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소재한 사적 제317호인 미륵대원지. 1982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발굴한 바 있으나 확실한 년대는 알 수 없고, 발굴 당시 미륵대원이라고 쓰인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륵대원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일연 스님이 살았던 그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 고려 초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 발굴 당시 출토된 관련 유물과 기록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미륵대원은 고려초기인 11세기경에 창건되었다가, 고려후기인 고종 때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옛 기록에 전하는 계립령과 충북과 경북을 연결하고 있는 하늘재 사이의 분지에 남북향으로 펼쳐진 사지이다. 여기에 석굴사원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소실되고 현재는 석조물만 남아 있다.

 

팔각형으로 조성한 간결한 석등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충주 미륵대원지 석등(忠州 彌勒大院址 石燈)’은 월악산을 바라보며 서 있는 보물 제96호인 미륵리 석불입상과 버물 제95호인 미륵리 오층석탑의 중간에 놓여 있는 석등이다. 한 겨울 눈이 발목까지 빠지는 날 찾아간 미륵대원지. 그곳에서 만난 석등은 그저 아무런 밀도 없이 그렇게 눈 속에 파묻혀 있다.

 

미륵대원지 석등은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 , 하로 이루어진 3단의 받침을 마련했다. 받침 위에는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올린 후,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바닥돌과 아래받침돌은 한 돌로 이루어졌으며, 아래받침돌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둘렀다.

 

가운데기둥은 적당한 높이에 간결한 모습이다. 위받침돌에는 아래받침돌과 대칭되는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화사석은 불빛이 퍼지도록 4면에 창을 내었으며,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려졌다. 꼭대기에는 8각의 낮은 받침 위에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를 얹어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마의태자가 조성했다는 미륵대원지

 

전설에 의하면 신라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가 망하는 것을 슬퍼하다가 금강산으로 들어갔는데, 도중에 누이인 덕주공주는 월악산에 덕주사를 지어 남쪽을 바라보도록 돌에 마애불을 만들었고, 태자는 이곳에서 석굴을 지어 북쪽을 향해 덕주사를 바라보게 하였다고 한다.

 

미륵대원지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북쪽을 바라보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 절터이며, 석굴사원으로서 방식은 다르지만 석굴암을 모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함께 서 있는 석불입상, 5층 석탑과 함께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이 미륵대원지에는 오측석탑을 중앙에 두고 양편에 석등이 서 있다.

 

 

이 두 개의 석등은 사각 석등과 팔각 석등은 모두 고려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미륵대원지를 처음 석굴사원으로 보성할 때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눈이 수북하게 쌓인 석등은 간결하지만 신비롭기까지 하다. 아마도 석등에 쌓인 눈 때문은 아니었을까?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보면 계절에 따라 느낌이 다르다.

 

하기에 문화재 답사는 사계절을 다 돌아보아야 그 진가를 알 수 있다고 했다. 어느 문화재는 여름철에 더 아름답고, 또 어느 문화재는 겨울철에 더 아름답다고 느끼게 된다. 미륵대원지야 말로 겨울철에 가야 그 진가를 알 수가 있다. 한 겨울에 눈 속이 묻힌 석등을 바라보면서 다음에는 봄철에 이곳을 들려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전북 익산시 금마면에 소재한 사적 제150호인 미륵사지. 백제에서 가장 큰 가람이었던 미륵사지의 기록은 삼국유사에 보인다. 그 기록에 따르면 백제 제30대 무왕이 왕비와 함께 용화산에 있는 사자사로 지병법사를 찾아 가던 중,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출현하여 미륵사를 창건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 미륵사를 창건할 때, 신라의 진평왕이 백공을 보내어 도와주었다고 한다.

미륵사는 신라의 황룡사로 대표되는 화엄사상에 대비되는, 백제의 미륵사상을 대표하는 대규모의 가람이다. 미륵사는 31가람의 형태로, 금당, , 회랑의 세 곳에 마련한 절이다. 못을 메워 절을 조성하였다는 기록 등이 삼국유사의 기록이 실증적임이 밝혀졌다. 삼국유사의 기록이 실증적이라고 한다면, 당시의 미륵사는 건축, 공예 등 모든 백제의 문화가 집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라의 백공이 도왔다는 기록으로 볼 때, 백제와 신라의 복합적인 예술세계가 이 미륵사에 담겨 있었다는 것이다.


미륵사지에 진열된 초석을 돌아보다,

미륵사지 경내를 돌아보면 수많은 석물들이 진열되어 있다. 그 석물들은 모두 미륵사에 서 있는 건물의 초석이나, 탑에 쓰였던 우주와 탱주, 지대석 등 다양하다. 그렇게 많은 석물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미륵사지의 규모가 얼마나 대단했는가를 짐작하는데 부족함이 없다는 생각이다.

그 많은 석물들 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이 있다. 국보 9호인 서탑을 해체, 복원하는 임시건물 앞에 진열된 석조물 중에 진열이 된 초석이다. 초석이란 건물을 짓는데 필요한 주춧돌을 말한다. 이렇게 많은 초석이 여기저기 있다는 것은, 미륵사지 안에는 많은 전각들이 자리하고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 초석의 종류만 해도 상당하다. 어지간한 건물 수십 채를 짓고도 남을만한 초석이 미륵사지 경내에 보인다. 금당 터를 비롯해 회랑 등의 초석은 그 자리에 남아있다. 그런데도 그 많은 초석들이 또 보인다면, 얼마나 거대하고 많은 전각들이 있었던 것인지. 그 초석을 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다양한 초석의 형태

초석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우선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것은 다듬지 않고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해 초석으로 사용하는 덤벙주초가 있다. 그리고 평초석에 해당하는 낮은 초석들이 있는데, 이는 방형초석이나, 원형초석, 네모난 초석 등이 있다. 초석은 땅을 지주를 삼아 기둥을 받치는 돌이다. 그렇기에 그 사용하는 곳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기둥에 따른 초석의 종류에는 외진주초석과 내진주초석이 있다. 내진주초석에는 고추초석과 단주초석이 있다. 외진주초석에는 우주초석, 평주초석, 퇴주초석 등과 귀기둥초석 등 다양하다. 초석이 낮은 것은 평초석이라 하고, 높이가 높게 마련한 장초석을 활주초석이라고 부른다. 활주초석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방형초석인 주좌가 있고, 연못이나 누각 등에 사용을 하는 활주초석이 있다. 이 외에도 일각문 등에 사용하는 신방석등도 초석의 한 종류이다.

사람이나 집이나 주추가 단단허야 혀

초석을 이리저리 살펴보면서 한 장씩 촬영을 하고 있는데, 어르신 한 분이 그런 모습이 조금은 이상했는가 보다.




그건 머하려고 그리 찍는 건가?”
, 필요한 데가 있어서요

주추는 여기 주추가 참 좋지주추종류도 많은가보네요

그럼 많지. 집을 지을 때는 그저 주추가 건실허야 혀. 사람이나 집이나 주추가 단단해야지

이 주추들은 좋은 석재인가요?”, 전국에서 가장 단단하지. 천년이 지났어도 그대로 모습을 지니고 있으니


그러고 보니 미륵사가 창건된 지가 1,400여 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초석들이 형태를 지키고 있다. 그런 점으로 보면 어르신의 말씀에 공감이 간다. 사람이나 집이나 주추가 건실해야 한다는. 그 건실함이 폐허가 된 미륵사지만, 역사 속에 흔적을 남겨놓았다는 생각이다.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산 1번지에 소재한 보물 제439호 진전사지 부도. 부도이기 보다는 탑이라는 느낌이 든다. 일반적인 부도가 탑형이나 석종형 등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이 진전사지 부도는 아래에 탑처럼 이중의 기단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부도를 놀려놓았다. 현재는 탑 옆에 진전사라는 절이 있다.

이 진전사지 부도는 조성시기를 9세기 중반으로 추정하는데, 신라 선종의 종조인 도의선사의 부도탑이라는 학설이 유력하다. 몇 번이고 찾아간 부도탑이지만, 볼 때마다 그 느낌이 새롭다. 아마 이 부도의 생김이 여느 부도와 같지 않은 모습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물 제439호 양양 진전사지 부도

진전사지 부도 기단부는 탑

이 진전사지 부도의 기단은 이중으로 조성을 하였다.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중석을 하나의 돌로 짜 4매를 붙여 놓았다.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를 새겨 넣어 석탑과 같은 형태이다. 갑석 역시 4매로 짜놓았다. 상층기단 중석은 2매로 조성을 하였으며, 각 면에는 우주를 표현하였다. 갑석의 아랫면에는 부연이 있다.

탑과 같이 정교하게 만들어진 기단부는 지금도 원형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다만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 틈이 벌어졌을 뿐이다. 그만큼 진전사지 부도는 정교하게 제작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보인 진전사지 3층 석탑과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어, 당시에 이 진전사가 어느 정도 세를 갖고 있었는지 가늠이 된다.



앙련을 새긴 뛰어난 부도의 받침

2단의 기단 위에 올린 탑신은 8각으로 조성을 하였다. 그러나 정작 탑신에는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다. 다만 탑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8각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이 굄돌에는 16연의 앙련이 돌려져 있어 뛰어난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옥개석 역시 8각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처마가 날렵하게 표현이 되어 자칫 무거운 부도를 무게를 탈피하게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일반적인 탑과 부도를 합쳐놓은 것만 같은 진전사지 부도. 뛰어난 조각을 조성하지는 않았으나, 나름대로 부도를 특색 있게 꾸며놓았다. 탑 위에 올린 부도, 그리고 그 위에 올린 옥개석 등의 반전이 부도를 보는 사람들을 빠져들게 만든다.




옛 선인들의 놀라운 조형술

이 진전사지 부도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은 내세우지 않는 아름다움을 가졌다는 생각을 한다. 화려하지는 않으나 절제된 미를 갖고 있으며, 그렇다고 밋밋한 것도 아니다. 수많은 부도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탑과 부도를 합한 특색 있는 것을 보기는 어렵다. 이런 부도를 조성을 했다는 것에 대해, 옛 선인들의 뛰어난 조각술에 감탄을 한다.



부도탑을 돌아보는데 절에서 키우는 백구 한 마리가 꼬리를 흔들고 쫒아온다. 절에서 키우는 대개의 개들은 사람들에게 길이 들어 있는가보다. 낯선 사람이 와도 짖지를 읺고, 오히려 함께 놀아달라고 조르기가 일쑤다. 이 개도 부도탑 주위를 돌면서 영역표시라도 하는 듯 떠나지를 않는다. 무료한 문화재 답사에서 가끔은 이런 풍경이 있어, 재미를 느끼기도 한다. 보물 제439호 진전사지 부도. 선조들의 솜씨에 감탄을 하면서 떠나는 길에, 절집 백구가 배웅을 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