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은 일개 지자체로서는 전통사찰이 가장 많은 곳이다.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대둔산 서남쪽 자락에 자리한 안심사는, 신라 선덕여왕 7년인 서기 638년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이 될 사찰이다. 6·25 동란 이전만 해도 무려 30여 채의 전각과 13개의 암자를 가진 대단한 규모의 사찰이었다. 그러나 6·25 때 불에 타버리고 부처님 치아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부도와, 안심사 비문만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천년고찰 대둔산 안심사

 

 

토요일이라 그런지 나들이객으로 인해 길이 막힌다. 안심사를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섰다. 답답하게 막히던 길이 전주 시내를 벗어나면서 시원하게 뚫렸다. 완주군 운주면은 충남 금산과 논산과 접해 있다. 운주면소재지를 지나 논산 양촌면으로 가는 지방도로에서, 좁은 마을길로 3km 이상을 대둔산을 향해 들어가다가 만나게 되는 안심사. 현재 안심사에는 대광전과 산신각, 삼성각, 요사가 있고, 적멸보궁이 있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이나 부도 등이 있을 경우, 전각에 부처님을 모시지 않고 유리 등으로 벽을 내어 탑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든 전각이다. 안심사 계단 옆에는 대웅전을 세우기 위해 많은 돌들을 나열해 놓았다. 아마 이곳에 묻혀 있던 주초 등을 찾아낸 것인가 보다. 커다란 석물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는 것을 보니, 과거 안심사의 규모를 대충은 짐작할 만하다.

 

 

 

뛰어난 조각수법이 돋보이는 안심사 석조계단

 

보물 제1434호 안심사 석조계단은 부처님의 치아사리 1과와, 의습 10벌을 봉안하기 위해 조선 중기인 17세기 중반 이후 1759년 이전에 조성하였다. 안심사 석조계단은 1613년 조성된 대구 용연사의 석조계단과 친연성을 갖고 있으나, 조각수법 등은 용연사의 석조계단보다 월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안심사 석조계단은 앞면과 옆면에 장대석 돌을 놓아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비슷한 크기의 돌 판을 한 줄로 얹었으며 계단 면석에는 연화문과 격자 문양을 조각하였다. 계단의 중앙에는 석종형 부도가 서 있고, 네 귀퉁이에는 장군모양의 차림새를 한 신장상을 사방에 놓았다. 이 신장상들은 신체 부위와 갑옷의 조각기술이 뛰어나다. 앞쪽으로 서 있는 양편의 신장상은 조금 크며, 뒤편의 신장상은 조금 작다.

 

 

 

석종형 부도는 높이가 176cm 정도로 아래는 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부도를 올렸다. 아래편의 받침돌에도 조형을 하였다. 위편 봉우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엷게 조각을 했다. 석조 조형물들은 그 조형 수법이 탁월하고 연화문과 격자문양의 조각수법은 장식성과 섬세함이 뛰어난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신장상들의 표정이나 갑옷 무늬 등의 수법은 능에 세워놓은 문인상이나 무인상들보다 더 세련되며, 풍부한 양감을 표현하였다.

 

눈 부라린 신장상에 반하다

 

석조계단의 네 귀퉁이에서 사로 마주하고 있는 무인모습의 신장상. 아마도 사방을 둘러 부처님의 사리를 모셨다는 석종형 부도를 지키기 위한 것인가 보다. 신장상들은 크기에 관계없이 투구를 쓰고 칼을 양손으로 잡고 있다. 칼끝은 아래로 했는데, 금방이라도 무엇을 벨 수 있을 듯하다. 툭 불거진 눈에 주먹코, 굳게 다문 입에 어깨까지 내려온 귀. 얼핏 보아도 석장승과 석불을 혼합시킨 듯한 모습이다. 그러한 신장상들의 모습은 두려움보다는 오히려 친근감이 앞선다.

 

 

 

갑옷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표현을 한 안심사 석조계단의 신장상. 어느 곳을 가보아도 이렇게 세밀한 조각수법을 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안심사 석조계단의 가치를 더 높이는가 보다. 토요일 바쁜 걸음으로 달려간 대둔산 자락 안심사에서, 또 하나의 희열을 맛본다. 불거진 눈으로 사방을 지켜내고 있는 신장상들로 인해서.

선소유적지. 사적 제392호인 선소유적은 여수시 시전동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원래 고려시대부터 배를 만들던 조선소가 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선소유적은 임진왜란 때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하게 한 거북선을 최초로 건조했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선조 24년인 1591년, 이곳 여수에 전라좌수사로 부임을 하였다. 전라좌수영의 본영인 여수는 선조 26년인 1593년 8월부터, 선조 34년인 1601년 3월까지 삼도수군통제영의 본영이었다. 이곳은 옥포, 합포, 당항포, 율포, 노량, 명량, 한산도 등에서 수군이 왜적에게 대승을 거두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곳이다.


배를 만들고 숨겨두었다는 굴강

그리고 보니 벌써 선소유적을 다녀온 지가 꽤나 시간이 흘렀다. 10월 10일 여수를 답사하면서 다녀온 선소유적. 선소유적 입구에는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표석으로 삼았다는 벅수가 나란히 한 쌍이 서 있다.

이곳 선소유적은 지도상으로 보면, 가막만의 가장 북쪽에 조선소가 있다. 현재 이곳 선소유적지 안에는 거북선을 만들고 수리했던 ‘굴강’과 칼과 창을 만들던 ‘대장간’이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칼과 창을 갈고 닦았다는 ‘세검정’과 수군지휘소였던 ‘선소창’, 수군들이 머물렀던 ‘병영막사’ 등을 돌아볼 수가 있다.



‘만약 호남이 없었다면, 국가가 없었을 것이다.’(若無湖南, 是無國家) 이 말은 이곳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한 수군의 거점인지 알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그만큼 이곳 선소는 나라를 구하는데,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선소유적 안으로 들어가면 바닷물을 돌로 쌓은 방파제가 있다. 입구는 좁게 만들어 놓아, 배를 숨겨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굴강’이라고 부르는 이곳은 조선시대 해안 요새에 만든 군사항만 시설이다. 여기에서 고장난 배를 수리하거나, 군사물자를 배에 싣고 내린 곳이라고 한다. ‘굴강(掘江)’이라는 명칭은 대피한 배를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를 흡사 작은 만처럼 조형을 한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선소주변에는 승리의 함성소리가

선소의 중심부에 마련된 직경 42m(면적 1,388㎡)정도의 굴강. 거북선 두 척이 들어갈 수 있었다는 굴강은, 깊이가 돌로 쌓은 축대 위에서 바닥까지는 5~6m 정도가 된다. 북쪽으로 난 굴강의 입구는 폭이 9m 정도에 이르며, 방파제 역할을 하는 축대는 자연선과 깬돌로 막쌓기를 하였다.

이충무공 선소 유적지는 2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하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1980년 1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7종에 94개, 자기류 2종에 13개, 기타 4종에 18점이 출토되었다. 1985년 2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5종에 21개, 자기류 4종에 387개, 기타 4종에 44개가 발굴이 되었다.





이곳 굴강에서 서남방향으로 20m 부근에는 ‘세검정(洗劒亭)’과 군기고가 현재 복원되어 있다. 항상 검을 닦고 갈았다는 세검정. 그 마루에 앉아 앞으로 보이는 바닷물을 바라본다. 400여 년 전 해전에서 승리를 하고 난 거북선과 수군들이 이 세검정 앞을 지나면서, 승리의 환호로 이곳이 떠나갈 듯 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의 선조들이 승리의 함성을 지르던 이곳 여수 선소유적. 그곳 세검정 마루에 걸터앉아 자리를 뜨질 못하는 이유는, 그러한 함성이 그립기 때문인가 보다.

최신 댓글