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사터라고 전하는 홍천 물걸리 사지. 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보물 5점이 옛 절터를 지키고 있다. 1967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출토 유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 고려시대 철불 파편 4, 철쇄 파편 2, 암막새 4, 수키와 조각 6, 암키와 조각 6점 등이 발굴되었다.

 

또한 청자 조각 4, 토기 조각 5, 조선시대 백자 조각 7점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1호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 대좌, 보물 제544호 대좌 및 광배, 그리고 보물 제545호인 삼층석탑이 옛 절터에 보존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물걸리 사지는, 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이곳에 절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이곳은 사지 앞에 대승사라는 절이 들어서 관리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의 석조여래좌상

 

이 물걸리 사지 동편에 마련한 전각. 그 안에는 4기의 보물이 보관되어 있다. 그 중 보물 제541호로 지정이 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얼굴은 마멸이 심해 세세한 표현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전체적은 형태의 모습에서 이 여래좌상이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이 되었음을 쉽게 알 수가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의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은 듯하다.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 묶음인 육계가 펑퍼짐하게 솟아있다. 법의는 양 어깨에 걸치고 있고, 가슴에는 띠 모양의 매듭을 단정하게 묶은 것이 보인다. 어깨는 둥글지만 두텁고 투박하게 보인다.

 

 

광배가 사라져버린 이 석조여래입상은 상체는 8세기 불상에 비해 평판적이고 왜소한 편이다. 그런 표현을 하다가 보니, 당당한 양감이 사라져버린 모습이다. 손은 오른손을 무릎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하여 무릎 위에 올렸다. 이런 수인은 항마촉지인으로 부처가 깨달음에 이른 순간을 상징한다. 이러한 수인으로 보아 이 석조여래좌상은 석가모니 부처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얼굴은 마모가 심해 자세히는 알 수가 없으나, 눈과 코, 입이 적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얼굴모습은 통일신라 후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통일신라 전기에 비해 양감면에서 뒤처지고 있다.

 

 

여러 마리의 팔부중상과 가릉빈가로도 부족했소?

 

불상이 앉아있는 불대좌는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있다. 오랜 세월 풍상에 씻기면서 조금은 마모가 되기도 했지만, 문양 등을 정확하게 알아볼 수가 있다. 이 불대좌는 상, , 하대로 구분되어 있다. 8각형으로 조성된 하대에는 각 면마다 무늬가 있고, 향로와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가 새겨져 있다.

 

가릉빈가와 향로는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부조로 조각하였다. 중대석은 아랫돌에는 커다란 앙화의 끝에 귀꽃을 새겨 넣어 멋을 더했다. 그리고 8각의 각 면에는 팔부중상을 돋을 새김하였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팔부중상의 흔적은 많이 마모가 되어, 정확한 표정이나 행동등을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다.

 

 

상대에는 활짝 핀 모양의 여러 장의 연꽃무늬를 겹쳐 새겨져 있다. 마모로 인해 신체표현을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둥근 얼굴에 눈, , 입이 작고 신체가 두텁고 투박한 점과, 불대좌에 많은 장식을 한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 이후의 전형적인 석불의 양식을 보여주고 작품이다.

 

가릉빈가와 팔부대중, 그리고 향로와 연꽃 등. 비록 섬세한 표현은 아니라고 해도, 많은 문양 등을 이용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아마도 광배가 남아있었다고 한다면, 그곳에는 화불과 넝쿨문양 등을 조각했을 것이다. 사라진 한 부분이 상당히 아쉽게 느껴지는 것은, 역시 문화재란 처음 모습 그대로를 만날 대 가장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사지란 예전 절이 있던 곳이다.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절터가 있다. 지금은 비록 절은 사라졌지만, 옛 흔적이 남아있는 곳들이다. 그 많은 절터 중에서 가장 잊지못하는 곳이 바로 물걸리사지이다.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에 가면 사지 한 곳에 보물 5점이 있는 곳이 있다.

 

강원도 기념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홍천 물걸리 사지. 이 절터는 정말 알다가도 모를 곳이다. 이 물걸리사지에는 보물 제541호 석조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인 불대좌, 보물 제544호 불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5호인 3층 석탑이 있어 강원도 내에서는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절터이다.

 

 

옛 기록을 알 수 없는 물걸리사지

 

이곳에 어떤 절이 있었는가는 모른다. 다만 절은 흔적이 없고, 보물 5점이 남아있을 뿐이다. 전하는 말에는 홍양사터라고 하지만 그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1967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출토 유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 고려시대 철불파편 4, 철쇄파편 2, 암막새 4, 수키와 조각 6, 암키와 조각 6점 등이 발굴되었다.

 

또한 청자 조각 4, 토기 조각 5, 조선시대 백자 조각 7점이 있다. 문화재로는 석조여래좌상(보물 제541),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542), 대좌(보물 제543), 대좌 및 광배(보물 제544), 삼층석탑(보물 제545)이 지정, 보존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물걸리사지는 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절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호각 안에 자리한 보물

 

절터에서 발굴이 된 많은 유물들은 1982년에 보호각을 짓고, 3층 석탑을 제외한 4구의 보물을 보호각안으로 모셔 놓았다. 절터에서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석조물 들이 발견이 된 것과, 한 곳에 4기의 대형 석불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절집의 규모가 상당히 컸던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보물들이 이곳에 있었던 것일까?

 

홍천에서 44번 도로를 이용해 인제로 가다가 보면 철정검문소가 나온다. 그곳에서 우측 다리를 건너 내촌면 소재지를 향하다가 보면 경치가 그만이다. 내를 끼고 여기저기 전원주택들이 보인다. 물걸리는 학교를 지나 좌측으로 꺾어 마을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좁은 길은 겨우 차가 드나들만하다. 안으로 들어가니 보호각이 한 동 서 있고, 마당에는 석탑 한 기가 보인다.

 

 

흔적 없이 사라진 절

 

안내판을 보니 물걸리사지라고 적혀있다. 보물이 다섯 점이나 있다니, 어찌하여 이리 큰 절이 흔적도 없이 석불과 불대좌, 석탑과 석물들만 남기고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을까? 마당 한편을 보니 석물이 놓여있다. 그 규모를 보아도 이곳이 상당히 번성했던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 절집 이름마저 전하지 않는 것일까?

 

통일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이곳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면 어디엔가 사지(寺誌)라도 있지 않을까? 궁금한 것이 하나, 둘이 아니다. 보호각 안으로 걸음을 옮긴다. 석불 2기와 불대좌 2기가 있다. 모두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는데, 통일 신라 후기의 것이라고 한다. 석물들이지만 그 조각 수법이 정교하다. 하나하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보낼만하다.

 

천년 넘게 온갖 비바람에 마모가 되었을 텐데 저리도 그 형상이 남아있다니. 참으로 우리 문화재 하나하나가 왜 소중한 것인지 알 것만 같다. 석불 앞에 누군가 절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옛 절은 어디로 가고, 어찌 그 오랜 풍상 이렇게 석조물들만 온전히 보존이 될 수 있었을까?

 

그런데도 이 절터에 있던 절이 무엇인지, 그 규모가 어떠했는지 모른다고 하니, 우리의 기록문화가 왜 그토록 허술했는지 답답하기만 하다. 수많은 문화재가 잇는 나라, 그리고 스스로 문화대국임을 자랑하는 나라. 그러나 정작 자신의 소중한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조차 못하는 나라. ‘물걸리사지를 떠나면서 마음만 아프다.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가끔 볼멘소리를 듣기도 한다. 하기야 내가 문화재 담당자가 아니니, 그런 소릴 들었다고 무엇이라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일일이 우리 문화재가 얼마나 소중한 가를 이야기하다가 보면, 실실 울화가 치밀 때도 있다. 막무가내로 돌덩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열을 올리는 사람들 때문이다.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장남리 681번지에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호인 장남리 삼층석탑이 소재한다. 인제에서 홍천으로 오다가 보면 군계를 벗어난 고개에서 조금 내려와, 삼층석탑의 사진을 곁들인 안내판이 서 있다. 그 안내판을 보고 찾아들어간 장남리 삼층석탑. 그러나 몇 번을 이리저리 돌아서 겨우 만날 수가 있었다.

 

 

그 땅 꼭 그렇게 차지하고 있어야 하나요?”

 

장남리로 들어가 길에서 만나는 사람마다 붙들고 물어본다. 어디로 이렇게 가면 있다는 삼층석탑. 길에서 보인다고 하는데 정작 탑은 찾을 수가 없다. 몇 번을 그 앞으로 지나쳤으면서도 볼 수가 없었다. 탑은 작고 그 앞에 나무 한 그루가 풍성하니 탑을 막고 있어, 길에서 보인다는 탑은 보이지가 않기 때문이다. 탑이 있는 곳으로 들어가니 한 사람이 곁으로 와 이야기를 한다.

 

저 탑을 치울 수 없어요?”

탑을 치우다뇨.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탑이냐고 어디 탑 같지도 않은데 땅만 잔뜩 차지하고 있잖아요.”

, 그래도 소중한 우리 문화재이니까요

그래도 꼭 그렇게 넓은 땅을 사용도 못하게 만들어야만 하나요?”

아마도 이곳이 옛날 절터라 보존을 해야 하나 보네요. 그리고 문화재는 보물이 되었건, 이렇게 작고 볼품없는 탑이 되었건 다 소중한 것입니다

 

 

말을 마치고 보호철책 안으로 들어가 사진을 찍으면서도 영 기분이 찝찝하다. 물론 땅 주인이야 문화재 하나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땅을 넓게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다.

 

나 그래도 문화재야

 

전국을 다니면서 국보와 보물 등으로 지정이 된 수많은 석탑들을 보았다. 그 중에는 정말로 그 아름다움에 눈물이라도 날 것만 같은 것들도 보았다. 그런가하면 문화재 답사를 하는 나로서도, 이런 문화재도 있구나 할 정도로 초라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소중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문화재는 다 그 나름대로 그 시대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남리 삼층석탑은 온전한 것은 하나도 없다. 주변에 흩어져 있던 석탑의 각 부재들을 수습하여 쌓아 올린 것이기 때문이다. 탑의 높이는 전체가 1.3m 정도로,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맨땅 위에 막돌과 기다란 돌 2개를 깔아 바닥돌을 삼고, 그 위에 아래층 기단, 위층 기단, 탑신의 1층 몸돌과 지붕돌 3개를 차례로 올려놓았다.

 

기단부 이하의 석재들도 제짝이 맞지를 않아 정리가 되어있지 않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2개씩의 안상을 새겼으며, 일층 몸돌에는 양편에 양우주를 조각하였다. 두툼한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위로 치켜져 올라갔으며, 지붕돌의 밑면에는 2단의 받침을 두었다. 고려시대 후기 석탑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장남리 삼층석탑. 비록 특별한 것도 없고, 제대로 부재가 맞지를 않아 볼품없는 모습이긴 하지만, 그래도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석탑이다.

 

 

문화재를 답사할 때마다 종종 마음이 아픈 것은, 이런 문화재라고 하여서 푸대접을 받는 일이다. 그러나 장남리 삼층석탑은 주변정리가 잘 되어있고, 넓은 대지에 보호철책을 만들어 놓아 그나마 위안이 된다. 언제나 우리 문화재가 모든 사람들에게서 온전히 제대로의 대접을 받으려는지. 하루 빨리 그런 날이 오기만을 기다린다.

사자란 갈기를 세우고,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 보이는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그런 사자가 아니라 모나지 않은 얼굴로, 네발을 딛고 상체를 세운 체 앉아있는 모습에서 오히려 친근감이 든다.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홍천읍사무소 앞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540호인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의 모습이다.

 

이 탑은 원래 홍천군 두촌면 괘석리에 있던 탑이었으나, 1969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네 마리의 돌사자가 있어 ‘4사자탑이라 부르고 있다. 사사자탑은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제천 빈신사지 사사자 삼층석탑과 경남 한안군 주리사의 탑 등이 유명하다.

 

 

뛰어나지 않고, 소박한 사사자탑

 

홍천 희망리의 사사자 삼층석탑은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을 조각하였다. 그 안에는 꽃무늬조각이 장식되어 있어, 이 탑이 고려시대의 석탑이라는 특징이 잘 담겨 있다. 위층의 기단에는 각 모서리에 돌사자 한 마리씩을 두어 넓적한 윗돌을 받치게 하였는데, 이러한 형태가 사사자 삼층석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사방을 비스듬히 밖으로 바라보고 있는 사자들이 둘러싸고 있는, 중앙의 바닥과 천장에는 연꽃받침대가 놓여 있다. 아랫면에는 무엇인가 놓여있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고 있던 석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층 기단에 놓인 네 마리의 사자는, 많이 마모가 되어서인지 모나지 않고 오히려 친근한 모습이다.

 

 

강원지역 고려 탑의 형태를 구루 갖춰

 

아래 기단이 네 마리의 사자를 표현하느라 넓게 자리한데 비해, 탑신부는 좁게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새겼고, 가파른 경사면 탓인지 얇고 밋밋하다. 네 귀퉁이는 살짝 위로 치켜져 올렸으며, 탑의 꼭대기인 상륜부에는 머리장식으로 네모난 노반만 남아 있다.

 

몸돌에는 양 우주를 새겼으며, 지붕돌은 전체적으로 곳곳에 파손된 부분이 있다. 세월이 흘러 닳은 흔적이 보이지만, 대체로 원래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탑이다. 기단에서 보이는 안상 조각수법과 네 마리의 돌사자, 연꽃받침 및 지붕돌의 3단 받침 등에서 고려시대 후기 강원지역 석탑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

 

 

사사자의 중앙에 있던 석불은?

 

49일 오후 6시가 다되어서 홍천읍에 도착을 했다. 마음이 바쁜 탓에 아는 길도 이리저리 돌아야 하다니. 늦은 시간 답사는 괜히 사람의 마음을 분주하게 만든다. 그래도 겨울보다는 해가 한결 길어지는 바람에, 조금은 느긋하다.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을 볼 때마다 아쉬운 점은, 바로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고 있던 무엇이다. 그 중앙에 보면 자국이 나 있는데, 도대체 어떤 석불을 모셨던 것일까? 그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아마도 지장보살을 그 안에 모셨던 것은 아니었을까?

 

 

탑의 주인이 된다는 사사자 삼층석탑의 중앙에 모셔졌던 석불. 앞으로 이 사사자 삼층석탑을 몇 번을 더 만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그 안에 혹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던 석불의 존재를 알아낼 수 있으려는지. 온전치 못한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늘 가슴 한편이 허전하다.

홍천에 있는 공작산은 해발 887m로 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산세가 마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모습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한데, 홍천읍에서 바라보면 거인이 하늘을 향해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작산은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단풍이 매우 아름다우며 기암절벽과 분재모양의 노송군락, 그리고 눈 덮인 겨울산이 일품이다. 수타사에서 동면 노천리까지 약12km에 이르는 수타사 계곡에는 넓은 암반과 큼직큼직한 소(沼)들이 비경을 이루고 있고, 계곡 양쪽으로는 기암절벽과 빽빽이 우거진 숲이 있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기에는 이보다 좋은 곳이 없을 정도다.

 

 

명산 중 명산 공작산

 

한국 100대 명산 중 한 곳인 공작산 끝자락에 자리한 천년 고찰 수타사는 신라 33대 성덕왕 7년(서기 708년)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대적광전의 팔작지붕과 1364년 만든 사인비구의 동종, 3층 석탑이 보존되어 있고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를 비롯한 대적광전, 범종, 후불탱화, 홍우당부도 등 수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고찰이다

 

수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오대산 월정사의 말사이다. 이 절의 효시는 신라 성덕왕 7년인 708년에 원효가 우적산에 창건한 일월사로부터 전한다. 그 뒤 영서지방의 명찰로 꼽혔으며, 세조 3년인 1457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긴 뒤 ‘수타사(水墮寺)’라고 칭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인조 14)에 공잠이 재건을 하였으며, 1644년 학준이 당우를 확장한 이래, 계철·도전·승해·천읍 등이 불사를 꾸준히 계속하여 1683년(숙종 9)에는 옛 모습을 되찾았다. 현재와 같은 절 이름이 된 것은 1811년(순조 11)이며, 1861년(철종 12) 윤치가 중수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빗속에 운치있는 수타사

 

지난 달 오후 비가 추적이는 날 수타사를 찾았다. 오후 4시가 조금 지났지만 비가 와서인가 날이 어둡다. 홍천에서 양평으로 가는 왕복 4차선 도로에서 10km 정도를 공작산 쪽으로 향해 가면 수타사가 나온다. 오래된 천년고찰답게 수타사는 고풍스럽다. 강원도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대적광전은 보수가 끝이 난 듯 새로운 목재를 이용한 부분이 오히려 신선함이 감돌게 한다.

 

제일 먼저 찾은 것은 수타사 사인비구 동종이다. 사인비구 동종은 모두 8개가 모두 보불로 지정이 되어있다.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된 수타사의 사인비구 동종은 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주성동종인 사인비구 동종은 단조롭기는 하나 그 주조법이 뛰어나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다.

 

새롭게 조성이 된 원통보전 안으로 들어가 참례를 하고 주변을 살펴본다. 마음에 염원하는 바를 지극히 빌어보고 옆을 보니 새로 조성된 탱화 한 점이 눈길을 끈다. 대적광전에 모셔진 탱화를 그대로 새로 그렸는데 하단 부분을 보니 우리 풍물이 그려져 있어 색다른 느낌을 준다. 앞에 놓인 기물로 보아 지장탱화인 듯하다. 불과 30여분 동안 정신없이 돌아 본 수타사. 천년고찰다운 풍광에 매료되어 잠시간의 시간이 흐른 듯하다. 다시 한 번 시간을 내어 한낮에 찬찬히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고 산문을 나선다.

 

 

나오는 길에 들린 강원도 유형문화재인 소조사천왕상이 모셔진 전각 안에는 사천왕이 세상에 따라붙는 온갖 사귀를 막아준다는 듯 미소를 보인다. 그래서 절집을 찾는 많은 사람들은 마음 편히 세상을 살아가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