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안개가 심하게 끼었다. 안개가 걷히면 답사를 가리라고 마음을 먹고 오전 내내 기다려 보았지만, 안개가 걷힐 것 같지가 않다. 오후 두시가 지나 충북 음성으로 향했다. 네 시가 다 되어서 도착한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공산정 마을. 마을 입구에서 게이트볼을 즐기고 계시는 어르신들께 고택이 어디냐고 물었더니 친절히 가르쳐 주신다. 마을 안으로 조금 들어가니 초가지붕이 보인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인 음성 서정우 가옥이다.

 

대문채를 붙여지은 사랑채의 단아함

 

우선 집을 한 바퀴 돌아본다. 참으로 편안한 느낌을 주는 집이다. 돌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사랑채를 지었다. 사랑채는 뒤편에 대문채를 달았는데, 이러한 형태가 우리나라 가옥 구조상의 한 형태란다. 앞에 사랑채를 두고 뒤편으로 대문채를 붙여 내었다. 사랑채와 대문채가 ㄴ 자 형태로 자리를 잡고 안채가 뒤편에 ㄱ 자 형태로 자리해, 전체적으로 보면 ㅁ 자형의 가옥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잘 다듬지 않은 돌을 이용해 이단으로 축대를 쌓은 후 그 위에 마름모꼴의 주추를 놓았다. 앞에는 마루를 놓고 뒤편으로 방을 드렸다. 사랑채를 바라보면서 좌측에는 창고 방을 한 칸 드리고 방 두 칸에 이어서 큰 문을 단 사랑방을 만든 소박한 사랑채의 모습이다. 사랑채 뒤편으로는 대문채를 이어지었다. 대문채는 방 한 칸을 사랑채에 달아내고, 대문과 두 칸의 곳간을 이어 단출한 모습이다. 전체적은 집안 구조가 중부지방 민초들의 삶이 배인 듯한 형태이다

 

돌과 기와를 이용한 아름다운 담벼락

 

서정우 가옥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사랑채와 안채 등의 담벼락이다. 일반적으로 집의 담벼락에 문양을 넣을 때는, 꽃이나 나무, 새, 동물 등을 새겨 넣는다. 그러나 서정우 가옥의 담은 돌과 기와를 이용해 문양을 만들었다. 돌은 네모난 것들을 구해 마름모로 놓고, 그 위에 기와를 이용해 줄을 맞추었다. 얼핏 보아도 아름답다.

 

 

 

그저 무료한 담벼락을 만드는데 비해, 서정우 가옥의 담벼락은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해 멋을 내었다. 마침 함께 답사 길에 나선 친구가 한옥을 지을 때 관계하는지라, 이 담벼락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한다. 전통 가옥을 보수하느라 전국을 다녀보았지만, 이런 담벼락의 형태는 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무료한 담벼락을 돌과 기와로 못을 낸 서정우 가옥. 그래서 더 정감이 가는가보다.

 

평범한 안채의 부엌에도 무엇인가 있다

 

사랑채의 뒤편에는 ㄱ 자로 꺾어 지은 안채가 있다. 안채는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부엌과 안방, 윗방을 차례로 배열하고, 꺾인 부분에 대청을 드리고 건넌방을 꾸몄다. 대청은 두 칸으로 달았으며, 뒤편에 커다란 창호를 두 곳을 내어 전체적으로 시원한 느낌이 든다. 대개는 판자문을 하는데 비해, 서정우 가옥은 대청의 뒷문을 창호로 내어 멋을 냈다. 아마 이집을 지을 때부터 집주인이 꽤나 멋을 아는 분이었을 것 같다.

 

 

 

서정우 가옥은 안채의 건축연대가 19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한다. 상량문에는 1924년에 다시 고쳐지은 것으로 적고 있다. 사랑채도 안채를 보수할 때 지은 것으로 본다. 그저 평범한 안채에는 부엌이 조금 특이하게 만들어졌다. 커다란 부엌문을 달고 그 옆에 작은 문을 하나 만들었다. 그리고 부엌 바깥 담벼락의 위에는 나무를 넓게 띄어 창을 낸 까치구멍을 냈다. 연기가 잘 빠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금은 살고 있는 사람들이 바람을 피하느라 비닐로 까치구멍을 막고 환풍기를 달아, 조금은 멋이 감해졌다는 느낌이다. 부엌의 담벼락 역시 사랑채의 담벼락과 같이 돌과 기와를 이용했다. 평범한 듯 하면서도 무엇인가 색다른 멋을 낸 서정우 가옥. 그래서 더 정감이 간다.

 

 

 

뒤울안 텃밭과 판자굴뚝이 백미

 

서정우 가옥의 또 하나 아름다움은 뒤울 안에 있는 텃밭이다. 안채의 뒤편이 비탈이 진 것을 축대를 쌓아 평평하게 만들고 그 곳에 작은 텃밭을 만들었다. 텃밭 옆에는 역시 축대를 쌓은 후 장독대를 꾸몄다. 담장이 둘러쳐진 안에 아기자기한 민초들의 이야기가 가득하다. 안채의 뒤편에 선 굴뚝이 눈에 들어온다. 널판자로 네모나게 만든 굴뚝이다. 굴뚝의 끝에도 사이를 띄워 덮개를 만들었다. 작은 것 하나하나가 참으로 아름답다는 느낌이다.

 

 

 

중부지방 전형의 민가 가옥이라는 음성 서정우 가옥은 오밀조밀한 멋이 있다. 튀어나지 않고, 안으로 스며드는 멋. 우리 고택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작은 멋 하나가, 사람을 참으로 기분 좋게 만든다. 그래서 우리 고택 답사는 늘 즐겁다. 사람이 살고 있어 여기저기 촬영을 하는데 힘이 들었지만, 그것이 오히려 살아있다는 훈훈함이 있어서 더 좋다는 생각이다. 서정우 가옥을 뒤로하며, 앞으로 만날 많은 고택들을 미리 그려본다. 그래서 안개 자욱한 날이지만, 답사 길이 즐거운가 보다.

‘술비소리’라는 것이 있다. 술비소리는 ‘술비통’이라는 기구를 사용해 새끼줄을 꼬면서 하는 소리를 말한다. '술비통'이란 새끼줄을 굵게 꼬는 기구를 말하는데, 지역마다 이 기구의 모습은 조금씩 다르다. 어느 곳에서는 나무를 X 자로 세우고, 그 위에 가로대를 지른 후 줄을 넘기면서 꼬아 나가기도 한다, 또 어느 곳에서는 술비통이라 하여, 넓은 판자에 구멍을 세 개를 뚫은 후, 그곳에 새끼줄을 넣고 앞에서 돌리며 꼬기도 한다.

이렇게 줄을 꼴 때 ‘줄이 술술 비벼진다’고 해서 술비라고 한다는 것이다. 술비란 짚을 이용해 가는 새끼를 꼬는 것이 아니다. 이미 꼬아진 가는 새끼줄을 몇 가닥을 합하여, 굵게 꼬는 작업을 말하는 것이다.

 


손쉽게 줄을 꼬는 술비통

에헤야 술비야
(에헤야 술비야)
술술술 술비야
(에헤야 술비야)
달이뜨네 달이뜨네
(에헤야 술비야)

술비소리를 하면서 흥겹게 춤을 추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작업요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할 때 그것을 흥겹게 숭화시키는 힘을 갖고 있다. 술비소리를 하면서 술비통을 돌리다가 보면, 줄은 어느새 저만치 길어진다.

 


 


 

술비통은 널판지를 받치고 그곳에 구멍을 세개를 뚫는다. 그리고 그 구멍에 새끼줄을 집어 넣는다.(위) 새끼줄을 꼬을 수 있도록 고리가 달린 물레를 만든다(중, 하) 이 물레의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 줄이 꼬아진다. 


술비는 새끼줄을 합해 굵게 만들기 위해서 하는 작업이다. 굵은 줄을 만드는데 손으로 꼬아나갈 수가 없기 때문에, 고안해 낸 것이 바로 술비통이다. 굵은 줄을 꼴 때는 나무를 X자로 세우고, 그 위에 가로대를 지른다. 그리고 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로대에 홈을 파, 그 홈에 세 가닥의 줄을 넘겨 사람이 서로 엇갈려가며 고게 된다.

술비통을 사용해보니 줄 꼬기 너무 쉽다.

굵은 줄이 아닐 때는 술비통을 만들고, 그곳에 새끼줄을 세 가닥 집어넣을 수 있는 구멍을 뚫고, 그것을 합하기 위해 물레를 만들어 새끼를 꼬아 나간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어르신들의 이야기대로 술비통과 물레를 만들어 새끼를 꼬아보았다. 얇은 새끼줄을 세 구멍으로 뽑아내고, 그것을 물레 끝에 달린 쇠말뚝에 묶어 돌려보았다.

 

술비통을 이용해 순식간에 꼬아 낸 줄. 힘들이지 않고 줄을 골 수 있는 선조들의 놀라운 지혜이다. 


세상에, 사람이 꼰다고 하면 그리도 어렵고 시간이 걸릴 것이, 단숨에 굵은 새끼줄로 변했다. 이렇게 간단한 도구 하나로 새끼를 쉽게 꼴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선조들의 지혜에 다시 한 번 감탄을 할 수밖에. 어떻게 이런 작은 것 하나를 만들더라도, 이렇게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한 것일까? 그저 놀랍기만 하다. 그렇지 않다면 시간이 걸릴 것이 뻔한데.

직접 선조들이 생각해 낸 새끼를 굵게 꼬는 술비통. 집에서도 아이들과 함께 만들어보면, 선조들의 지혜를 알 수가 있다. 아마 아이들에게도 이런 체험을 하게 한다면, 더 많은 것을 느낄지 않을는지. 가족과 함께 할 수도 있고 아이들과 체험을 할 수도 있다니, 이것이야 말로 아이들에게 선조들의 지혜를 알려줄 수도 있어 일석이조란 생각이다.

놀라움으로 다가 온 선조들의 작은 지혜 하나. 그저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가면서, 스스로 자연의 일부가 되고 싶어 하던 선조들. 우리에게는 정말 큰 교훈이 아닐 수 없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