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시()와 서(), 그리고 그림(=)은 선비정신의 표상이었다. 이 세 가지를 떼어놓고는 문인예술을 논할 수 없을 정도였으니, 세 가지가 한데 어우러져 일치된 경우를 삼절(三絶)’이라 했다. 23일 오후 3시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에 소재한 수원박물관(한국서예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는 200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 , 화의 향연개막식을 가졌다.

 

이번에 전시회를 연 이 , . 화의 향연은 일찍 전시가 기획되어 있었지만, 진도 앞바다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해 그동안 미루어 왔던 기획전이다. 한국서예박물관이 주최를 하고, 수원문화원이 주관을 한 이 전시회 개막식애는 원로시인인 고은 시인을 비롯해, 염상덕 수원문화원장, 임병호 경기시인협회장, 김우영 수원시인협회장, 김정수박물관 사업소장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산수화 시인들 대거 참여

 

이번 기획전은 수원, 화성, 오산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시인 50명의 심상을 그린 창작시를, 서예와 문인화가들 50명이 맡아 서화를 그렸다. 시인 한 사람이 무두 2작품씩을 제출하여 추첨으로 선정한 시화 작가들 50명이 맡아서 작업을 한 것으로, 모두 100점의 묵향 가득한 서화작품으로 거듭나게 된 것.

 

이번 전시를 위해 수원시인협회에서 시인 50명을 선정하고, 서화가 3명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에서 서화가 50명을 각각 선정하여 작업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서화가 나타나는 시각적 조형미와 시어가 전하는 함축된 뜻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이번 , , 화의 향연은 기획전시실에서 622일까지 한 달간 전시를 갖는다.

 

 

오늘 이렇게 삼절의 아름다움을 감상 할 수 있는 좋은 전시회를 갖게 되어 정말 반갑습니다. 수원을 비롯해 화성과 오산 등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많은 시인들과 서화가들이 함께 작업을 한 것도 처음이지만. 이렇게 100점이나 되는 많은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도 큰 행복입니다. 대단한 기획전을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오산에서 구경을 왔다는 경아무개(, 44)는 꼼꼼하게 보고 가겠다면서 휴대폰으로 일일이 촬영을 하고 있다. 함께 왔다는 이아무개(, 45)

정말 대단한 구경을 하고 갑니다. 앞으로 이런 기획전이 더 많이 열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렇게 수원에서만 할 것이 아니라, 화성과 오산에서도 이 기획전이 연이어 열렸으면 좋겠습니다.”라고 하기도.

 

 

고은시인 서장대에서등 수원관련 시 출품

 

시작에는 꼭 다음의 시작이 있으리라

해가 저문다

그 많은 것들에 사로잡혀 떠돌기보다

하나나 둘과 함께

고스란히 마음 드러내고 사는 삶 들이

저마다 이름 없는 불빛을 밝힌다.

 

고은 시인의 서장대에서 앞머리 부분이다. 고은 시인은 서장대에서와 원천호수에서등 두 편의 시를 출품했다. 고은 시인의 시는 근당 양택동 서화가가 글씨를 썼다. 수원시인협회장 김우영은 부석사 가는 길길 위에서두편을 출품하고, 글씨는 도암 김병학이 맡아서 썼다.

 

 

이렇게 시인 50명의 시를, 서화가 50명이 맡아서 글과 그림을 그렸으며, 이 작품들은 전시를 마친 뒤 한 편은 시인이, 한 편은 글과 그림을 맡아서 작업을 한 서화가가 소장하게 된다고 한다. 모처럼 지역에서 만날 수 있는 50명의 시인과 50명의 사화가가 작업을 한 , , 화의 향연’. 많은 분들이 수원박물관을 찾아 그 멋에 흠뻑 취해보기를 권유한다.

겨울에 가장 만나고 싶은 문화재들은 역시 천연기념물이다. 아무리 날이 춥다고 해도, 소나무 종류의 천연기념물들은 언제나 그 푸른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날이 춥다. 갑자기 기온이 떨어져서인가 움직임이 영 둔하다. 이런 날 가만히 집안에만 있자면 갑갑증이 인다. 가까운 곳이라도 답사를 할 작정으로 길을 나섰다. 여주에서 이포대교를 지나 이천으로 가다 보면, 우측으로 '산수유마을'이라는 이정표가 나온다.

 

이천 백사면의 산수유마을은 수도권에서는 나름대로 유명한 곳이다. 봄이 되면 많은 인파가 노랗게 핀 산수유를 보기 위해 몰려드는 곳이다. 아마도 이제 머지않아 이 마을은 또 한 번 홍역을 치루어야 할 것만 같다. 몰려드는 인파로 인해. 백사면 면소재지에서 서쪽으로 2km 정도 떨어져 있는 산수유 마을로 들어가다가 보면, 좌측 밭 가운데 키가 낮은 소나무 한 그루가 옆으로 넓게 퍼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승천하고 싶은 소나무인가?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1호 반룡송. '반룡송(蟠龍松)'은 하늘을 오르기 전, 땅에 서리고 있는 용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소나무를 일 만년 이상 살아갈 용송이라 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부른단다.

 

가까이 다가서 본다. 중앙에 본 가지가 있고, 그 위로 환상적인 가지들이 용틀임을 하고 있다. 180° 로 둥글게 말아가면서 퍼져나간 가지는, 금방이라도 하늘로 승천을 할 것만 같다. 신라 말 도선스님이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과 이천 도립리에서 큰 인물이 날 것이라며 심었다고 한다. 마을에 전해지는 반룡송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

 

 

껍질을 벗긴 사람이 병을 얻어 죽었다거나, 반룡송 밑에 떨어진 솔잎을 긁어다가 땠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돋았다는 이야기 등이다. 반룡송은 그만큼 신비한 나무로 알려져 있어, 아무도 손을 대지 않는다. 특히 나무의 표피가 붉은 색을 띠우고 있어서, 이 표피를 마을에서는 용비늘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 비늘을 건드리는 것도 화를 불러오는 짓이라고.

 

신비함을 가득 담아낸 수령 1,100년이 지난 소나무

 

높이 4.25m, 가슴높이 둘레는 1.83m다. 높이 2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졌다. 땅속에 묻혀 자란 또 다른 가지는 흡사 중앙에 머리를 둔, 꼬리처럼 보이기도 해 신비감을 더한다. 이 꼬리부분이 있어서 반룡송이 하늘로 승천을 해 버릴 것만 같다. 얼핏 보아도 단순한 소나무이기보다는, 무엇인가 신비한 힘을 가진 특별함이 있다.

 

 

찬 날씨도 잊어버리고 몇 번이고 주위를 돈다. 저녁 햇볕이 가지 틈 사이로 들어오니, 솔잎들이 황금빛으로 변한다. 그래서 일몰 전에 반룡송을 보면 승천을 하는 용을 볼 수 있다고 했는지. 금방이라도 햇볕 사이로 승천을 할 듯한 모습이다.

 

현재 이천 9경중에서 제6경으로 꼽는 백사 도립리의 반룡송. 도선스님은 통일신라시대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신라 흥덕왕 2년인 827년에 태어나 효공왕 2년인 898년에 세상을 하직했다. 그렇다면 이 반룡송의 수령은 이미 1100년 이상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숱한 세월을 이곳을 지켜 온 반룡송. 앞으로 용송으로 만년을 살 수 있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돌아보다가 보니 여기저기 마른 나뭇잎들이 보인다. 나이가 먹어 스스로 잎을 떨어뜨리는 것인지, 아니면 생육상태가 나빠진 것인지 걱정스럽다. 반룡송을 떠나기 전, 돌아서면 금방이라도 하늘로 솟아 승천을 할 것만 같아 몇 번이고 뒤를 돌아다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