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어떤 때는 내가 생각해도 ‘미쳤다’라고 생각이 든다. 문화재 답사는 그저 좋아서 하는 일이다. 만일 누가 이 40도를 육박하는 더위에 답사를 하라고 시켰다면, 길길이 뛰고 난리를 쳤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답사를 하는 것을 보면, 아마 전생에 내가 우리 문화재에 큰 잘못을 했던 것만 같다. 이런 나를 두고 누군가 한 마디 한다.

 

“아마도 과거에 우리 문화재를 일본 놈들에게 팔아먹던 사람이었을 것” 이란다. 전생에 그런 죄를 지은 업보로, 이렇게 20년이 넘는 시간을 문화재를 찾아디닌다는 것. 그러지 않고서야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날이 더우나 추우나 그렇게 돌아다닐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과거야 알 수 없으니, 그만해도 참 다행이란 생각이다. 만일 정말로 그랬다면 어떻게 고개를 들고 다닐 수가 있을 것인가?

 

 

하기야 지금도 그런 인사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문화재에 낙서를 하는 사람들. 문화재를 보호해야 할 위치에 있으면서도, 문화재를 방치하는 사람들. 그리고 소중한 문화재를 도굴하여 몰래 치부를 하는 사람들. 이 모두가 다 이 땅에서 사라져야만 할 사람들이다. 내가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것 하나만으로도, 참 고맙고 또 고맙다.

 

문화재의 보고 여주 고달사지

 

사적 고달사지,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일대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사찰이었다. 고달사지에는 국보를 비롯한 보물, 그리고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와 비지정 문화재 등 많은 석조유물들이 남아있다.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인 764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다만 사지에서 출토되는 많은 유물들로 보아, 신라말기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을 뿐이다. 요즈음 고달사지를 가면 또 다른 발굴작업을 하고 있어, 고달사지에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문화재가 출토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예전 고달사는 한강을 끼고 있던 흥법사와 법천사, 거돈사, 신륵사 등과 함께, 한강의 수로를 이용한 교통 요지에 자리 잡고 있었다.

 

현재 고달사지에는 두 점의 석조가 남아있다. 삼국시대부터 제작되어 사용된 수조는 일정한 공간에 물을 담아 저장 하거나, 곡물을 씻거나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수조는 일반적으로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져 석조 또는 목조가 많이 제작되었으며, 사찰이나 궁궐 등 규모가 크고 사람들이 많이 기거하는 건축 공간에 조성하였다.

 

새롭게 보인 고달사지 석조

 

고달사지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가-4 건물지에서 발견 된 석조는, 물을 담아 두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한 돌로 치석, 조성하였다. 이 석조는 일부 파손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그 규모는 장변 321cm, 단변 149cm, 높이 98cm 이다. 석조는 한 돌로 치석되었으며, 평면이 긴사각형으로 표면을 고르게 다듬어 전체적으로 정연하면서도 정교한 인상을 주고 있다.

 

 

 

33도를 웃돈다는 8월 4일. 고달사지를 한 바퀴 돌면서 만난 석조 앞에는, 예전 답사 때 볼 수 없었던 문화재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석조를 설명하는 이 안내판에는 석조가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47호로 지정이 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이 석조를 살펴보니 각 면의 모서리부분을 부드럽게 다듬어, 세심한 부분까지 관심을 가지고 치석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몇 번이나 이 석조를 보았지만, 이렇게 안내판을 보고 다시 돌아보니 모르고 있던 부분까지 알게 된다. 문화재를 자주 찾아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는 부분이다. 이 석조의 내부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밑 부분에서 호형으로 치석하여 장식적인 기교를 보이고 있으며, 바닥 중앙부에는 지름 7.5cm의 원형 배수공이 관통 되어 뚫려 있다.

 

이 외에 주목되는 부분은 모서리의 치석과 장식 수법이다. 특히 모서리는 바깥 면 중간에 1단의 굴곡을 두었으며, 상면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연꽃잎이 말려 들어가는 듯한 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이처럼 석조의 모서리부분을 화형으로 치석한 경우는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쌀을 씻기 위한 석조인 듯

 

이 석조는 전체적인 치석 수법과 고달사지의 연혁 등을 고려할 때 고려 전기 에서도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도 고달사지에는 또 하나의 석조가 있다. 한편이 심하게 훼손이 된 또 하나의 석조는, 지금은 중앙국립박물관으로 옮겨 간 쌍사자 석등지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어, 이는 예불을 드리기 전 손을 씻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유형문화재로 지정이 된 석조는 건물터 안에 있는 것으로 보아, 쌀을 씻기 위한 것이나, 식수를 담아두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이 석조가 쌀을 씻기 위한 것이었다면, 당시 고달사에 얼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조성 시기가 빠른 편에 속하는 고달사지 석조, 문화재는 보면 볼수록 눈이 맑아진다고 한다. 그만큼 많이 알아가기 때문이다. 고달사지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조로 인해, 과거 고달사의 또 다른 일면을 유추해 낼 수 있다는 즐거움이 찜통더위마저 잊게 만든다.

기온이 33도를 웃도는 날씨에 문화재 답사를 한다고 산을 오르는 행위는, 그야말로 제 정신이 아닌 행동이다. 그것도 무슨 돈벌이를 하는 것도 아닌데, 날이 좀 선선해 진 다음에 해도 될 텐데 말이다. 늘 새로운 것을 써야 하는 문화재 답사는, 웬만한 정성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연 8일 째 찜통더위라는 8월 4일.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소재한 ‘고달사지’를 찾았다. 꼭 고달사를 보고 싶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 위 해목산 중턱에 있는 상교리 석실묘를 찾아가기 위해서였다. 경기도 기념물 제198호인 상교리 고려 석실묘는, 고달사지 느티나무에서 800m 정도를 해목산으로 오르면 된다.

 


'이 찜통더위에 미쳤군, 미쳤어'


길을 걷다가 보니 옆으로 차들이 지나간다. 팍팍한 여름의 길은 차가 천천히 지나가도 뿌옇게 먼지가 인다. 그 또한 참기 힘든 일이다. 차 한 대가 지나가면서 소리가 들린다.


“이 찜통더위에 미쳤군, 미쳤어. 이런 날 사진을 찍으러 다니다니”


하긴 내가 생각해도 그 말이 맞는 듯하다. 미치지 않고서야 33도가 넘었다는 시간에 멀지 않은 길이라고 해도,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산을 오를 생각을 하다니 말이다. 잘 정리가 된 고달사지를 지나 계단을 오르면 국보 제4호인 원종대사 승탑을 만날 수가 있다. 그 못미처 해목산으로 오르는 길이 나타난다.

 

 


안내판에는 ‘여주 상교리 고려 석실묘 500m'라고 적혀있다. 그동안 산으로 오르면서 이 500m에 대한 아픈 기억이 생겼다. 몇 곳의 문화재를 답사를 하다가, 500m 안내판을 보고 길을 나서 더위에 몇 번인가 탈진이 오는 낭패를 당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곳은 벌써 3번 째 오르는 곳이다. 처음 100m 정도만 가파를 뿐, 그 다음부터는 평지와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8월 복중에 오르는 길이다. 그리 만만치가 않다. 산을 오르면서 만난 나무들도 찜통더위에 지쳤는지, 모두 잎들이 기운없이 늘어져 있다. 며칠만 이 더위가 계속되면 농작물에도 심각한 정도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한다.

 

 


 

주변 정리가 잘 되어있는 석실묘


석실에 도착하니 주변이 말끔히 정리가 되어있다. 세 번째 오른 석실묘이지만, 이렇게 말끔하게 정리가 된 모습은 처음이다. 사실은 며칠 전에 누군가 전화를 했다. ‘여주 고달사지 뒤편 석실묘에 잡풀이 자라 엉망이다’라고. 그래서 오른 해목산이다. 하지만 그런 것을 떠나 이렇게 말끔하게 정리가 된 것을 보니, 이 더위에 오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석실로 조성한 이 고분은 1983년 11월 ~12월에 한양대학교 박물관 발굴단에 의해서 완료가 되었다. 발굴 당시 상감청자 파편 등의 유물로 보아 고려 때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석실은 고려 때의 묘제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발굴 전에 석실의 기단부는 완전히 흙더미에 묻혀 있었다고 한다.

 

 

 


불탑의 기단을 연상케 하는 방향기단


석실의 지상 위에 쌓인 돌로 조성한 방향기단과, 그 밑에 연도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 석실로 구분이 되어있다. 하부의 원형의 석실에는 연도가 달려 있고, 상부에는 방형의 이층으로 된 기단이 쌓여있어 ‘상방하원 석실묘’라는 명칭을 붙였다. 지하의 석실은 원형으로 돌 축대를 쌓고, 그 앞으로는 연도를 조성해 열쇠모양의 형태처럼 조성하였다.


석실의 위편은 큰 돌 두 장을 놓아 석실을 덮고 있으며, 그 위에는 이층으로 제단 모양으로 된 기단이 있다. 1층 기단은 동서가 442em, 남북이 280cm, 높이가 46cm 정도의 장방형이고, 2층 기단은 그보다 조금 적지만 높이는 50cm 정도이다. 현실 벽의 높이는 167~175cm 정도이다.

 


고려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실묘는, 아래편에 자리하고 있는 고달사지로 미루어보아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석실 위에 돌탑처럼 방형기단을 조성한 듯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33도를 웃도는 날씨에 찾아간 상교리 고려 석실묘. 말끔하게 정리한 문화재의 주변이, 잠시 그 찜통더위를 잊게 만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