총림’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사찰’이다. 우리나라의 삼보 사찰은 ‘법보사찰’인 합천 해인사, ‘승보사찰’인 순천 송광사, 그리고 불보사찰인 통도사이다.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절이다.

통도사를 불보사찰로 부르는 것은,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와 승복의 하나인 가사를 모신 사리탑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을 모시고 창건하였기 때문에, 창건 초기부터 중요한 절로 불보사찰이라는 삼보사찰 중 한 곳으로 이름을 떨쳤다.


용화전 앞에 서 있는 탑의 용도는?

통도사 용화전 앞에 서 있는 ‘봉발탑’이라 하는 이 탑은, 보물 제47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전국 어디를 돌아보아도 이런 형태의 탑은 전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 탑의 용도에 관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그 용도에 관한 정확한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 봉발탑의 용도가 석가모니의 옷과 밥그릇을, 후천세계의 미륵부처가 이어받을 것을 상징한 조형물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미륵부처님은 후천세계의 부처님이다. 불교적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인 ‘미륵불(=Maitreya)’이다.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열반하신 후, 56억 7천만년이 지나서 이 세상에 나타날 부처님을 말한다.



이 미륵부처님은 현재 도솔천 내원궁에서 보살로서 존재해 있으며, 이미 수기를 받은 부처님이다. 현재는 도솔천을 주재하고 설법을 하기 때문에 ‘미륵보살’이라 칭하지만, 인간의 사바세계로 내려오면 ‘미륵불’로 불러지게 된다.

스님들이 사용하는 발우를 닮은 탑

이 봉발탑은 불교를 조금만 알고 절을 드나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스님들의 공양 그릇인 ‘발우’와 같은 모습이다. 탑의 기본 형태는 받침부분 위에 뚜껑이 있는 큰 밥그릇을 얹은 듯한 형태이다. 이 발우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모두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랫부분의 둥근 기단석과 간주석, 그리고 발우를 받치고 있는 윗부분이다.



아래받침부분은 연꽃으로 화려하게 조각이 되어있다. 아래받침에는 둥그런 형태에 기둥이 표현되어 있어, 이것이 땅을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마치 땅과 부처님의 연화세계를 잇는 간주석을 둔 것이란 생각이다. 그 위 부분은 간주석으로 잘록한 형태이다. 이 간주석은 네모나게 조형을 하였으며, 모서리 부분을 다듬어 부드럽게 표현을 하고 있다. 그리고 맨 위 상대석은 앙화가 크게 조각되어 있다.

고려 이전에 조성한 탑으로도 보여

맨 위에 올려놓은 발우는 뚜껑과 높은 굽 받침이 있는 그릇 모양의 석조물이다. 연꽃조각이나 받침부분의 기둥 양식 등으로 보아, 이 봉발탑의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이러한 모형의 탑이 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이전의 작품으로도 보인다. 일반적인 동 시대의 그릇 모양을 한 조각물과는 품격의 차이가 보이기 때문이다.



후천세계의 부처님인 미륵불의 밥그릇이라는 통도사 봉발탑. 7월 11일 통도사에 스님들의 공양을 준비하러 갔다가 용화전 앞에서 만나본다. 벌써 서너 차례나 본 봉발탑이다. 그리고 그 때마다 이 탑을 보면서 생각을 한다. 아마 어느 날 아침 저 봉발탑의 밥 그릇 뚜껑이 열리면, 그 날이 미륵부처님이 이 땅에 나투시는 것은 아니실까 하고.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를 들어가다가 그 입구에 보면 좌측에 작은 전각이 하나 서 있다. 얼핏 보기에도 꽤 오래됨직한 이 전각 안에는 돌미륵이 한 기 서 있다.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마을 주민들의 말로는 천지가 개벽할 당시부터 있었다고 한다. 천지개벽이란 말에 조금은 의아스럽기도 하지만, 그만큼 오래되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금산사의 개산대제를 보기 위해 들어가는 길에 미륵당 안을 들여다보았다. 아침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다년 간 듯, 여러 개의 촛불들이 커져있다. 그리고 지나는 행인 한 사람이 절을 하더니 돌미륵에 손을 대고 한참이나 기도를 한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상당히 효험을 보았다는 소문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고 있다.


금산사 입구에 있는 할머니당과 안에 모셔진 돌미륵입상

‘예전에는 이곳이 바다였지’

마을에 사시는 분들에게 미륵당에 대해 물어보아도 잘 모르시겠다는 이야기다. 하기에 이곳이 상업지역이 되다보니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와 살기 때문인가 보다. 올해 연세가 79세가 되셨다는 토착민 한 분을 만날 수 있었다.

“이 미륵당을 마을에서는 무엇이라고 부르세요?”
“그냥 돌할머니라고 불러”
“언제부터 있었는지 아세요?”
“잘 모르지 내가 어릴 적에도 있었고, 그 이전 할아버지 때도 보았다고 하니 상당히 오래 묵은 것은 알지”
“그런데 왜 할머니라고 하세요?”
“그러니까 저 할머니가 뱃사공이라는 거야. 내가 보기엔 할아버지 같은데. 뱃사공이 바다에 나가서 죽었는데, 그 넋이 저 돌이라는 거지”
“할머니가 뱃사공 노릇을 했나요?”
“나도 그것이 이상해. 남자도 아닌 여자가 뱃사공을 했다는 것이. 그래도 어른들이 그렇게 불렀으니까”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치성을 드린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그냥 흘러 온 이야기로 할머니이고, 예전에 뱃사공이었다는 것이다. 금산리 금산마을은 얼마 전까지도 땅을 파면 땅속에서 배가 썩은 나무 조각들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이 바다였기 때문이란다.

“돌미륵이 정말 영험합니다.”

한 칸으로 마련된 전각의 창호로 안에 켜놓은 촛불의 불빛이 흘러나온다. 문을 열고 보니 한 분이 열심히 절을 하고 난 후, 미륵에 손을 대고 기도를 하고 있다. 사진을 찍기도 죄스러워 한참이나 기다리고 있다가 물어보았다.

“이곳에 자주 오시나요?”
“아닙니다. 저는 처음인데요. 소문을 들어보면 이 돌할머니가 상당히 영험하다고 해서요”
“무엇을 빌고 계시던데...”
“예, 아픈 사람이 있어서 얼른 낫게 해달라고 빌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미숙한 솜씨를 보이고 있어,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높이가 1m 80cm 정도 되는 돌미륵의 머리는 원래의 것이 아닌 듯하다. 목 부분에 새로 얻은 머리가 떨어지지 않도록 시멘으로 발라놓은 흔적이 있다. 오른 손은 가슴에 올리고 왼손은 아래로 내렸다. 법의는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가슴께서부터 주름이 잡혀있다. 그러나 왼손으로 옷을 잡아 올린 듯, 허리 아래쪽에서는 주름이 -자로 표현이 되었다.

아래는 바닥에 시멘으로 발라놓아 자세히 알 수가 없어, 발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 전체적인 조각의 형태로 볼 때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생김새가 무엇이 그리 중요하랴.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어 빌고 갔으면, 그것으로 마음의 위로를 얻었을 텐데.

석불입상 앞에 켜 놓은 촛불.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 있다.

많은 곳에 마을에서 섬기는 미륵이 있다. 미륵골, 미륵당, 부처울, 부처골 등의 지명이 있는 곳이 바로 돌미륵들이 서 있었던 곳이다. 후천세계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상향이라는 돌미륵. 어쩌면 금산마을의 미륵 역시 그런 사람들의 마음이 표현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타고 있는 수많은 촛불들이 있어 마음 한편이 따스해 지는 것도, 나 역시 이상향을 기다리기 때문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