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행궁은 정조의 효심이 담긴 궁이다. 행궁의 문인 신풍루를 들어가면 좌우로 군영이 있고, 우측 군영을 들어가는 협문 앞에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다. 속을 다 비워버린 수령 600년의 이 느티나무는, 행궁을 세우기 이전부터 있었다고 한다. 높이 30m에 둘레가 6m나 되는 거목이다.

이 나무는 화성 성역 이전부터 서 있던 나무로, 수원을 지키는 신령한 나무라고 한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영목(靈木)’ 또는 ‘규목(槻木)’ 혹은 ‘신목(神木)’이라고 부르며, 이 나무를 해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나뭇가지라도 하나 건드리면 벌을 받는다는 것이다.


화성 행궁 안에 자리한 정자인 미로한정과 수령 600년인 지난 느티나무인 영목(아래)

사람들의 염원을 가득 달고 있는 느티나무

사람들은 항상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고 한다. 이 느티나무는 이미 수령이 600년 이상이 되었지만, 큰 가지는 고사에서 또 다시 가지를 쳐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1982년 경기도 보호수로 지정이 된 이 느티나무는, 화재로 인해 훼손이 되었다. 수원시에서는 2003년 5월에 대대적인 나무살리기로 수술을 감행해,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정월에 행궁을 들린 수많은 사람들은 이 나무에 소원지를 걸어놓는다. 누구는 가족의 건강을, 또 누구는 사업의 번창을, 그리고 어떤 이들은 합격을 빌기도 했다. 결혼을 갈망하는 사람들도 있고. 부를 축적하기를 바라기도 한다. 나무에 손을 대고 간절히 빌면, 그 모든 것이 다 이루어진다는 나무이다. 아마 이산 정조도 이 나무에다 손을 대고 강력한 왕권을 이루기를 빌지는 않았을까?

늙어서 쉴만한 정자, 미로한정

미로한정(未老閒亭), 행궁의 뒤편 팔달산에 자리하고 있는 작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육면정(六面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작은 정자가 육각형으로 생겼기 때문이다. ‘미로한정’이란 뜻은 나중에 늙어 한적하게 쉴만한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정조 14년인 1790년에 단 칸으로 지은 정자이다.



미로한정은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 뒤편에 나 있는 득한문을 통해서 접근을 할 수가 있다. 득한문을 나서 팔달산으로 조금 오르면, 우측에는 초병들이 지키고 있는 내포사가 있고, 그보다 약간 높은 곳 남쪽방향에 자리한다. 단 한 칸으로 된 정자는 그렇게 홀로 한가롭게 서 있다. 이 정자를 돌아보면, 정조 이산이 화성행궁에 얼마나 많은 애착을 갖고 있었는가를 알 수가 있다.

노후를 생각한 정조의 뜻이 담긴 정자

미로한정의 뒤편으로는 팔달산으로 오를 수 있는 작은 협문이 담장에 나 있다. 그 위로 비탈이 진 길을 오르면, 바로 서장대로 오를 수가 있다. 그런 자리에 미로한정을 지은 정자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아마도 정자의 이름을 보아도 알 수 있듯, 정조는 노후에 이곳에 자리를 잡고 싶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궁에 있는 정자들은 화려하다. 그러나 이 미로한정은 앞쪽을 댓돌을 놓아 트고, 남은 부분은 모두 난간을 둘렀다. 난간도 화려하지가 않다. 마루를 깐 한 칸의 작은 정자. 그 협소한 모습에서 정조 이산의 마음을 읽어내려 힘쓴다. 아마도 시종도 거느리지 않고 이곳에 올라, 홀로 상념에라도 잠기고 싶었을 것이다. 자신이 이루어야할 강한 왕권에 대한 깊은 마음을 이곳에서 정리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미로한정은 그런 정조가 자신만의 공간으로 마련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작지만 훤히 트인 앞을 내다볼 수가 있고, 팔달산의 기운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곳. 복원 된 미로한정에 사용 된 옛 주춧돌이, 더욱 마음을 아프게 만든다. 끝내 이루지 못한 정조의 깊은 뜻 때문인지. 1월 29일 찾은 미로한정. 주변으로는 찬 바람을 맞으며, 철모르는 풀들이 벌써 땅을 밀고 올라오고 있다

외국에는 자신들의 문화콘텐츠를 이용해 많은 이득을 창출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무한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의 경우 자신들의 역사적인 문화재 등을 갖고, 그곳에서 이야기꺼리를 도출해 연극이나 영화로 제작,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한다.

24반 무예 시범. 화성 행궁 앞. 수원화성운영재단 자료


우리나라는 역사가 오래된 나라이다. 세계 어느 곳에 견주어도 자랑할 만한 유구한 문화와 문화재를 갖고 있다. 그러한 문화재를 이용한 문화콘텐츠의 활용은, 우리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어느 나라나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있다. 아주 작은 책 한 권으로도 세계적인 명소로 발 돋음 한 곳도 있다.

화성과 화성문화재는 대단한 자원

수원 화성은 세계문화유산이다. 화성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축성한 성이라고 한다. 그 성을 보러 수원을 찾는 사람들도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화성의 유명세만큼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늘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만든다. 화성을 찾아오는 외국인들이 화성일부를 돌아보고, 행궁에 들린다.

행궁에서는 주말이면 신풍루 앞에서 각종 공연이 펼쳐진다. 또한 3월부터는 매일 무예24기를 볼 수 있으며, 장용영 수위의식 등도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제는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정조대왕의 능행차 연시도 한 몫을 거들고 있다.

그러나 이 많은 행사들이 과연 문화컨텐츠 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확언이 서질 않는다. 우리나라에 문화컨텐츠산업이 새로이 부각하기 시작한 것은 1999년부터이다. 문화산업은 200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연평균 21.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사진은 단편소설 '드라큐라'의 저자 <브램 스토커-다음 검색에서 인용한 사진)

이러한 성장률은 2001년~2002년 상반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6.1%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문화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각 지자체마다 자신들의 문화를 이용한 문화산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각종 문화콘텐츠는 지역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안동하회마을에서 열리는 탈 축제, 진주 연등축제, 3일간 열리는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일원을 연결하는 뽕할머니 바닷길 축제, 그리고 강릉의 단오제 등이다.

이 축제들은 이제 문화콘텐츠로 자리를 확실히 잡고 있으면서, 지역 수입원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 축제들을 보면 모든 것이 연계가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성과 화성문화재의 볼거리는 연계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점을 감안해 더 질 좋은 상품을 창출해 내지 않는다면, 세계 최고의 문화유산을 갖고 있는 화성의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 속에 나오는 이름일 뿐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가 브램 스토커의 단편소설의 책 이름일 뿐이다. 하지만 그 흡혈귀 드라큐라는 수많은 소재로 발전하면서 TV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가 아니라, 좀 더 매력적이고 섹시한 모습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좌측 사진은 토드 브라우닝 감독의 드라큐라 포스터 - 다음 검색 사진 인용)

중국 항주의 ‘송성가무쇼’는 송나라 때의 전설과 역사를 표현한 공연으로, 이제는 세계 3대 공연 중 하나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쇼의 영어 제목은 ‘The Romance of the Song Dynasty’이다. 약 천 년 전 송조의 고도 항쪼우를 중심으로 한 신화와 전설, 자연 그리고 애뜻한 사랑 이야기와 치열했던 전쟁 등을 4개의 단막극으로 연출한 작품이다. <宋城千古情>이란 이 가무쇼는 그 규모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이 관객을 압도한다. 450명의 출연진이 한번에 3,000명이 관람할 수 있는 대형극장에서, 일 년 내 공연하는데도 연일 좌석이 만석이라고 한다.

중국 광쩌우의 극 '송성천고정'의 포스터 - 홈페이지 사진 인용


이런 점을 볼 때 화성과 행궁을 모티브로 삼아 이야기 줄거리를 엮어 상품을 만든다고 하면,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제는 판에 박은 공연보다는 좀 더 질 좋은 많은 문화콘텐츠를 개발해, 지역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주) 이 글은 '수원인터넷뉴스'에 실린 칼럼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