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남문은 전주시 완산구 전동 2가 남문시장 인근에 자리한다. 이 풍남문은 보물 제308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전주읍성의 남쪽 문에 해당한다. 읍성이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곳으로,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하는 것이다.

 

풍남문은 선조 30년인 1597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인 1734년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고 불렀다 한다. '풍남문(豊南門)'이라는 명칭은 영조 43년인 1767년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인 1768년에 풍남문을 중수하면서 붙인 것이다. 풍남문은 조선조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현재의 풍남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특별한 기둥의 수법이 뛰어나

 

풍남문의 규모는 1층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지어졌고, 2층은 정면이 3칸인데 비해 측면은 1칸이다. 이렇게 갑자기 이층 누각이 줄어든 것은 1층 안쪽의 기둥을 그대로 이층까지 올려 모서리 기둥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둥을 사용하는 수법은 우리나라의 문루 건축상 매우 드문 형태이다.

 

풍남문의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꾸며졌으며,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짠 장식은 기둥위에만 있는 주심포계로 구성되었다.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해태 등 동물들을 장식한 것도 풍남문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풍남문의 부재에 사용된 조각이나, 가운데칸 기둥 위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은 점들로 보아 풍남문의 건립년도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건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견고한 성곽, 수원 화성을 닮아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화성을 축조하고 난 뒤, 우리나라의 모든 성곽은 화성을 기본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풍남문과 연결이 되는 전주읍성의 경우에도 문을 받치고 있는 아랫부분의 성곽을 보면, 화성도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문루에는 성 안쪽으로는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이라 적고 있으며, 성문을 에워싸고 있는 옹성 쪽인 성 밖으로는 풍남문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성을 쌓고 있는 돌은 서로 귀퉁이를 깎아내 엇물리게 만들었다. 이는 성곽을 더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안에서 성문을 바라보며 밖으로 옹성이 보인다. 옹성 한편에만 출입구를 내어 적이 공격을 할 때 어려움을 겪도록 만들었다. 옹성은 문을 위주로 둥글게 반원으로 꾸며졌으며, 옹성 위에도 길을 낸 후, 여장을 쌓고 총안 등을 내어 내외의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문은 두꺼운 철판을 입혀 적이 공성무기나 불 등으로 공격을 해도 잘 버틸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은 전주 남문시장과 접해있어 풍남문을 주위로 원을 그리며 많은 차량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성벽은 중앙에 문루를 중심으로 양편에 포 등을 설치한 치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이 있다. 양편으로 성곽이 연결되어 있던 부분인 듯하다. 성안에서 양편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으며, 좌측 위에는 포가, 우측 위에는 종이 달려있다. 위를 올라갈 수가 없어 이 종이 정확하게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는 알 수가 없다.

 

 

 

어디나 그러하지만 문화제를 보존한다는 명목으로 모든 곳을 출입하기가 쉽지가 않다. 풍남문도 위로 오르는 계단에 출입통제 목책을 세워놓아 위로 오를 수가 없다. 위편을 찍으려면 아무래도 계단을 올라야 한다.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길이 무조건 문을 잠가버리는 것만이, 최고의 보존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며칠 안남은 추석이 주부들에게는 상당히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경제적으로도 어려운데다가, 올해는 각종 채소며 과일값 등이 만만치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차례를 안 지낼 수도 없는 일이고 보면, 어떻게 해서라도 경비를 줄여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추석 차례상을 예년과 똑같이 지내면서도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대개 주부들이 대목을 맞아 장을 보는 것을 ‘대목장 보러간다’고 한다. 그리고 그 때에 맞추어 서는 장을 ‘대목장’이라고 한다. 5일장 대목장은 대개 추석 바로 앞에 서는 장을 말한다. 그리고 상설시장의 경우에는 2~5일 전쯤에 장을 보는데, 이때를 대목장으로 친다. 하지만 가장 좋은 장은 추석 3~5일 전에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주 남부시장

차례상 경비를 줄이는 노하우

알뜰주부라고 하면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미리 품목을 정해놓고 장을 보러 나간다. 그런데 같은 물건을 사더라도 방법에 따라 20~30%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어떻게 하면 경비를 줄일 수가 있을까? 여주 5일장 책을 쓰느라 5일장과 재래시장을 9개월 넘게 답사를 하면서, 나름대로 대목장을 잘 보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1. 재래시장을 이용하라

역시 답은 재래시장이다. 요즈음 대형마트 같은 곳에서도 대목장을 겨냥해 세일을 하고는 하지만, 그것보다는 역시 재래시장이나 5일장이 정답이다. 재래시장은 대형마트보다 20.6% 정도 물건 값이 싼 편이다.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2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면, 재래시장을 나갔을 경우 16만원 정도면 준비할 수가 있다.

5일장의 경우는 재래시장보다 7~8% 정도가 더 싸다, 그러나 5일장이라는 특성상 날짜를 맞추기가 힘이 들고, 거기다가 주변에 5일장에 서지 않으면, 먼 길을 가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도 있다.

상품권을 이용할 경우 3~5% 정도 싼 가격에 구입하는 효과가 있다

2. 상품권을 이용하라

요즈음에는 재래시장에서 살 수 있는 상품권이 있다. 이 상품권은 전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3% 정도 할인이 된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할 수가 있다. 이런 식으로 물건을 구입한다고 하면 23~25% 정도 재래시장이 가격이 싼 편이다.

3. 아침을 공략하라

오늘 아침 전주 남부시장을 나가보았다. 남부시장은 전주성의 남문인 풍남문 앞에 개설된 장으로, 그 역사가 깊은 곳이다. 남부시장은 시장과 다리를 중심으로 장이 개설되는데, 새벽 4시면 장이 열린다. 이곳에서는 전국에서 모여든 장사꾼들과, 집에서 지은 농산물을 들고 나오는 사람들이 모여든다. 이러한 남부시장과 같은 경우 아침 일찍 장을 나가는 것이 좋다. 그것은 좋은 물건을 살 수 있다는 이점도 있지만, 아침에는 장사꾼들이 값을 깎이지 않으려고 무리한 가격을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대목장이라 간너편 하천변까지 장이 들어섰다
 
4. 교통편을 요구하라

만일 아파트 단지 같은 곳에서 사시는 주부라면 이웃과 함께 공동구매를 하는 것이 좋다. 요즈음은 지자체 등에서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곳이 많다. 공동구매 날짜 등을 고려해 신청을 하면 버스가 시장까지 태워준다. 물론 집에 돌아올 때도 데려다 준다. 이렇게 함께 공동구매를 할 경우 5% 정도가 싸다. 결국 조금만 노력을 하면 추석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30~35% 정도를 싸게 살 수가 있다.



조상의 덕을 이야기하고, 일 년간의 풍요로움을 감사하는 추석. 이번 추석은 물가가 만만치가 않다고 한다. 이럴 때 지혜 있게 장을 보는 것 또한 현명한 주부의 대목맞이 하기의 한 방법이다.

전주 경기전 앞에 가면 성당이 있다. 전동성당이라 부르는 이 성당은 1908년에 불란서 보두네 신부가 성당 건립에 착수를 하여, 1914년에 완공했다. 벌써 역사가 100년이나 된 이 성당은, 중국에서 건너 온 100여명의 벽돌공들이 직접 벽돌을 구워 건축을 했다. 이 성당으로 인해 근처에는 중국인 거리가 생겨나기도 했다.

전동성당은 현재 국가 사적 제288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전동 성당을 세운 자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지이기 때문에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조선조 정조 15년인 1791년 12월 8일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인 윤지충(바오로, 당시 32세)과 권상연(야고보, 당시 41세), 그리고 순조 원년인 1801년 10월 24일에는 호남의 첫 사도인 유항검(아우구스티노, 당시 45세)과 윤지헌(프란치스코, 당시 37세) 등이 이곳에서 순교를 했다.



믿음의 순교지에 세운 성당

우리나라 첫 순교지인 이곳에 세운 성당은 웅장하고 화려한 로마네스크 복고양식으로, 인접한 풍남문과 경기전 등과 함께 전통과 서양문화의 조화를 선보이고 있다. 첫 순교자인 윤지중은 현 충남 금산에서 명문가의 후손으로, 1791년 모친상을 당하였다. 그는 모친상을 당하면서 당시 유교식의 절차를 따르지 아니하고, 천주교의 제례절차에 따라 장례를 모셨다.

나라의 법을 따르지 아니하고 천주교식의 장례절차를 따랐다고 하여, 외종사촌 권상연과 함께 1791년 12월 8일 오후 3시에 이 자리에서 참수를 당했다. 시체는 당시 국법에 따라 9일간이나 효시가 되었다.





피로 얼룩진 풍남문의 돌로 주추를 삼다

1801년 10월 24일, 사도 유항검과 윤지충의 동생인 운지헌은 대역모반죄라는 억울한 죄명을 쓰고 능지처참 형을 당했다. 그리고 호남의 첫 사도인 유항검의 목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해, 풍남문의 누각에 매달려졌다고 한다. 그로부터 90년 정도가 지난 1889년 봄에 전동성당의 초대 주임신부로 부임한 프랑스 보두네(한국명 윤사물) 신부에 의해서, 1908년에 착공이 되었다.

이 건물은 비잔틴풍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설계는 프와넬 신부가 담당을 하여 1914년에 완공을 하였다. 당시 이 건물을 지을 때 주춧돌은 풍남문의 성벽을 이용했다고 한다. 사도 유항검의 피로 얼룩진 돌을 이용해 의미를 더하고 있다. 최초로 주임신부로 부임한 보두네 신부는 1859년 9월 25일 프랑스 아베롱 지방에서 태어났다. 1884년 9월 20일 사제서품을 받았으며, 1885년 10월 28일 한국으로 입국했다.




1889년 5월 전주본당 주임신부로 부임하여 26년간 재직을 하였으며, 1915년 5월 27일 선종에 들었다. 보두네 신부는 본당과 사제관을 신축하였으며, 이 두 건물이 사적으로 지정이 되었다. 전동성당은 호남 최초의 서구식 건물이다.

한국 최초의 순교지 위에 세워진 전동성당. 입구는 마치 우리나라의 솟을대문을 연상케 한다. 중앙을 높이 두고 양편을 낮게 조성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외국 영화에서 나오는 고성을 연상케 하는 앞면과 측면은 볼수록 웅장하다. 안으로 들어가면 촘촘히 놓인 기둥 위에 나란히 보이는 창문들이 이채롭다. 연인들 두어 쌍이 앉아서 밀담을 나누는 모습이 보기 좋다.




사제관 앞에는 배롱나무의 꽃이 지기 시작한다. 나무 밑에는 젊은 연인들이 다정하게 앉아있는 모습이, 흡사 서구 어느 한가한 공원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저 젊은 연인들은 이곳이 피의 역사로 얼룩진 곳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는 것일까? 초가을 오후의 전동성당은 그렇게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 평온하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