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군 갈산면 상촌리 갈산중학교 인근에 보면 충남 민속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된 전용일 가옥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대문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은 예전에는 안채를 들어갈 수 있는 중문이었다고 한다. 네모반듯한 대지위에 높은 담장을 두른 전용일 가옥은 처음에는 99칸 반 규모였다고 전해진다.

 

99칸 반의 집이라니, 그 규모가 가늠이 되질 않는다. 아마 이 지역의 부농의 집이었을 목조기와집은 지금은 안채 28칸 정도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1800년대 중반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전용일 가옥은, 전체적으로 안채, 사랑채, 행랑채 등을 갖춘 튼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남아있는 안채만 보아도 이 집의 규모를 알 수 있어

 

현재 남아있는 28칸의 안채는 바람벽을 둔 중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대청과 온돌방을 두고, 좌우의 날개채를 달아 남향을 향한 집이다. 안채는 전체적으로 보면 자형은 띤 집의 구조지만 사랑채가 떨어져 있어 튼 자형이다, 중문을 달린 중문채와 안채의 날개채 사이에는 쪽문을 낸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가옥구조로 축조가 되어있다.

 

예전에는 100칸이라는 집을 지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일부러 한 칸을 뺀 99칸의 집을 짓는 것이 지방의 토호들이나 세도가들이 집을 짓은 방법이다. 그러나 전용일 가옥은 그보다 반 칸을 더 달아낸 99칸 반의 집이었다고 한다. 집 뒤편으로 돌아가 후원을 보아도 이 집의 세를 알만하다. 현재는 안채를 중심으로 네모난 대지위에 높은 담장을 쌓고, 그 안에 안채만이 남아있지만 모든 것 하나하나가 전용일 가옥의 가세를 알기에 충분하다.

 

 

 

 

 

 

부재 등이 돋보이는 전용일 가옥

 

전용일 가옥의 사랑채 앞에는 연못이 있고, 연못 주변 건물에는 팔각 돌기둥을 세웠다고 한다. 당시에 돌을 깎아 기둥을 세운 건축물을 지었다고 하니, 당시로서는 상당한 부호였을 것 같다. 집안 곳곳을 살펴보면 이 집이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쪽문의 문턱 하나에도 세심한 배려를 한 전용일 가옥. 집을 지을 때 사용한 부재들이 크고, 가공기술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건축 기술과 세련된 솜씨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이 집은 19세기 중반에 세워진 대표적인 양반집이다.

 

바람벽을 막은 중문을 들어서면 우측으로 방과 부엌 등을 덧달아 냈다. 부엌이나 광 위에는 까치구멍을 낸 살창들도 견고하다. 목재 하나라도 흐트러짐이 없는 집이다. 정면을 보면 우측으로 너른 두 칸 대청을 두고 있는데, 안채에 사용한 부재들을 보면 여늬 집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좋은 목재를 사용하고 있다.

 

 

 

 

 

 

우측으로는 건넌방과 부엌, 광들을 놓았는데 모든 자재들이 오랜 세월을 버틸 수 있을 만큼 견고하다. 부엌을 건너 방을 드렸는데 문 위에 까치구멍을 낸 것을 보면, 이 방은 곳간방으로 보인다. 중문과 연결이 된 중문채는 모두 광으로 사용을 하였던 것 같다. 아마 그런 많은 광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식솔들을 거느렸을 것이다.

 

홍성의 대부호 양반집으로 알려진 전용일 가옥. 영원한 세도는 없다는 옛 말을 떠올리게 하는 집이다. 그러나 남아있는 안채의 규모나 그 사용한 부재들을 보면, 이 집이 얼마나 대단했던가를 알 수가 있다. 99칸 반의 영화로움은 사라졌어도, 그 자취는 집안 곳곳에 남아있다.

 

중요민속문화재 제231호로 지정이 된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29에 소재한 엄찬 고택은, 사육신의 한사람인 성삼문의 외손 엄찬의 고택으로 알려진 집이다. 원래 이 집은 문간채가 있었지만 현재는 문간채는 사라지고, 사랑채와 중문을 들어서면 광채와 자형의 안채가 광채와 연결되어 자형의 집을 구성하고 있다.

 

넓은 마루가 시원한 사랑채

 

현재 엄찬 고택은 사랑채와 행랑채가 연결된 중문을 사이로 출입이 가능하다. 사랑채는 3칸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두 칸은 넓은 툇마루를 놓아 시원한 느낌이 든다. 아마 예전에는 이 사랑마루에서 앞의 경치를 바라보며, 글을 읽고는 했을 것이다. 중간에 한 칸은 좁은 툇마루를 놓았는데, 이어진 부분은 안채에서 드나들 수 있는 부엌이다.

 

 

 

중문 밖으로는 한 칸의 행랑방과 광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광은 집의 구조로 보아 마구간으로 사용된 듯하다. 중문을 열고 들어서면 좌측으로는 - 자형의 광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 광채는 행랑방을 합하여 모두 여덟 칸으로 마련이 되었는데, 그 중 좌측 세 칸은 문을 달아 놓았다.

 

자형의 안채는 겹 마루를 놓아

 

전체적으로 대지가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한 엄찬 고택은, 남쪽으로 중문을 두고 동쪽으로 본채를 두었는데,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의 우진각으로 꾸몄다. 이 엄찬 고택의 특징은 안채의 대청마루다. 모두 세 칸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대청은 겹 마루를 놓았다. 중간에 기둥을 두고, 그 밖으로 또 마루를 덧낸 형태이다.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방을 드렸는데, 대청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부엌과 다락, 그리고 연이어 방을 세 개를 놓았다. 안방과 윗방으로 구분이 되는 이 방은 그리 크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 안채에서 특이한 것은 바로 사랑채와 이어지는 부엌이다. 이 부엌은 중문과 연결이 되어 있는데, 아궁이가 이단으로 되어있다. 즉 경사가 진 대지를 그대로 이용하다가 보니, 아궁이가 깊어서 아래쪽은 가마솥에 불을 때는 아궁이로 하고, 그 위에 방을 데우는 아궁이를 따로 두었다.

 

자연을 그대로 이용해 지은 고택

 

성삼문의 외손 집이라고 해서 그 집이 잘 보존이 되어야한다는 법은 없다. 하지만 이 엄찬 고택은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이 될 만큼 그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집이다. 안채의 뒤편에 있는 굴뚝은 중후한 멋을 나타내고 있고, 마당은 업은 편이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곳에 문간채가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마을 밑에서 바라보는 엄찬 고택은 한 폭의 그림과 같았다. 두 그루의 커다란 은행나무가 행랑채 앞에 자리를 하고 있어, 운치가 있어 보인다. 모두 여덟 칸으로 되어있는 광채는 한 눈에 보아도 이 집이 예사롭지 않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정작 안으로 들어가 살펴본 집은 여기저기 엉망이 되어 있었다.

 

1670년대에 지어졌다는 엄찬 고택. 그저 성삼문의 외손이 살고 있던 집이라고 장황하게 안내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만큼 소중한 문화재로 지정을 했으면, 잘 보존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사랑채 넓은 마루에 앉아 앞을 내다본다. 멀리서 경운기 지나가는 소리가 요란하다.

 

 

 

 

여행을 하면서 가장 많은 고민을 해야 하는 것은 역시 먹거리이다. 매끼마다 잘 모르는 식당을 찾아들어야 하는 일도 꽤나 고민일 수밖에 없다. 대개는 그 지역을 답사하기 전에 인터넷을 검색해 맛집을 알아놓고는 가지만, 거의 50% 이상은 입맛에 맞지를 않아 몇 수저 뜨고는 돌아 나오기가 일쑤였다.

 

물론 이렇게 검색을 한 집이 맛이 없는 것은 아니란 생각이다.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니, 내 입에 안 맞았을 뿐이다. 화학조미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 나로서는, 그런 조미료를 이용해 음식 맛을 내는 집들이 불편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7월 28일(일), 일행 30여 명이 버스를 이용해 떠난 수원 지동 고려암의 삼사순례 길.

 

 

홍성에서 만난 내포 기사식당

 

서산 간월암을 거쳐 예산 수덕사를 두 번째 답사지로 정하고 가던 중에 홍성을 거친다. 그곳에서 만난 <한식뷔페 내포 기사식당>.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421번지에 소재한 뷔페식당이다. 어느 도시의 아름답거나 분위기 있는 그런 식당은 아니다. 그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식당의 모습이다. 앞에는 대형 버스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어서 좋다.

 

안으로 들어가니 12시가 되지 않았는데도 사람들이 꽤 앉아 있다. 뷔페야 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을 용기에 잠아와 먹으면 된다. 또 몇 번을 갖다 먹어도 누가 무엇이라고 하지 않는다. 손님 한 사람이 ‘세 번째’라고 하면서 접시를 들고 찬이 있는 곳으로 향한다. 먹성이 좋다고 하지만 세 번째라면, 이 집 음식은 검정이 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3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반찬, 맛깔스러워

 

우선 밥 종류도 다양하다. 보리밥에 야채밥까지 있다. 밥을 퍼 담고, 반찬이 늘어있는 곳으로 향했다. 30여 가지가 넘는 우리 음식이 맘에 든다. 야채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속으로 ‘대박이다’를 외친다. 그만큼 다양한 종류의 반찬들이 모인다. 반찬을 용기에 담으면서 주변을 둘러보니, 그 사이에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

 

기사식당이라고 했지만, 기사 차림보다는 일반인들이 더 많은 듯하다. 하기야 아직은 기사분들이 밥을 먹으러 올 시간이 아니다. 어린 아이도 용기를 들고 부모님 손을 잡고 서 있다. ‘미취학 아동은 3,000원’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미취학이라고 해도 요즈음 아이들 7세만 되면 어른 못지않게 먹성이 좋은데. 내가 할 걱정은 아니지만, 주인의 착한 심성이 엿보인다.

 

특히 이곳의 음식 중에서 별미가 있다면 바로 호박죽이다. 나야 워낙 죽을 잘 안 먹으니 벅지는 봇했지만, 식사를 하는 손님마다 호박 한 그릇은 필수인 듯하다. 이야기를 들으니 이 집 호박죽은 이미 소문이 나 있어, 일부러 호박죽을 들기 위해 어르신들이 찾아오기도 한다고.

 

 

나물 종류가 많아 보리밥에 비벼먹기가 딱 좋은 집이다. 우선은 밥 한 그릇을 먹어보고 다시 생각을 하기로 했다. 평소 양이 크지 않은 나로서는 무리를 해가며 밥을 먹어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저 밥이란 적당히 먹고, 적당히 배부르고, 적당히 기분 좋으면 그만이라는 내 적당주의 때문이다.

 

떨어지기 무섭게 갖다놓는 반찬들

 

이제 이곳에서 장사를 시작한지 3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고 기사식당 대표인 장삼진씨가 말한다. 원래 경기도 분당에서 화장품 대리점을 했다고 하는 주인이, 이곳에 와서 3개월 만에 이렇게 많은 단골을 잡았다는 것은 그만큼 음식 맛이 있다고 보아도 될 듯하다. 반찬들이 하나같이 정갈스럽고 담백하다.

 

 

나에게는 이보다 좋은 식당은 없을 듯하다. 가는 곳마다 이런 집 하나만 있으면, 끼니 걱정은 절대 없을 것 같다. 한 접시 퍼 온 음식으로 충분하다. 아니 그 이상의 값을 이미 먹었다는 생각이다. 밖에 나와 아이스크림까지 먹고 나니, 5,000원으로 너무 호강을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일행들이 식사가 끝나지 않아 밖에서 쉬고 있으려니 벽에 문구가 걸려있다. ‘25일부터 파라솔 술자리가 준비됩니다.’라니. 주인에게 물어보니 저녁에 술손님들이 있어 밖에 자리를 펴고 자리를 마련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 역시 음식 값이 거의 만원 수준이다. 삼사순례 길에서 만난 내포기사식당. 모처럼 답사 길에 흡족한 음식을 먹었다. 주인의 심성 또한 음식에 가득 담겨 있어 더 좋은 집이다.

 

 

상호 : 한식뷔페 내포 기사식당

주소 :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421

전화 : (041) 634 - 7002 / 010-5339-3303

홍성군 홍성읍 오관라에는 옛 홍주목의 관아가 자리하고 있다. 사적 제23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홍주성은 조양문과 아문, 산성 등을 합쳐 지정을 했다. 아문 뒤편에는 건물이 들어서 있고 그 뒤편에 옛 관아건물인 안회당 있으며, 그 뒤에 연못 가운데 자리한 여하정이 있다. 여하정은 고종 33년인 1896년 당시 홍주목사인 이승우가 옛 청수정 자리에 지은 정자이다.

 

고목과 연못이 어우러진 정자, 극치미를 자랑해

 

여하정은 관아에서 집무를 보던 목사들이 관아 일을 보다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는 했던 장소라고 한다. 연못에는 정자로 들어가는 돌다리가 놓여 있고, 다리를 건너면 정자 앞으로는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다. 어림잡아도 수백 년은 될 성 싶은 고목이다.

 

 

 

정자는 6각형으로 지어졌는데, 자연석을 잘 다듬은 돌로 주초를 만들고 그 위에 육각형의 기둥을 세웠다. 지면에서 약간 띄워 마르를 깔았으며, 마루의 각 변에는 장식을 한 난간을 둘렀다. 지붕의 중앙에는 커다란 꽃 봉우리 하나가 매달려 중심을 잡았다.

 

정자는 그리 화려하지는 않다. 하지만 주변 경관과 너무나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다. 5월 29일 여주를 떠나 달려간 홍주성. 성을 한 바퀴 돌아 내려 온 곳에서 만난 여하정. 멀리서도 그 아름다움에 취해 한 달음에 달려갔다. 어떻게 성 안에 이렇게 아름다운 정자를 만들 생각을 한 것일까? 초여름 잎을 녹색으로 바꾸어가는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어 운치를 더한다.

 

 

 

12현판의 걸린 시액, 아름다움 논해

 

정자의 기둥에는 한 기둥에 두 편씩 열두 편의 시액이 걸려있다. 3평 남짓한 크지 않은 정자 여하정. 연못에 그림자를 느리며 서 있는 고목의 풍광도 일품이지만, 육각형인 정자의 기둥마다 걸린 현판의 글은 작자미상이나 그 내용은 아름답다.

 

余方宥公事 내 목사로서 공사를 보게 되어

作小樓二間 조그마한 누 두 칸을 지었다

懷伊水中央 연못의 물은 중앙으로 맴돌고

樹環焉泉縣 등나무가지는 샘가에 느렸다

開方塘半畝 반이랑 정도 수문을 열어놓으니

九日湖之湄 햇빛에 비친 연못의 물살에 아름답구나.

一人斗以南 남쪽은 한 사람의 도량으로 가하건만

捨北官何求 싫다하면 관직을 어찌 구하려하는가

環除也皆山 환제는 모두가 다 산인데

於北豈無隹 그 북쪽에 어찌 새가 없을쏘냐?

賓主東南美 손과 주인이 동남에서 만나 좋아하니

其必宥所樂 반드시 즐거움이 있을 수밖에.

 

 

 

열두 편의 편액은 모두 이어지는 내용이다. 그것을 두 편씩 기둥에 걸어놓았다. 이런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지나는 과객들이 어찌 글 한 수 떠올리지 않을까? 아마 여하정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취해 시 한 수 걸어놓고 싶어 했을 것이다.

 

 

 

기나긴 세월 속에 많은 환난의 아픔을 겪기도 한 홍주성. 그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이 여하정이 있어, 홍주성의 복원이 하루 빨리 이루어진 모습을 그려보는가 보다. 사방 어디서 바라보아도 아름다운 여하정. 초여름의 지친 심신을 시원한 나뭇잎과 작은 연못의 물이 식혀준다. 연못 속으로 빠져들 듯 기울어버린 고목. 그 고목을 버티고 있는 석주. 그 모든 것이 여하정을 더욱 여유롭게 만든다. 나그네의 땀을 식혀주는 이런 여유가 있어 나들이 길이 좋은 것이련만.

안회당은 고을의 수령이 업무를 보던 동한인데도 유일하게 동헌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당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는 곳이다. 사적 제231호는 홍주성과 홍주아문, 그리고 안회당 등이 일괄 지정이 되어 있다. 그 중 안회당은 홍무목사가 집무를 보던 동헌으로 '안회(安懷)'란 '노인을 평안하게 모시고, 벗을 믿음으로 하여 아랫사람을 사랑으로 대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일반 동헌과는 전혀 다른 안회당

 

안회당은 동헌이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아왔던 동헌과는 그 형태가 전혀 다르다. 동헌과 달리 위엄이 있어 보이는 높은 지붕에 넓은 대청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어느 부유한 집의 사랑채 정도로 꾸며져 있다. 안회당이 처음부터 동헌은 아니었다. 안회당 뒤편서남쪽에 '근민당'이라는 동헌이 있었다. 근민당은 천주교 박해를 한 동헌으로 유명하다.

 

 

근민당이 어떻게 해서 유실되고 대신 안회당이 동헌이 되었는가는 정확지가 않다. 다만 안회당이 1977년 해체 복원시에 발견된 상량문에 의해 조선조 숙종 4년인 1678년에 처음으로 지어졌다고 하니, 그 이전에는 근민당이 동헌이었을 것이다. 홍주성은 처음 축조한 년대는 정확지가 않다. 그러나 고려시대 백월산 중턱에 위치했던 해풍현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때 성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안회당은 모두 22칸으로 조성된 목조 팔작집이다. 숙종 4년에 처음으로 지어진 후에, 고종 7년인 1780년 목사 한응필이 개축하였다고 한다. 처음 안회당을 지었을 때, 안회당이라 쓴 편액을 대원군이 하사했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는다.

 

뛰어난 목조건축의 미가 돋보여

 

안회당을 돌아보면 이런 아름다운 집에서 집무를 하는 목사는 절로 사람들을 위하는 위민정치를 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그만큼 이름답게 꾸며진 동헌이다. ㄱ자 형으로 된 안회당은 정면 7.5칸에 측면 2.5칸 정도로 되어있으며, 건물을 바라보고 좌측 끝에는 꺾이어 나온 누마루 방이 달려있다. 누마루 방은 모두 두 칸의 마루방으로 장초석 위에 기둥을 세워 정자처럼 꾸몄다.


 

 
 


 

측면 반 칸의 앞은 누마루를 깔았으며, 뒤편으로는 높다랗게 연도를 뺀 굴뚝을 올렸다. 누마루 방 뒤로는 개방마루를 놓아 뒤편 여하정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동헌이라는 느낌이 들지를 않는다. 거기다가 날렵하게 위로 솟은 처마는 한옥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사적 안에 주차를 하고 있는 사람들

 

홍주성과 안회당 등을 돌아보다가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 있다. 차들이 여기저기 주차를 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그저 무심코 사진을 찍고 있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이곳은 사적 안이 아닌가. 더구나 안회당과 건물 앞에 있는 홍주아문 등은 모두 사적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바로 곁에 주차를 할 수가 없다. 그런데 이곳은 많은 차들이 문화재 안에 주차를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아무리 주차장이 부족하다고 해도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홍주성은 1978년 10월 7일 강도 5의 지진이 발생하여 성곽의 일부가 붕괴된 것을 계기로 성곽주변 가옥들을 매입하여 주변 정리를 하고, 홍주성곽의 옛 모습을 찾기 위해 지속적인 사업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먼저 홍주아문과 안회당 주변에 있는 건물부터 먼저 철거해야만 하지 않을까?

 

그것이 우선이란 생각이다. 그것이 많은 예산이 들어 불가능하다면, 그전에 주차문제라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사적지 안에 버젓이 들어가 주차를 하고 있는 볼썽사나운 모습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질 않는 부분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