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지동 벽화골목은 2년 째 조성 중에 있다. 첫해에는 창룡문을 나오면 주차장을 지나 게이트 볼 장에서 시작하는 1번 골목이다. 1번 골목의 벽화 길은 350m에 이른다. 그리고 지난해는 제일교회 아래쪽에 680m에 그림을 그렸다. 1번 골목 중간에는 빈집 하나가 볼썽사납게 자리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동 마을만들기를 전담하다시피 한 지동주민센터 기노헌 총괄팀장이 이 집을 주인에게 무상 임대를 하여 구조변경을 하였다. 이 집의 용도는 되살림 발전소라 명명을 했다. 그리고 지난해부터 집을 수리하기 시작해, 이제 그 개관일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315일 오후 이곳을 찾아보았다.

 

말끔히 단장을 한 되살림 발전소의 외부

 

말 그대로 되살림일세.

 

되살림 발전소앞에는 일꾼 몇 사람이 무엇인가 열심히 페이퍼로 갈아내고 있다. 그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마침 실내에 페인트칠을 하고 있던, 지동벽화길 조성 총 감독인 유순혜 작가가 대답을 한다.

 

마을에서 못쓴다고 내다가 버린 것을, 잘 갈아내고 색을 입혀 리폼을 하려고요. 그래서 되살림 발전소 가구로 사용할 겁니다. 쓰레기도 줄일 수 있고, 되살림의 의미도 있고요.”

 

그리고 보니 되살림 발전소라는 것은, 모든 것을 되살린다는 말이다. 주민들의 생활을 되살리고, 이웃 간의 잃어버린 공동체를 되살린다. 또한 여러 가지 주변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 때문에, 땅에 떨어진 지동의 과거의 정체성도 되살린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감이 있고 그래도 이웃 간에 사랑이 넘치던 지난날의 생활로 되살리겠다는 것이다.

 

지난 해 낡고 흉물이던 집을 늘리고 고치기 시작했던 때 

 

공방으로 꾸며 주민들의 소득에 보탤 것

 

지동주민센터 기노헌 팀장은 이 되살림 발전소에 공예품을 만들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는 대답이다.

 

이곳은 공예품을 만드는 공방으로 꾸밀 것입니다. 지전공예나 가죽공예, 섬유공예 등을 주민들에게 가르쳐, 그들이 직접 제작을 해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려고요. 마을 어른신들 중에서 한 종목에 5명 정도를 선정해 교육을 시키고,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을 할 것입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공예품은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판매를 해서, 그 수익금으로 주민들의 복지를 위해서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실내 페인트 작업

 

판매소도 이 되살림 발전소를 비롯하여, 제일교회 일층에 들어 설 북카페와 판매를 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 판매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원은 축제가 많습니다. 그런 곳에 공예품을 진열해 소득을 올리려고 합니다.”

 

그럴 수만 있다면 제대로 마을만들기 사업만이 아니고, 정말 되살림 발전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순혜 작가는

 

이미 모든 준비는 다 마쳤습니다. 이 되살림 발전소가 개관을 하게 되면, 바로 교육에 들어가려고요. 이곳에 와서 주민들에게 공예를 가르칠 선생님들도 다 선정을 해 놓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만드는 공예품은 우리만의 고유한 모델을 만들어 브랜드화 시킬 것입니다 라고 한다.

 

버려진 가구를 가져다가 페이퍼로 갈아내고 있다. 리폼을 해서 사용하겠다고 

 

앞으로 되살림 발전소는 주민들의 사랑방 겸 공방으로 거듭 나, 화성과 더불어 살아온 사람들에게, 또 하나의 이야기를 전할 것으로 보인다. 지동 되살림 발전소가 개관을 하는 날은 모든 것을 다 버려두고 함께 하고 싶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4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옛 한계사 터. 한계령 중턱의 장수대에 자리하고 있는 이 사지에는 보물 제1275호인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 다. 앞으로는 한계천이 흐르고, 뒤로는 산줄기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이 한계사는, 만해 한용운이 지은 책에 의하면 신라 진덕여왕 원년인 647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쳐 약 17세기 말까지는 절의 명맥을 유지했던 것으로 짐작이 되는데, 이는 정확한 것은 아니다. 현재 이 한계사지에는 건물의 주춧돌과 석수, 불좌대 등이 남아 있고, 삼층석탑 2기와 불상, 석등 등 많은 석조물이 있다.


떨어져 있는 남북 탑, 쌍탑으로도 추정해

한계사지에는 두 기의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두 기의 탑을 쌍탑으로 보기도 한다. 그 이유는 두 삼층석탑이 비슷한 시기에 삼층석탑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남 삼층석탑은 금당터 앞에 서있는데, 받침대 역할을 하는 이층의 기단을 두고 있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 당시의 전형적인 신라탑 형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처음으로 이 탑을 보는 사람들도 ‘참 반듯하다’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아래층 기단에는 한 면에 3개씩의 안상을 새겨 넣었다. 그저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형태의 탑으로, 그 가운데서도 기품을 느끼게 하는 탑이다.




지붕돌에는 풍경을 단 흔적이 있어

위층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각 면의 중앙에 기둥을 본떠 새겼다. 양우주와 중앙에 탱주를 돋을새김 한 것이다. 탑신의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1, 2층은 5단으로, 3층은 4단으로 줄어져 있다.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끝부분에 이르러 살짝 들려 있어 밋밋함을 벗어나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은 다 없어졌으니, 최근에 둥근 돌을 하나 복원하여 얹어놓았다.

이 남 삼층석탑은 9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계사지를 정리할 때 낡은 산장 옆에 옮겨져 있던 것을,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한 것이다. 탑은 파손되었던 부분을 복원하면서, 일부를 너무 모나게 다듬어서인가, 원래의 석재들과 잘 맞지 않는다. 서북쪽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북 삼층석탑과 비교하면, 기단에 새긴 조각의 모양이나 지붕돌받침수가 서로 달라 석탑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붕돌의 끝 모서리 부분에는 작은 구멍이 하나씩 보인다. 아마 풍경을 매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탑의 크기 등으로 보아 무게가 나가는 풍탁을 매단 것 같지는 않다. 오랜 세월 한계사지를 지켜 온 남 삼층석탑. 그 모습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든다.

옛 선조들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까?

답사를 하면서 늘 궁금하게 느끼는 것은, 이렇게 많은 석탑과 석불을 만든 장인들의 마음이다. 무슨 마음을 갖고 이렇게 힘든 작업을 한 것일까? 물론 지금도 석불이나 석탑을 조성한다. 하지만 그 당시와 지금의 작업방법은 전혀 다르다. 망치 하나와 정만을 갖고 조성했을 당시의 장인들. 아마 이렇게 석탑이나 석불, 그 외에 많은 문화재를 보고 감동을 받는 것은, 그러한 장인정신의 마음을 읽기 때문이나 아닐는지.



한계령을 오르다 만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에서 그 해답을 얻어 보고도 싶지만, 아직은 그럴만큼 농익지 않은 문화재 답사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