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소재한, 우리나라 3보 사찰 중 한 곳인 통도사 관음전 앞에는 석등 한 기가 서 있다. 이 석등은 등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는 팔각의 받침돌을 삼단으로 쌓았다.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 장식을 얹고 있는 이 석등은, 현재 경상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70호이다.

석등의 용도는 절 안의 어두움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자비광명을 온 누리에 비추어 중생을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등불은 수미산과 같고, 등을 밝히는 기름은 넓은 바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이는 등에서 나간 불빛이 고루 퍼져나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양구 중에서도 으뜸인 등불

석등은 언제나 석탑과 함께 전각의 앞에 자리한다. 이는 부처님께 드리는 공양물 중에서도 등불 공양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갖가지 형태의 많은 석등이 현재까지도 자리하고 있으며, 폐사지 등에도 석등이 남아있는 숫자가 많은 것을 보면, 석등을 그만큼 소중하게 여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도사 관음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석등은, 그 조형 양식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석등은 둥근 형태의 연꽃받침인 연화대 두 개를 아래 위로 놓고, 그 가운데를 팔각의 간주석을 세웠다. 그 윗부분에는 불을 밝히는 화사석과 지붕돌을 올려놓은 형태이다. 석등의 구성형태는 거의가 이런 형태로 꾸며진다.



연화대가 상징하고 있는 뜻은?

이 통도사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따르고는 있으나, 귀꽃 양식 등이 세밀하지 않다는 점을 보아 고려 초기 작품으로 추정한다. 아래받침돌인 연화대의 옆면에는 안상을 얕게 새겼고, 윗면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이 아래에 있는 연꽃받침은 물속에 있는 탁한 진흙과 같은 세상을 뜻한다. 아래 위 연화대 가운데에 있는 간주석인 기둥은 중앙에 세 줄의 테를 둘렀다.

이 세 줄은 천, 지, 인을 상징한다고도 하고, 불가에서 부처님의 목에 난 삼도와 같은 의미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 세 줄에 대한 정확한 풀이는 알 수가 없다. 이 팔각의 기둥은 이상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불교의 올바른 길인 팔정도를 상징한다. 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올바른 여덟 가지 길인 팔정도는,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을 말한다.



간주석 위에 있는 윗받침돌에는 위로 솟은 연꽃무늬를 장식하였다. 위로 향한 연꽃을 조각한 연화대는, 광명, 청정, 부처, 보살의 세계를 상징한다. 이렇듯 석등 하나가 갖는 뜻은 상당히 깊은 것이다.

흔치 않은 부등변 팔각석등

4개의 커다란 불창이 있는 화사석은, 파손이 된 것을 후에 새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석등의 조화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석등은 언뜻 보면 4각처럼 보이지만, 부등변 팔각석등으로 우리나라 석등의 변천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꼽히고 있다.



화사석의 위에 얹은 지붕돌은 귀퉁이마다 꽃장식인 귀꽃을 달았다. 지붕돌 위에는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꼭대기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를 놓았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석등. 크고 작은 모형의 이 석등을 볼 때마다 더욱 그 가치를 높이 사는 것은, 바로 이런 깊은 뜻이 있기 때문이다.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에 소재한 통도사. 영축산에 자리한 ‘영축총림’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사찰’이다. 우리나라의 삼보 사찰은 ‘법보사찰’인 합천 해인사, ‘승보사찰’인 순천 송광사, 그리고 불보사찰인 통도사이다.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절이다.

통도사를 불보사찰로 부르는 것은,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와 승복의 하나인 가사를 모신 사리탑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을 모시고 창건하였기 때문에, 창건 초기부터 중요한 절로 불보사찰이라는 삼보사찰 중 한 곳으로 이름을 떨쳤다.


용화전 앞에 서 있는 탑의 용도는?

통도사 용화전 앞에 서 있는 ‘봉발탑’이라 하는 이 탑은, 보물 제47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전국 어디를 돌아보아도 이런 형태의 탑은 전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 탑의 용도에 관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그 용도에 관한 정확한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 봉발탑의 용도가 석가모니의 옷과 밥그릇을, 후천세계의 미륵부처가 이어받을 것을 상징한 조형물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미륵부처님은 후천세계의 부처님이다. 불교적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인 ‘미륵불(=Maitreya)’이다.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열반하신 후, 56억 7천만년이 지나서 이 세상에 나타날 부처님을 말한다.



이 미륵부처님은 현재 도솔천 내원궁에서 보살로서 존재해 있으며, 이미 수기를 받은 부처님이다. 현재는 도솔천을 주재하고 설법을 하기 때문에 ‘미륵보살’이라 칭하지만, 인간의 사바세계로 내려오면 ‘미륵불’로 불러지게 된다.

스님들이 사용하는 발우를 닮은 탑

이 봉발탑은 불교를 조금만 알고 절을 드나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스님들의 공양 그릇인 ‘발우’와 같은 모습이다. 탑의 기본 형태는 받침부분 위에 뚜껑이 있는 큰 밥그릇을 얹은 듯한 형태이다. 이 발우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모두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랫부분의 둥근 기단석과 간주석, 그리고 발우를 받치고 있는 윗부분이다.



아래받침부분은 연꽃으로 화려하게 조각이 되어있다. 아래받침에는 둥그런 형태에 기둥이 표현되어 있어, 이것이 땅을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마치 땅과 부처님의 연화세계를 잇는 간주석을 둔 것이란 생각이다. 그 위 부분은 간주석으로 잘록한 형태이다. 이 간주석은 네모나게 조형을 하였으며, 모서리 부분을 다듬어 부드럽게 표현을 하고 있다. 그리고 맨 위 상대석은 앙화가 크게 조각되어 있다.

고려 이전에 조성한 탑으로도 보여

맨 위에 올려놓은 발우는 뚜껑과 높은 굽 받침이 있는 그릇 모양의 석조물이다. 연꽃조각이나 받침부분의 기둥 양식 등으로 보아, 이 봉발탑의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이러한 모형의 탑이 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이전의 작품으로도 보인다. 일반적인 동 시대의 그릇 모양을 한 조각물과는 품격의 차이가 보이기 때문이다.



후천세계의 부처님인 미륵불의 밥그릇이라는 통도사 봉발탑. 7월 11일 통도사에 스님들의 공양을 준비하러 갔다가 용화전 앞에서 만나본다. 벌써 서너 차례나 본 봉발탑이다. 그리고 그 때마다 이 탑을 보면서 생각을 한다. 아마 어느 날 아침 저 봉발탑의 밥 그릇 뚜껑이 열리면, 그 날이 미륵부처님이 이 땅에 나투시는 것은 아니실까 하고.

사인비구는 종을 만드는 장인인 승려이다.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는, 현재 전해지는 8개의 종이 모두 보물로 지정이 될 만큼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종장이다. 사인비구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인물로,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사인비구의 종은 모두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크기는 작지만 그의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포항 보경사의 서운암 동종’은 종 몸통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부처님 말씀을 새겨 둔 것이 특징이며, ‘양산 통도사 동종’은 8괘를 문양으로 새기고 유곽 안에 보통 9개씩의 유두를 새기나 단 한 개만을 중앙에 새겨 넣었다.


모든 종이 각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인비구 동종

가장 전통적인 신라 범종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안성 청룡사 동종’과, 조선의 종 모습을 보여주는 ‘강화 동종’. 종을 매다는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서울 화계사동종’과 ‘의왕 청계산동종’,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그만의 독특한 모습으로 선보이고 있는 ‘문경 김룡사 동종’과 ‘홍천 수타산 동종’.

사인비구의 동종은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8구 모두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아마도 경기도와 경상도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었다는 것은, 그 곳에서 종을 만드는 시간만큼이 아니었을까? 사인비구의 종은 모든 종들은 각기 독창성이 엿보이는 작품들로 종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중앙의 유두만 돌출이 된 동종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 종각에 걸린 양산 통도사 동종은, 현재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1686년에 사인비구가 조성한 종이다. 이렇게 연대가 확실한 것은 동종의 명문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동종은 나름대로 독특한 멋을 풍기고 있다. 통도사 동종은 맨 위에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가 있고, 몸통의 상대와 하대, 그리고 유곽 등을 두루 갖춘 전통적인 범종이다.

50년간 경기도와 경상도를 넘나들며 활동을 한 사인비구, 아마도 종을 만드는 장인으로 더 유명한 사인비구는 경기도와 경상도의 절에 묵으면서 종을 만들고는 다른 곳으로 떠난 것은 아니었을까? 하기에 그의 주종은 모두 경기도와 경상도에 집약되어 있다.




사인비구가 만든 통동사의 동종은 상대에는 위아래 두 줄로 범자를 새겨 넣었다. 그리고 그 밑으로는 유곽을 새겨놓고, 그 안에 가로 세로 각각 세 줄씩 별 모양의 화문을 조성하였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중앙에 하나만 돌출이 되게 하였다는 것이다. 왜 하필이면 중앙의 그림 하나만 유두를 돌출 시킨 것일까?

팔괘를 그려 낸 통도사 동종

몸통에 유곽이 크게 조성되어 그 가운데 있는 보살상은 작게 표현된 통도사 동종. 사인비구는 이 동종을 만들면서 왜 밑면에 팔괘를 돌려 그려 넣은 것일까? 아마도 각 사찰에 남아있는 동종들의 모습이 특별한 것도, 그 사찰과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사인비구의 동종을 돌아보면서 내심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이다.



종의 몸통 중앙에는 당시 종을 만든 내력과 이름 등이 새겨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사인비구의 종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듯, 그렇게 멀리까지 부처의 세계가 퍼지기를 바랐을 것이다.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된 사인비구의 동종을 모두 다 돌아보았지만, 아직도 의문이 남는 것은, 왜 각각 특이한 종을 제작했을까 하는 점이다.


당간은 절 입구에 세워놓는 깃대의 일종이다. 이 당간은 절에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것으로 장간, 찰간, 기간, 번간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당간은 목재나 철, 동, 석재 등으로 간대를 만들며, 지주는 대개 석재로 만들었다.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당간지주가 남아있으나, 당간의 간대가 남아있는 경우는 흔치가 않다.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솟을삼문 입구 하천변에 세워져 있는 당간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403호이다. 통도사 경내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지만, 통도사를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 당간이다. 당간은 어느 절이나 절 입구에 세워놓기 때문에, 절이 폐사가 되었어도 당간의 위치를 보면 그 절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탑처럼 꾸민 높이 7.5m의 석당간

석당간은 우리나라에는 몇 기만이 남아있다. 고려 말에서 조선조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통도사 석당간은, 기단부 전체가 후대에 와서 중수된 것이다. 기단부는 전반적으로 후대에 중수를 하면서 개보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도사 당간이 특별한 것은 마치 탑의 기단부와 같이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장대석으로 사방 하대의 윤곽을 잡고, 다시 짧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석 남북 양편으로는 지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유구를 두었다. 지주의 상하에는 타원형으로 두 개의 간공을 내고, 동서방향으로 장대석을 보완하였다.




성호를 새긴 당간의 간대석

중앙에 간대는 옛 간대 그대로라고 하는데, 중앙에는 성호인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통도사 석당간은 후대에 이르러 보수를 하면서 약간 그 형태가 달라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석당간이 남아있는 것만으로도 그 가치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7월 11일 이른 새벽부터 날이 우중충하다. 금방이라도 비가 퍼 부을 것만 같은 날씨에 양산 통도사로 향했다. 영축총림이라는 통도사는 벌써 10여 차례나 둘러본 곳이다. 하지만 갈 때마다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통도사처럼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절을 찾아간다는 것은 늘 마음이 설렌다. 아마도 한 곳에서 다양한 문화재를 접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불편한 몸으로 답사를 한 통도사

3시간 넘게 차를 달려 도착한 통도사. 떠날 때와는 달리 날이 뜨겁다. 몸이 편치가 않은데도 주차장에 도착을 해 바로 당간이 있는 곳을 찾았다. 냇가 옆에 서 있는 당간을 돌아본다. 통도사 석당간은 지금까지 보아오던 당간과는 그 형태가 판이하다. 사방에 네 개의 장대석으로 두른 후 그 안에 3층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 양편으로는 당간을 고정시키는 지주를 양편에 놓고, 상하로 당간을 고정시키는 구멍을 뚫어 석재로 만든 비녀를 꽂았다. 당간은 원형의 돌로 세웠는데, 몇 개의 석재를 이은 듯하다.



당간을 둘러 본 후 솟을삼문을 지나 안으로 향한다. 무더운 날씨에 땀이 비 오듯 한다. 천천히 걷는다고 하지만, 그래도 숨이 턱에 찬다. 찬물이라도 마시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들어 마음이 더욱 바빠지는 것은, 갈 곳은 많고 시간은 자꾸만 촉박하다는 느낌이 들어서인가 보다. 그래도 이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천근이나 되는 몸을 버티며 걷는다. 마치 내가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