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한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이 되었어야만 했다. 그러나 어찌 된 것인지 생부에 의해 ‘뒤주’속에서 젊은 나이로 목숨을 잃어 ‘뒤주세자’가 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250년 세월, 그렇게 슬픈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었던 ‘사도세자’기 250년 만에 <장조황제>가 되어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

 

수원시 팔달구에 자리하고 있는 수원화성박물관(관장 이달호) 기획전시실에서는 6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수원화성박물관과 용주사효행박물관 공동으로 ‘사도세자 서거 250주기 추모 특별기획전 ’사도세자‘를 열고 있다. 전시는 크게 4가지 테마로 되어있는데, 생애와 활동, 가족, 원찰 용주사 창건, 그리고 왕세자에서 황제로의 추숭으로 꾸며져 있다.

 

 

2세에 왕세자가 된 선

 

사도세자(1735~1762)는 창경궁의 집복헌에서 조선조 제21대 임금인 영조와 영빈이씨의 왕자로 태어났다. 이름은 선, 자는 윤관, 호는 의재이다. 영조가 첫 번째 얻은 아들인 효정세자를 잃고 난 뒤, 42세의 늦은 나이에 얻은 왕자여서 사랑과 기대가 남달랐다. 아마도 그 사랑과 기대가 너무 큰 것이 화근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전시실을 들어서면 한 설치벽면을 커다랗게 장식하고 있는 국보 제249호인 동궐도(고려대학교박물관)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동궐’은 창경궁과 창덕궁을 함께 호칭한 것이며, 창경궁과 창덕궁의 전체 구조와 배치, 주변의 자연환경 등을 16책의 화첩에 나누어 제작한 궁궐도이다. 이곳 창경궁 집복헌에서 사도세자가 태어나, 삶을 마감할 때까지 평생을 지냈다.

 

 국보인 동궐도. 붉은 원안이 사도세자가 태어난 집복헌이다


사도세자는 2세 때 왕세자로 책봉되어 왕세자 수업을 받았다. 15세 때에는 이미 부왕인 영조를 대신하여 정사에 임하였으나, 1762년 28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생애와 활동이 전시공간에는 13년 동안 왕세자 수업을 거쳐, 대리청정에 임해 대소신료들과 국사를 논하고 정무를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1736년 3월 15일 장조의 왕세자 책봉시 반포한 글을 새긴 ‘장조왕세자 책봉 죽책’이다. 제술관은 윤순이고 시사관은 김취로이다. 죽책은 모두 6폭인데 1폭 당 죽책 5간 씩을 엮어 제작하였으며, 총 30개의 죽간 중에서 28개의 죽간에 글을 새겼다. 그 내용의 일부를 보면

 

 

「(전략) 아 너 원자 선이여 내가 다행히도 늦게 너를 낳았는데 하늘이 꼬 남다른 자질을 주었다. 품 안에 있을 때부터 지각과 사려가 먼저 트여 말은 하지 않아도 알아듣는 것처럼 의젓하였으며, 자세히 보면 기국과 도량이 현저하여 훌륭한 덕을 갖출 조짐이 뚜렷하였다. 어려서부터 똑똑하고 침착하기가 남다르니, 자라서는 총명하고 어질며 효성스러우리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삼종(효종, 현종, 숙종)을 계승할 수 있을 것 같아 십년 동안 깊은 밤까지 걱정하던 마음이 사라지고, 팔도의 백성이 칭송하는 노래를 부르니 조정 관원 모두가 세자 책봉의 경사를 기뻐한다.(하략)」

 

‘폐세자반교’에 얽힌 내용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간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토록 총명하고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대소신료들과 정사를 논할 수 있는 왕제의 덕목을 갖춘 사도세자였다. 그러나 열 살 무렵부터 사도세자는 책읽기를 싫어하고 말타기나 활쏘기 등을 더 좋아하였다. 그리고는 살이 쪄 몸이 비대해졌다.

 

1749년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면서부터는 상황이 악화되었다. 『영조실록』에는 이 무렵부터 사도세자에게 병이 생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세자에게 병이 생겨 본성을 잃었다고 했다. 이 본성을 잃었다는 병은 곧 광증인 정신병을 말한다. 그리고 발작을 하면 살인을 한다는 것이다. 결국 사도세자는 서인이 되어 뒤주에 갇히고 만다.

 

 대리청정시 사도세자가 내린 교지


사도세자를 폐세자로 한다는 ‘페세자반교’의 내용을 보면 사도세자는 광증이 있었고, 병이 깊어지면서 아랫사람 100여명을 죽였다고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생모인 영빈이씨까지 죽이려했고, 마침내 영조까지 죽이려하다가 영조의 처분을 받아 죽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세자가 내관, 하인을 죽인 것이 거의 백여 명이오며, 그들에게 불로 지지는 형벌을 가하는 등 차마 볼 수 없는 일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그 형구는 모두 내수사 등에 있는 것인데 한도 없이 갖다 썼습니다. 또 장번 내관은 내 쫒고 다만 어린 내관, 별감들과 밤낮으로 함께 있으면서, 가져 온 재화를 그놈들에게 나누어주고 또 기생, 비구니와 주야로 음란한 일을 벌였습니다. 그리고 제 하인을 불러 가두기까지 했습니다. 근일은 잘못이 더욱 심하여 한 번 아뢰고자 하나 모자의 은정 때문에 차마 아뢰지 못했습니다.」

 

생모인 영빈 이씨가 영조에게 아뢴 말이다. 창덕궁으로 사도세자를 찾아 갔을 때 영빈 이씨는 몇 번이나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했다. 이러한 일로 인해 결국 사도세자는 폐세자가 된 후 죽음으로까지 가게 된 것이다.

 

 

 원찰 용주사 상량문과 불설부모은중경 동판


고종 때 황제로 추존되어 명예를 되찾다

 

아마도 이런 폐세자를 실행하게 된 것은 그만큼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거는 기대가 컸기 때문으로도 보인다. 죽책의 내용을 보면 영조가 장조 왕세자에게 건 기대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런 기대가 결국 사도세자의 이른 죽음을 불러온 것은 아니었을까? 전시실을 한 바퀴 돌아 가족과 원찰 용주사 창건을 지나, 마지막 테마인 ‘왕세자에서 황제로의 추숭’ 편을 돌아본다.

 

정조는 효장세자의 아들로 입적을 하여 왕위를 계승한다. 왕위에 즉위한 정조는 바로 부친인 사도세자에게 ‘장헌’이라는 시호를 추상하면서 생부의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존호의 추상 뿐 아니라 궁묘의 정비와 능원의 조성 등에 많은 노력을 하였다. 정조의 ‘효(孝)’는 지극하였다.

 

 

 

이런 와중에 정조 16년인 1792년 사도세자의 신원을 주장한 영남만인소는 정조를 한껏 고무시켰고, 이러한 추숭과 현창사업은 후대 왕들에게로 이어졌다. 그 결과 고종 때에 이르러 사도세자는 왕세자에서 왕위를 거쳐 황제위까지 추존되어 명예를 되찾았다.

 

 

 

250년 만에 뒤주에서 우리 곁으로 돌아온 사도세자. 그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화성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만날 수가 있다. 무예와 예술에 많은 관심을 보였던 사도세자. ‘능허관만고’라는 문집을 지을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갖춘 세자가, 광증이 걸린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오늘 사도세자를 만나 직접 그 이유를 들어보기를 권한다.

“다산, 한강[冽水]가의 삶과 꿈” - 남양주 실학박물관 특별전

 

다산 정약용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 한강을 이루는 ‘두미’ 혹은 ․‘두물머리’라고 하는 곳에서 태어났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수쳐 큰물로 아우러지는 이곳은, 향후 실학의 회합이라는 그의 운명과 이어지고 있었다.

 

다산은 30여년 넘는 서울과 강진 등의 타지 생활에서도, 다산의 마음은 항상 고향에 남아 있었다. 순조 1년인 1801년 강진으로의 유배생활, 기약 없는 해배를 기다릴 수밖에 없었던 18년 세월. 다산은 그곳에서 연구와 저술에 열정을 태우면서도, 그는 아득하게 먼 한강만을 그리워했다. 그곳은 부모형제와 처자식이, 그리고 님이 계신 곳이었다.

 

다산은 한강을 열수(洌水)로 불렀다. 1818년 강진에서 돌아온 그는, 한강에 사는 사람임을 자처했다. 그리고 18년을 고향에서 살다가 한강으로 돌아갔다. 다산은 늘 유유히 흐르는 강물 위로 무수히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고, 한강을 통해 사람과 세상을 발견한다. 평생의 고민이자 꿈은 민생을 위한 경세치용과 이용후생의 종합을 통한 부국강병이었다.

 

그가 태어난 지 250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한강을 바라보며 또다시 다산 정약용을 떠올려본다. 한강에서 품었던 다산의 삶과 꿈을.

 

소내[苕川]에서의 생활

 

다산에게 소내는 마음의 고향이었다. 그곳에서의 그물치기와 낚시는 그의 일상이었고, 집 뒤의 철마산, 운길산과 수종사, 강 너머의 천진암 등은 부친을 모시고, 형제들과 함께, 어느 때는 벗들과, 때론 홀로 즐겨 찾았던 곳이었다.

 

광주부(1872년 지방지도)(위) 와 소내(정선의 《경교명승첩》중에서)(아래)

 

다산은 평소 “나의 정신이나 외모 대부분은 외가에서 받았다”고 밝혔다. 그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그가 말 한대로 외탁을 한 그 모습은 외증조부인 윤두서(1668∼1715)에서 조금은 상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강진으로 떠나 홀로 생활을 한지 6년, 결혼 30년을 맞은 부인 홍씨에게서 온 치맛자락, 다산은 거기에 자신의 마음을 다시 담는다. 그리고 몇 년 후 이를 자식들에게 전한다. 그것이 바로 ‘하피첩(霞帔帖)’이다. 두 아들에게는 사대부로서의 행동과 마음가짐을 훈계했고, 시집가는 딸에게는 집안의 화락을 기원했으며, 막내딸에게는 위로의 마음을 매화가지에 앉은 새로 담아냈다.

 

1786년(정조 10) 다산이 고향 소내의 풍경에 대해 읊은 12수의 시이다. 이른바 “소천 12경”이다. 25세 때였다. 이후 그는 유배지 강진에서 이 시들을 이성화에게 써 주었다. 고향에 대한 자신의 마음이 이성화를 통해 고향까지 전해지기를 바랐던 것일까?

 

 다산의 외증조부, 윤두서 자화상(좌) 와 다산 정약용(1935년 동아일보 삽화)(우)

 

한강에 돌아와, 후세의 기약

 

18년의 세월, 그것은 결코 짧은 세월이 아니었다. 강진에서 다산의 저술은 경세학의 체계화라는데 특징이 있다. 조선후기의 사회현실을 변혁하기 위한 변법적 개혁론의 전개였다. 그중에서도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심서》의 ‘일표이서一表二書’는 다산 사상의 핵심이다.

 

그는 “나는 조선 사람이다. 기꺼이 조선의 시를 쓰겠다”고 선언하였다. 또 조선은 중화문화에 부속되어 있는 나라가 아니고, 고유의 전통과 문화를 가지고 있었음을 체득하였다. ‘조선인’에 대한 주체적 인식이 바탕이었다.

 

다산이 그린 매화 그림, 매화병제도(좌) 와  매조도(우)

근대의 길에 대한 모색, 조선학의 발전

 

18년 강진에서의 학문에 대한 열정은 이후 자연 다산을 중심으로 제자들이 모여들게 했다. 양반 자제뿐만 아니라 강진의 아전과 승려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 시기 다산의 방대한 저작 과정은 제자들과 분업화된 공정을 거쳤다. 이를 ‘다산학茶山學’으로 규정할 수 있다.

 

다산의 거대한 담론은 한강에서 출발하여 거기서 완성되었다. 평생 자신의 학문성과에 대해 “알아주는 사람이 적고 꾸짖는 사람만 많다면, 천명이 허락해주지 않는 것으로 여겨 한 무더기 불속에 처넣어 태워버려도 괜찮다”고 했던 그였다. 하지만 다산은 현실과 이상의 간극에서 그 꿈을 제대로 펴지 못했다. 회갑을 넘어 스스로를 ‘사암俟菴’이라 불렀듯이 그는 후세를 기약할 수밖에 없었다.

 

《상서지원록》과 《매씨서평》의 마무리, 다산의 고민

그가 서거한 지 100년 후, 우리는 국권을 상실한 질곡의 역사를 겪고 있었지만, 그의 학문은 조선학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이후 또 80여년이 흘러 탄신 250년을 맞았다. 그가 염원했던 민생과 부국강병은 현재진행형이다. 두 물이 합쳐져 큰물이 되었듯 다산의 거대한 사유를 마음에 담아내야할 때이다.

 

 

매달마다 농가의 모습을 읊은 농가월령가와(위) 수종사 가는 길(아래)

다산의 생

본관 나주羅州, 자는 미용美鏞·송보頌甫, 시호는 문도文度

1762년(영조38) 광주 초부면 마현리(남양주 조안면 능내리)에서 정재원과 해남윤씨의 3남으로 출생

1765년(4세) 천자문을 배움. 2세 때 앓은 천연두로 오른쪽 눈썹이 셋으로 갈라져 흔적이 남게 되어 삼미자三眉子로 불림.

1776년(15세) 관례를 치르고 약용若鏞이라는 관명冠名을 얻음.

호조좌랑 홍화보의 딸 혜완惠婉과 혼인. 서울 남촌으로 이사.

1777년(정조1) 이가환李家煥과 매형 이승훈李承薰을 쫒아 이익李瀷의 유고를 읽고 사숙.

1779년 형 약전과 성균관 승보시陞補試에 합격.

1783년(22세) 초시와 회시에 합격, 진사가 되어 선정전宣政殿에서 정조를 처음 만남

1784년 두물머리의 배에서 이벽에게 서교西敎에 대한 이야기를 들음.

1789년(정조13) 주교사舟橋司에 배속되어 주교 설치 공사의 규제를 만듬.

1791년 호남에서 천주교도 박해로 진산珍山 사건이 일어나 천주교와 절교.

1792년(31세) 화성의 설계를 명령받고 거중기를 설계하여 공사비 4만냥 절약.

1794년(정조18) 경기도암행어사로 나가 연천, 파주, 장단 등을 감찰

1800년(39세) 정조 승하로 고향으로 돌아와 초천에서 강학, 여유당與猶堂의 편액을 달음.

1801년(순조1) 신유사옥으로 투옥되었다가 강진으로 유배.

1805년(44세) 백련사에서 혜장惠藏과 교유. 고성사의 보은산방寶恩山房으로 이사.

1806년 강진 읍내 이학래李學來 집으로 이사.

1808년(47세) 만덕사 서쪽의 다산茶山으로 이사.

1809년 초의선사와 교유

1818년(순조18) 유배지에서 풀려나 고향 마현으로 귀향. 호를 ‘열수洌水’라고 함.

1822년(61세) 회갑을 맞아 스스로 묘지명墓誌銘을 지음. 호를 ‘사암俟菴’이라고 함.

1836년(순조36) 부인 홍씨와 회혼일에 고향 마현에서 별세

10월 1일은 제63주년 국군의 날입니다. 이 날 오후 1시부터 남원 요천가 ‘사랑의 광장’ 야외무대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남원 민군 한마당큰잔치’라고 잔치 이름을 붙인 이 행사는, 민군(民軍)이 하나가 되어 아름다운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행사입니다. 행사는 군인들이 시민들을 위하여 하는 행사와, 군 장병들을 위한 행사로 구분되어집니다.

군 장병들은 헬기강하, 특공무술, 군악대연주, 기싸움 등이 선보이며, 군 장병들을 위한 행사는 남원시립합창단의 아름다운 선율과, 남원시립국악단의 흥겨운 민요와 춤, 그리고 여고생 댄싱팀들의 발랄한 댄스, 그리고 남사당패들이 보여주는 사물놀이와 버나놀이에 이어 줄타기가 연희가 됩니다.


당일 행사순서입니다

순서

종 목

위 치

담 당

비 고

식전

행사

그림전시개막식

갤러리 선

갤러리 선

선원문화관 로비 및 전시실

군악대퍼레이드

시 내

    35사단

광한루원 앞 - 다리 - 사랑의 광장

신임사또부임행차시연

광 장

  시공연팀

공연 후 - 광한루원 까지 행진

개막식

무 대

35사단

개막식

요 천

35사단

헬기 공중하강

공연

군악대 연주

무 대

    공연팀

타악 퍼포먼스 등

남원시립합창단

무 대

     공연팀

 

특공무술

무 대

    35사단

격파시범 등

기싸움 예선

무 대

    35사단

6개 부대 조별 토너먼트

여고댄싱팀(2팀)

무 대

    공연팀

근영여고, 중앙여고

남원시립국악원

무 대

    공연팀

민요와 춤

여고댄싱팀(2팀)

무 대

    공연팀

남원제일고, 전주대부속고등학교

남사당 줄타기

무 대

    공연팀

줄타기, 접시돌리기 등

기싸움 결승

무 대

   35사단

 

폐막식

무 대

    사회자

 


행사준비로 당분간 바빠집니다



어제부터 본격적인 행사준비로 바빠졌습니다. 출연인원 300명에 당일 참석인원은 2,000명 정도로 추정하는 큰 행사입니다. 더욱 이날 행사에는 군 장병 500여명과 10월 2일이 ‘노인의 날’이라 어르신들까지 많이 참석을 하실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행사장 주변에는 유치부, 초등부 학생들의 그리기와 글짓기 경연까지 함께 이루어져 많은 인원이 행사장을 찾을 것으로 보입니다.

10월 1일 선원문화관 전시실인 ‘갤러리 선’에서는 <연당 강현숙> 님의 그림전시가 ‘국군의 날 특별 초대전’으로 개막을 합니다. 1시에 개막 테이프를 끊은 후 다과회도 가질 예정입니다. 이어 1시 30분에 군악대의 시가행진으로 시작을 하는 행사는, 5시간 동인 계속될 것입니다. 어제는 하루 종일 기싸움에 사용할 황룡기와 흑룡기를 제작하는데 시간을 보냈습니다.

10월 1일 행사를 마칠 때 까지는 행사준비로 딴 곳에 정신을 쏟지 못할 듯합니다. 무대진행 등 밖의 준비를 혼자서 모든 일을 다 맡아해야 하기 때문에. 아침과 밤늦게 잠시 틈을 내 들리도록 하겠습니다. 행사종목은 틈틈이 한 개씩 소개를 하도록 하고요. 아무쪼록 자주 찾아뵙지 못해도 늘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