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란 예전 스님들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부도의 꾸밈은 석탑과 같이, 기단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전체적으로 보면 기단부와 탑신, 그리고 머릿돌로 조형이 된다. 머릿돌은 지붕을 얹고 그 위에 연꽃모양으로 만든 보주를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런 일반적인 부도와는 다른 아름다운 부도가 눈길을 끈다.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 돌 위에 세워진 국보 제53호 연곡사 동부도는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인 진평왕 6년인 545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한 연곡사는, 고려 초기까지도 스님들이 선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가 연곡사에는 이 외에도 보물 제154호인 서부도로 불리는 소요대사부도와 국보 제54호 북부도가 있다.


천상의 반인반조인 가릉빈가를 새겨

동부도의 기단은 세 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그리고 위 받침돌을 차례로 올렸다. 이단으로 꾸며진 아래받침돌에는, 구름에 휩싸인 용과 사자모양을 각각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에는 둥근 테두리를 두르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러 몰려드는 팔부중상을 새겨 넣었다.

위받침돌은 밑면을 둥글게 하여 두 겹의 연꽃잎과 기둥모양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그리고 둥근 테를 두른 안에 불교의 낙원인 극락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새인 ‘가릉빈가’를 새겨 넣은 점이 독특하다. 가릉빈가는 전설속의 극락조로 하반신은 새이고, 상반신은 사람인 점이 특이한 모습이다.



자태가 아름답고 소리가 묘하다는 가릉빈가는 불가의 호법신장의 일종으로 볼 수가 있다. 일찍 고구려 안악고분 등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그림이 보인다. 가릉빈가는 결국 부도 안에 모셔진 사리를 보호하기 위한 호법의 기능과, 부처님을 덕을 찬양하기 위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극락조로 불리는 가릉빈가는 반인반조의 몸으로 호법과 찬양의 기능을 갖고 있다.
 
통일신라 최고의 걸작인 동부도

탑신인 몸돌에는 각 면에 테두리를 두르고, 그 안에 수호신장인 사천왕상과 향로 등을 새겨 넣었다. 돋을새김을 한 사천왕상은 지금보아도 당장 호령을 하고 뛰쳐나올 듯한 기개를 보인다. 팔각으로 정교하게 마련한 지붕돌은 돌 위에 새겼다고는 볼 수 없게 화려함을 보이고 있다. 서까래와 기와의 골은 물론, 부연과 막새기와까지 표현을 할 정도로 뛰어나다.



머리장식은 화려함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사방에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봉황을 두고, 연꽃무늬를 아래위로 새겨놓았다. 일설에는 도선국사의 부도라고도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이 부도의 아름다움에 반한 일제는 동부도를 동경대학으로 옮겨가려고 하였다는 소리에 간담이 서늘해진다. 안타까운 것은 머리장식에 새긴 네 마리 봉황의 머리가 다 잘려나갔다는 점이다.



사방에 날개를 펼친 봉황의 머리는 모두 잘려나갔다

느낌이 일부러 그렇게 잘라버린 듯 해 씁쓸하다. 한 마리도 아니고 어떻게 네 마리의 머리가 하나도 남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 봉황의 모습이 더욱 궁금하다. 아마 머리 위에는 또 다른 장식은 없었는지. 그리고 그 머리를 잘라낸 또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영원한 미궁으로 남을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오층석탑 한 기에 12지신상과 사천왕상, 인왕상, 팔부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탑에 조각된 수많은 조각들은 모두 뛰어나다. 보물 제13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구례 화엄사 경내 보제루 앞에 서있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통일신라 때의 탑으로 1997년 여름에 탑을 보수 할 때, 부처님 진신사리 22점과 수저 2점, 칼 3점, 금동제방울 1점, 수정염주 1점. 소탑 3점, 금속편 31점등 총 16종 72점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서 오층석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의 방형탑신을 올렸으며, 기단과 탑신부에 조각으로 장식이 가득하다. 서 오층석탑은 2층의 기단위에 5층의 몸돌을 올렸으며, 여러 장의 돌로 지대석을 놓고, 하대석과 중대석을 하나의 돌로 구성했다. 지대석의 각 면 안상 내에는 12지신상을 우수한 솜씨로 조각하였다. 이러한 조각기법은 화엄사 서 오층석탑이 보이는 특징이다.


몸돌에 돋을새김한 우수한 조각기법

기단석 위층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뜬 우주와 탱주를 새겼으며, 한 면에 두 명씩의 8부신중을 조각하였다. 팔부신중은 금방이라도 탑을 뛰쳐나올 만큼 역동적이다. 이 서 오층석탑의 탑신인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이며, 1층 몸돌의 4면에는 사천왕상을 조각 배치하였다. 탑신의 지붕돌은 각 층마다 밑면에 5단의 받침을 갖추고, 처마 밑은 수평이 되게 하였다. 탑의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2층의 단이 있는 받침 위로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가 놓여 있다.


기단석에는 12지신사이 새겨져 있다.

이 서 오층석탑에 이렇게 많은 12지신 상이나 팔부중상, 그리고 사천왕상을 조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탑의 복원 시에 발견이 된 사리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즉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탑 안에 두었기 때문에, 그 사리를 지키기 위한 수호적 기능을 갖고 있는 사천왕상 등을 조각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인가 이 탑 안에 복장물은 하나도 도난을 당하지 않은 채, 그대로 발견이 되었다. 

이 탑은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조성한 것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조각상을 각 부분에 새긴 점 등이다. 또한 지붕의 조형이 보다 유연한 느낌을 주고 있고,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에 보이는 기단석에 안상이 보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석탑의 남쪽으로는 안상과 연꽃이 조각된 배례석이 놓여 있다. 이 배례석 하나만으로도 훌륭한 미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 면에 두 명씩의 팔부중상이 새겨진 석탑의 몸돌
 
한나절 만에 돌아본 화엄사

화엄사에는 국보와 보물들이 많다. 초가을로 접어들었다고 하지만, 한 낮의 날씨는 아직 따갑다. 구례에 볼일이 있어 길을 나섰다가(2010, 9, 16. 오후 3시 경) 화엄사를 들렸다. 그동안 수차례 다녀 온 화엄사다. 그러나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조금은 문화재에 대한 눈을 떴다고 할까? 지금까지 보아오던 문화재와는 또 다른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층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은 금방이라도 뛰쳐나올 듯 힘이 있어 보인다.
 
화엄사 중심영역에는 국보 제67호 각황전을 비롯하여, 보물 제299호 대웅전, 국보 제12호 각황전 앞 석등, 보물 300호 사자탑 등이 있다. 그리고 보물 제132, 133호인 동, 서 오층석탑이 자리한다. 각황전 뒤 계단으로 오르면 국보인 사사자 삼층석탑이 있다. 이렇게 많은 문화재가 자리한 화엄사. 그 중에서 제일먼저 눈에 띤 것이 바로 서 오층석탑이다.

시간이 없어 이리 뛰고 저리 뛰며 돌아본 화엄사. 서 오층석탑 하나만으로도 한 시간은 족히 걸릴 듯하다. 그저 바람처럼 지나친 석탑이 못내 아쉬워지는데, 걸음을 재촉하는 소리가 그렇게 야박할 수가 없다. 시간이 되면 다시 한 번 찾아가, 하루 종일 그 문화재들을 붙들고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